extra_vars1  
extra_vars2  

농수산업이 한국의 미래 산업임을 중국에서 확인하다’라는 제하의 글을 기고했다. 한중 간 식품·약재 가격이 근접하고 있고, 중국 고급소비층이 늘어나고 있으므로 중국과 협력 통해 산업화를 서둘러야 한다는 내용이었다.


당시 필자는 전라남도 해남군에 있는 대규모 프로젝트(솔라시도 구성지구)의 투자유치와 홍보를 맡고 있었다. 아쉽게 큰 성과를 내지 못하고 그만두게 되었고 지금은 춘천시 시민소통담당관으로 일하고 있다. 그런데 얼마 전 필자가 생각했던 프로세스가 실현됐다. 바로 해남군 친환경 단지에서 생산된 ‘가바쌀’의 중국 수출이 성사된 것이다.


가바쌀은 2018년 국내 처음으로 중국 유기인증을 획득했고, 오는 11월부터 중국에 ‘관해미(觀海米)’라는 브랜드로 30t이 수출된다. 수출된 쌀은 농수산식품유통공사를 통해 베이징 인근에서 판매된다. 상대 파트너는 중량그룹(中糧集團, COFCO)이다. 이 쌀의 수출가는 1kg 당 1만4000~1만5000원이다. 일반적으로 우리 쌀이 시장에서 1gk 당 5000원에 거래되고 있고, 유기농 쌀의 경우도 7000원 정도인 점을 감안하면 2배나 비싼 가격에 팔리게 된 것이다.

 

 

10월 22일 전라남도 해남에서 유기농 ‘가비쌀’의 중국 첫 수출을 기념하는 행사가 열려 관계자들이 테이프컷팅을 하고 있다. [사진=신경숙 한중학술문화교류협회 이사장 제공]


이 과정에서 가장 많은 공을 들인 분은 한중학술문화교류협회 신경숙 이사장이다. 신 이사장은 지난해 중국을 방문하면서부터 이 부분에 공을 들여왔는데 드디어 결실을 본 것이다. 가바쌀의 중국 수출을 기념하는 행사가 10월 22일 해남에서 열렸는데 이 자리에 신 이사장은 주빈으로 초대되어 싱하이밍 주한중국대사 등과 자리를 같이했다.

 

싱 대사는 기념식에서 중국의 사기(史記)에 나온 ‘민이식위천(民以食爲天 : 백성은 먹는 것을 하늘로 삼는다)’을 인용한 뒤 “천혜의 자연과 선진 기술로 만들어진 맛있는 해남쌀이 중국 소비자에게 큰 사랑을 받으리라 확신한다”고 축하했다. 이어 “중국은 올해 GDP 성장률 플러스를 달성한 유일한 국가이고, 한국 또한 효과적인 코로나 방역으로 경제대책에 큰 성과를 거두고 있다”며 “코로나 이후 계속해서 중국의 대외 수입 확대가 예상되는 만큼 해남을 포함한 한국에 큰 호재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싱하이밍 대사의 이번 해남 방문 일정에는 필자가 지속적으로 스토리텔링 한 ‘황조별묘’도 빠지지 않았다. 싱 대사는 황조별묘를 참배하고, 해남과 중국의 오랜 인연에 깊은 관심을 표명했다. 황조마을은 정유재란(1597년 8월~1598년 12월) 당시 수군 도독으로 출병해 이순신 장군과 함께 왜군을 물리친 진린 장군의 후손들이 이주·정착해 광동진씨 집성촌을 이루고 있다. 황조별묘는 진린장군의 사당으로, 중국과의 400년 우정을 상징하는 장소로 부각되고 있다.


싱 대사는 해남의 주요 투자유치 대상지 중 하나인 기업도시 조성현장과 유명 관광지인 땅끝마을, 문재인 대통령이 고시공부를 했던 대흥사, 고산 윤선도의 흔적이 있는 해남윤씨 유적지 등도 골고루 둘러봤다. 필자가 일했던 솔라시도와 오시아노 관광단지도 꼼꼼히 둘러본 만큼 중국 자본의 해남 투자로도 이어질 것이라는 기대가 있다. 


이번 행사를 멀리서 지켜보면서 나는 속이 시원함을 느꼈다. 우선 우리 쌀을 중국에 수출할 수 있다는 나의 주장이 맞았다는 것을 확인한 것이다. 그런데 쌀만 그럴까. 다른 농산물도 해남 쌀과 같은 과정을 밟는다면 성과를 낼 수 있다. 샤인머스캣이 대표적이라고 할 수 있다.


춘천시에서 일하게 된 필자는 시민소통이라는 본연의 업무도 있지만 투자유치 등의 다른 업무에도 많은 공을 들인다. 실제로 국내 굴지의 데이터센터 투자기업을 춘천 수열에너지 단지인 ‘K클라우드파크’에 연결하기도 했다. 이 사업은 이미 첫발을 땐 만큼 춘천의 미래 사업이 될 것으로 확신한다.


더 중요한 것은 앞으로다. 춘천은 농업과 산림에서 탁월한 자원을 갖고 있다. 춘천 전체의 95%가 산과 수면이기 때문이다. 올해 춘천을 대표하는 상품이 된 것은 명품대추다. 춘천시 농업기술센터 등이 공을 들인 명품대추는 맛이나 약성에서 탁월하다는 것을 인정받았다. 샤인머스캣이 인기를 끌 듯 대추도 인기를 끌 수 있다. 중국에서도 대추는 전 지역에서 나온다. 대추의 종류도 계란대추(鸡蛋枣), 배대추(梨枣), 진대추(晋枣) 등과 같이 크기나 생산지 등에 따라 다양하다. 하지만 필자는 중국에서 한국 쌀이 가치를 인정받았듯 대추도 비슷한 대우를 받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춘천 명품대추는 맛이나 약성에서 탁월하다는 것을 인정받았다. [사진=춘천시 제공]

 

즉 정부, 지자체, 농수산식품유통공사가 우리 쪽 입장에서 서고, 중국에서는 주한중국대사관, 중국 네트워크 전문가, 중국 농업이나 약재 파트너(중량그룹, 통런탕, 톈스리 등)가 협업을 할 수 있으면 된다. 이런 작업이 중장기적으로 이뤄진다면 다양한 제품의 중국 수출이 가능해진다.


필자가 가장 주목하는 것은 춘천시가 가진 산림자원과 약재자원이다. 필자는 아내가 중의학(中醫學)을 전공해 중국에서 살 때, 또 중국을 방문할 때마다 약재시장은 꼭 챙겨봤다. 베이징 인근에 있는 안궈오시장, 청두의 허화츠시장, 쿤밍 약재시장과 옌지의 약재시장 등이 대표적인 방문지다. 이곳에서 확신이 든 것은, 약재에 ‘친환경’과 ‘메이드인코리아’가 붙으면 확실한 가치를 가지고 중국 시장에서 유통될 것이란 점이다.


춘천시는 이 부분에 관심이 많다. 이재수 시장은 농업 전문가로 박사 과정을 농업으로 했다. 젊은 시절에는 ‘한살림’ 등에 참여해 이 부분에 대한 철학이 확고하다. 다른 지자체가 땅을 팔 때, 이재수 시장은 취임 후 100만평 가까운 땅을 사들여 산림 자원을 육성하기 위해 노력했다.


또 다른 매력은 바로 춘천이 바이오산업의 적지라는 것이다. 춘천시는 산하기관으로 춘천바이오산업진흥원을 갖고 있다. 춘천이 가진 산림자원이나 천연생물 자원을 산업화하는 작업을 오래 전부터 하고 있고, 많은 성과를 내고 있다. 실제로 코로나19로 인해 관련 기업의 매출이 증가해 오히려 위기를 기회로 만드는 곳이기도 하다. 이뮨메드, 청도제약, 휴젤 등이 가장 대표적인 기업이다. 


수많은 산림자원도 결과적으로 그것을 가장 유통하기 좋고, 이용하기 좋은 방식으로 가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춘천은 이런 인프라를 갖추고 있다. 중국인들은 2015년 중국인 최초로 노벨생리의학상을 탄 투유유(屠呦呦) 교수에 대한 깊은 인상을 갖고 있다. 투 교수는 개똥쑥에서 항말라리아 성분을 발견해 이 상을 받았다. 필자는 중국에서 생산한 개똥쑥에 비해 한국에서 생산한 개똥쑥이 휠씬 좋은 약성을 갖고 있다고 자신한다. 은행나무에서 추출되는 징코민이 그러하고, 고려인삼이 그러하듯 한국에서 생산되는 생약은 약성이 탁월하다.


때문에 필자는 머잖아 신경숙 이사장을 춘천으로 초청해 관련 일을 협업할 생각을 갖고 있다. 이런 점에서 춘천은 상당히 유리하다. 우선 춘천은 지자체 가운데 드물게 중국 7개 도시와 자매결연을 맺고 있다. 이 가운데는 항저우, 선양, 따리엔 같은 신1선도시가 포함되어 있는데 이 도시의 인구만 합쳐도 6000만 명에 이른다. 네트워킹 전문가들이 관심을 가지면 필자 역시 중량그룹이나 톈스리, 통런탕의 기획 관계자들을 알고 있는 만큼 다양한 일을 시도할 수 있을 것이다. 더욱이 춘천은 중국 사람들이 가장 좋아하는 축구의 최고 스타인 손흥민의 고향이자, 지금도 가족들이 축구학교를 운영하는 곳이다.


거기에 자신의 악업을 씻은 당나라 공주 신화가 있는 청평사, 한나라에 가서 천자가 됐다는 한천자묘, 한중수교의 계기가 된 1983년 어린이날 중국 민항기 착륙 사건의 현장이라는 스토리도 갖고 있다. 문제는 이런 고리들을 잘 연결해 하나로 만드는 것이다.

 

 

조창완 춘천시 시민소통담당관
미디어오늘 기자로 일하다가 중국으로 건너간 1999년부터 중국 전문가로서 언론, 비즈니스, 한·중 교류 분야에서 활동했다. 2008년에 귀국 후 외래교수(한신대), 중국 전문 공무원(새만금개발청), 편집장(차이나리뷰), 기업 임원(보성그룹) 등으로 일했고, 지금은 춘천시 시민소통담당관으로 일하고 있다. 중국자본시장연구회(사단법인) 사업담당 부회장, 문화산업상생포럼(사단법인) 수석부의장도 맡고 있다. 저서로는 <달콤한 중국> 등 13권의 중국 관련서와 <노마드 라이프>, <신중년이 온다>가 있다.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302 정병도 웰마크 사장의 글로벌 비즈니스 비망록(7) kimswed 2867 2022.03.25
301 정병도 웰마크 사장의 글로벌 비즈니스 비망록(6) kimswed 2259 2022.03.19
300 정병도 웰마크 사장의 글로벌 비즈니스 비망록(5) kimswed 1385 2022.03.12
299 정병도 웰마크 사장의 글로벌 비즈니스 4 kimswed 805 2022.03.07
298 웰마크 사장의 글로벌 비즈니스 비망록 kimswed 165 2022.02.22
297 정병도 웰마크 사장의 글로벌 비즈니스 kimswed 188 2022.02.14
296 GS이니마 kimswed 148 2022.02.09
295 쫑차오 경제’를 제대로 활용하는 방법 kimswed 343 2022.01.13
294 동남아에서 K-헬스제품 인기 kimswed 139 2021.12.30
293 초보 무역인이 반드시 알아둬야 할 상사중재 kimswed 163 2021.12.18
292 오스템의 ‘페인 포인트’ 전략 kimswed 140 2021.12.13
291 중국, 인기 제품으로 보는 식품시장 kimswed 74 2021.12.09
290 메이드인 차이넷’의 공습에 대비하라 kimswed 163 2021.10.15
289 왕서방을 통해 왕서방을 잡아라 kimswed 86 2021.08.24
288 차이나는 차이나 비즈니스 ‘왕하이 신드롬 kimswed 102 2021.08.17
287 어글리 슈즈’의 인기 비결 kimswed 110 2021.07.08
286 차이나 비즈니스 업종 카테고리별 핵심 한자 kimswed 159 2021.07.07
285 FOB 조건이 CIF·DDP 조건으로 바뀌고 있다 kimswed 158 2021.06.26
284 화장품 중문 별명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하) kimswed 146 2021.06.14
283 한국 기업들의 글로벌 전시회 활용 전략 kimswed 85 2021.06.09
282 화장품 중문 별명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상) kimswed 94 2021.06.03
281 전파력이 강한 브랜드 별명을 지어라 kimswed 111 2021.05.17
280 중국 ‘싱글 경제’ 유망품목 잡아라 kimswed 80 2021.05.06
279 일본 기업들도 디자인 침해 함정 kimswed 92 2021.03.31
278 ㈜리틀캣 kimswed 123 2021.03.24
277 미얀마 봉제공장 날벼락 kimswed 102 2021.03.18
276 중국 소비시장, ‘전자상거래 kimswed 84 2021.03.16
275 한국은 사실상 규칙 제정자 kimswed 91 2021.03.05
274 중국 외상투자 핵심 新규정 kimswed 97 2021.02.28
273 2억5000명 중국 탈모 시장 kimswed 98 2021.02.23
272 차이나 정반합’의 변증법적 현지화 경영 kimswed 173 2021.02.09
271 농심의 ‘현지화 경영’ 사례에서 배우다 kimswed 305 2021.01.18
270 고헌정영농조합법인 kimswed 275 2020.12.11
269 충북기업 승현기업 kimswed 136 2020.11.24
268 (주)로덱 kimswed 160 2020.11.14
267 12월 1일 발효 중국 수출통제법 kimswed 137 2020.11.01
» 한국 농산물 중국 수출의 물꼬가 터졌다 kimswed 155 2020.10.29
265 중국사업, 국가표준(GB)에 익숙해져야 한다(2) kimswed 118 2020.10.25
264 중국사업, 국가표준(GB)에 익숙해져야 kimswed 92 2020.10.18
263 중국, 홈뷰티 디바이스 열풍 뜨겁다 kimswed 98 2020.1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