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피B/L 받으면 계약서와 다른 점이 있는지 반드시 확인해야

 

계약서의 어떠한 조항도 누군가의 이해관계나 이익을 대변하지 않는 것은 없습니다.”

 

한국무역협회가 4월 2일 삼성동 트레이드타워에서 개최한 수출입계약서 작성 및 분쟁관리 설명회에서 강두웅 국제변호사는 이렇게 밝히고 무역업체들이 계약서 작성 단계에서 신중을 기해 줄 것을 신신당부했다이날 설명회는 협회의 분야별 전문가 무역상담 서비스인 ‘Trade SOS’에서 의뢰받은 사례들을 중심으로 수출입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분쟁과 우리 기업의 대응방법 등을 전달했다.

 

무역분쟁 컨설턴트인 김범구 변호사는 발표에서 물류 분쟁사례운송인의 권리와 의무효과적인 손해배상 청구방법 등을 소개했다그는 분쟁해결조항은 계약서 작성 당시 삽입해야 한다며 계약서의 중요성을 강조했다또 카피비엘을 받으면 계약서와 대조해 다른 점이 있는지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며 안 그러면 나중에 책임져야 할 소지가 있다고도 당부했다.

 

선하증권(B/L)의 분실에 대해서는 “B/L은 돈이자 화물이라며 잃어버린 B/L이 다시 오지 말란 법이 없기에 재발행은 없다고 말했다또 “B/L을 잃어버린 경우 각서를 받아 물건을 가져가거나 법원으로부터 B/L의 제권판결을 받고 해당 B/L을 무효로 해야 한다면서도 시간이 6개월 이상 걸리기에 개설은행 등이 연서로 보증하는 화물선취보증장(L/G)을 발급받아 화물인도를 청구하는 것이 보통이라고 설명했다.

 

김 변호사는 이러한 보증도에 대해 운송인 A가 바쁜 나머지 L/G의 진정성 여부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수입화물을 선하증권 소지인이 아닌 제3자에게 교부한 사례를 들었다이때 선하증권 소지인이 나타나서 책임을 묻자, A는 신용장이 개설은행의 명의로 발행되었다는 이유로 억울함을 호소했다

 

그러나 대법원에서는 보증도가 매우 변칙적이고 예외적인 것이라며 운송인 A의 주장을 거절했다대법원판례는 보증도가 권리가 아님을 주지하며 보증도의 관행은 운송인이 수하인의 편의를 위해 시혜적으로 수하인의 요청에 응하는 것일 뿐이라고 설명했다.

 

김 변호사는 귀사가 운영하는 수출계약이 하주적입이라 하면 컨테이너 안의 적입 사진을 찍어야 운송인 사고에 대한 귀책을 면할 수 있다고 말했다. ‘하주적입(Shipper’s Load & Count)’에서는 컨테이너 적입(積入, Stuffing) 과정을 운송인이 아닌 하주(荷主)가 직접 하기에 이 과정에서 수출자의 과실이 없다는 것을 증명할 필요가 있다

 

그는 외관상 양호한 상태로 선적됐다는 기재가 있다고 해도 컨테이너 안의 내용물까지 양호한 상태로 추정할 수는 없다며 이런 경우 양호한 상태로 인도했다는 점을 입증해야 한다고 말했다미수금 확대 예방을 위해서는 일정액 미수 정도 도달 시점에는 추가발주를 금지하는 사항을 계약서에 삽입하는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며 전체금액 기준 내지 비율로 정하는 것도 좋다고 덧붙였다.

 

또 분쟁이 있을 때 상대에게 귀책이 있어도 장기적인 비즈니스 파트너로서 함께하기 위해 면책을 해 주고 싶은 경우 상대의 귀책과 다시는 이런 일이 발생하지 않을 것을 요구하는 사항을 서류로 남겨야 한다며 그렇지 않으면 습관적으로 이런 일이 반복될 수 있다고 당부했다.

 

 

▲한국무역협회가 4월 2일 삼성동 트레이드타워에서 개최한 ‘수출입계약서 작성 및 분쟁관리 설명회’에서 협회의 Trade SOS 무역분쟁 분야 상담위원 김범구 변호사가 국제물류 분쟁관리 방안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김 변호사는 무역분쟁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무역업체들이 계약서 작성 단계에서 신중을 기해 줄 것을 당부했다. [사진=한국무역협회 제공]

 

 

국제계약 컨설턴트인 강두웅 미국변호사 또한 계약서의 중요성을 거듭 강조했다심지어는 이메일 무역사기도 계약서를 통해 예방할 수 있다고 주지했다계약서에 이메일로 계좌가 변경됐다는 연락을 받으면 돈을 보내지 않는다는 조항을 삽입하면 된다는 것이다.

 

그는 계약서 작성은 증거자료실행 매뉴얼분쟁해결 가이드라인의 역할을 할 수 있다고 말했다또 계약서는 구체적인 실행매뉴얼인데 자세한 사항은 추후 합의한다는 말이 너무 많다며 구체적으로 어떻게 한다는 얘기가 다 있어야 한다고 했다.

 

다만 분쟁해결의 가이드라인 역할을 하려면 제3자가 봐도 이해를 할 수 있게 써야 한다며 스스로 이해할 수 있는 계약서가 가장 좋은 계약서라고 말했다또 한편으로는 좋은 계약서는 자세할수록 좋다며 간단한 계약서는 법적 해석이 어려울 수 있다고도 지적했다.

 

그는 계약서가 중요한 이유로 분쟁을 예방할 수 있기 때문이라는 점을 꼽았다많은 수출기업들이 비용 문제로 계약서 작성에 꼼꼼하지 못하다고 지적하며 계약서 작성 비용은 계약서 검토의 2~3소송은 그 10배 이상중재는 그 15배 이상 든다고 말했다또 형편이 어려우시면 소송이나 중재 감당 못하니 계약서라도 잘 쓰셔야 한다며 결론은 예방이라고 강조했다.

 

강 변호사는 계약서의 모든 문구가 갑을 간 이해관계를 조율한다고 거듭 당부했다그는 진짜 잘 쓴 계약서는 내게 유리한 계약서라며 공평한 계약서(Fair Contract)는 한번도 본 적 없다고 지적했다

 

그렇다면 계약서를 어떻게 써야 하느냐에 대해서는 좋은 계약서에는 정의(Definition)가 있다며 의미를 규정하고 제한하는 것이 있어야 한다고 지적했다이를테면 클레임에서는 명확하게 하자의 기준을 규정해야 한다며 외국의 사례에서는 이 계약서에 보장하는 것 외에는 보장하지 않는다는 문구를 넣는다고 예를 들었다.

 

 논웨이버(non-waiver)는 수출자 입장에서 아주 좋은 조항이라며 그 당시 나의 권리를 행사하지 않았다 해도 나중에 행사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이를 통해 과거의 하자를 빌미로 계약 해지를 통지할 수 있다는 것이다

 

한편으로는 계약서의 ‘constitutes the entire agreement’라는 문구에 대해 주의해야 한다며 이 계약을 다른 것으로 대체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며 지금까지 한 계약을 거짓으로 만드는 것과 다름없는 무서운 조항이라고 평했다.

 

품질보증(Warranty)의 경우 내용을 포괄적으로 쓸수록 딜러(수입자)에게 유리제한적으로 쓸수록 프린시펄(수출자)에게 유리하며 기간(Duration)은 길면 길수록 딜러에게 유리짧을수록 프린시펄에게 유리하다고 지적했다해지와 연장의 경우도 해지를 쉽게 하면 프린시펄에게연장을 쉽게 하면 딜러에게 유리하다고 평했다.

 

계약서 검토의 마지막 사항으로는 계약서에 사인한 자에게 회사를 대표해서 사인할 권한이 있는지를 확인해야 한다며 계약의 유효 날짜는 사인한 날로부터 하도록 연동할 것을 권했다.

 

한편으로 강 변호사는 분쟁해결방식으로 중재를 권했다국제적으로 강제성이 있는 뉴욕협약에 의해 실효성이 보장되기 때문이다그는 분쟁해결에 있어 우선 준거법과 관할지를 규정해야 한다며 가까운 곳이 가장 유리하다고 귀뜸했다

 

그는 작은 기업일수록 계약서 작성단계에서부터 안전장치를 마련하지 않으면 나중에는 돈을 들여서도 상황을 바꿀 수 없다고 강조하면서 수출입계약서의 기본 구성요소인 계약 당사자대금 지불 및 물품 인도품질계약기간 및 해지분쟁해결 관련 조항은 절대 빠뜨리지 말라고 당부했다.

 

무역협회 허덕진 회원지원본부장은 수출입 거래 시에는 언제든지 예상치 못한 변수가 발생할 수 있고 이는 기업의 비용으로 직결되므로 거래 초기단계부터 분쟁상황에 대비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한편 설명회에 강연한 전문가들은 ‘TradeSOS’ 서비스의 상담위원들로 구성됐다이는 무역협회가 무료로 운영하는 수출입 실무통관해외규격국제계약 등 분야별 전문가의 상담 서비스로홈페이지(tradesos.kita.net) 또는 콜센터(1566-5114)로 신청할 수 있다.

 

김영채 기자

 



한국무역신문 wtrade07@gmail.com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97 위탁판매방식으로 화장품을 수출 kimswed 2016.11.10 11779
196 금 수입절차 및 유의점에 대해 알려달라 kimswed 2021.09.07 8237
195 신용장 거래 시 발생한 하자 및 지급거절(unpaid) kimswed 2022.02.21 7503
194 브렉시트에 따른 영국인증 UKCA kimswed 2022.02.15 7396
193 중개무역 관련 계약서 작성 요령과 유의사항 kimswed 2022.01.30 7224
192 왕초보 무역 해상운송에서의 수입물류 프로세스 kimswed 2022.04.18 7120
191 국제계약서 작성 시 준거법 및 관할권 설정 kimswed 2021.11.02 7051
190 관세와 관련해 초보무역인이 알아야 할 것 kimswed 2022.05.14 7015
189 해외지사에서 본사 수출대금을 수령할 수 있나 kimswed 2022.02.02 7000
188 신용장 조건에 국제 금융제재 관련 불합리한 문구 kimswed 2022.01.23 6916
187 수입사의 선수금 반환보증서(AP Bond) 발행 능력 부족 kimswed 2021.11.01 6916
186 의료기기를 러시아에 수출할 때 kimswed 2022.02.07 6899
185 인도네시아 조인트벤처(JV) 설립계약서 작성할 때 주의 kimswed 2022.01.01 6879
184 국내 보세구역에 납품했을 때 수출실적 인정 kimswed 2021.12.06 6871
183 사례로 보는 터키발 무역 사기 kimswed 2022.01.19 6836
182 합성목재 제품을 미국으로 수출할 때 kimswed 2021.11.15 6835
181 싱가포르에 압력용기를 수출할 때 MOM Certificate kimswed 2021.11.05 6831
180 기능성 샴푸를 사우디에 수출할 때 kimswed 2021.11.28 6812
179 무역사기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확인해 볼 3가지 kimswed 2022.01.19 6805
178 미국과 일본시장 진출 때 필요한 자전거용 헬멧 kimswed 2021.11.09 6790
177 ‘Escalation Clause (물가 연동 조항)’이 왜 필요한가 kimswed 2021.12.14 6780
176 중국에서 수리 등 목적으로 수입한 제품의 제3국 수출 kimswed 2021.10.25 6712
175 베트남 바이어가 VMI(공급자 주도형 재고관리) 시스템을 요구 kimswed 2021.09.22 6702
174 인도에서 OEM 제조해 벨라루스로 수출할 때 kimswed 2021.09.23 6650
173 중소기업, 바이어 명의도용 무역 사기 kimswed 2021.10.15 6605
172 한-아세안 FTA에서 ‘민감품목 kimswed 2021.09.03 6326
171 선진국과 거래할 때도 무역사기 주의해야 kimswed 2021.08.20 5852
170 개정된 베트남 수출입 세법에서 주의 kimswed 2021.09.03 5630
169 바이어가 한-중 FTA 원산지증명서 정정 발급을 요청 kimswed 2021.08.14 5286
168 B/L 등 무역서류 실시간 공유 kimswed 2022.12.22 49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