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로 다른 국적을 가진 당사자 간에 맺어진 국제계약서를 검토하다 보면 종종 준거법(Governing Law) 및 관할 법원(Jurisdiction)에 대한 부분이 문제가 되는 경우들이 있다. 
 
계약서를 아무리 자세히 작성한다고 하더라도 해석 상 이견이 전혀 없도록 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따라서, 국제계약 체결 시 계약 당사자들은 계약의 성립, 이행, 해석 시 어느 나라 법률에 따를 것인지 지정해둘 필요가 있다. 
 
특히 계약 분쟁이나 클레임 발생 시 준거법 및 관할 법원 규정은 분쟁 해결을 위한 비용, 시간 및 노력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실제 국제 계약서 상 준거법 및 관할 법원 설정의 중요성을 여실히 보여줄 수 있는 사례가 있어 간단히 소개하고자 한다.
 
한국 업체 A는 브라질 업체 B로부터 제품을 수입하여 판매하는데, 수입 제품 중 하자를 발견했고, 이에 브라질 업체 B에 하자 발생에 대한 클레임을 제기했다. 
 
하지만 B 업체에서는 적절한 조치를 취하지 않고 모르쇠로 일관하는 태도를 보였다.
 
이에 A 업체는 답답한 마음으로 B 업체와의 계약서를 찾아보게 되었다. 
 
그런데, 계약서를 꼼꼼히 살펴 보다 보니 계약 분쟁 발생 시 스위스 법령에 따라 스위스국제중재원에서 중재를 진행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계약 체결 당시 제품 수량이나 금액 등에만 집중하다 보니 준거법 및 관할 법원 조항을 단순 의례적인 내용으로 생각하고 대수롭지 않게 여겼던 것이다. 
 
수입 제품에 하자가 발생하여 판매 및 유통이 불가능하게 되어버린 지금에 와서, 더구나 전 세계적인 코로나19 펜데믹 사태로 해외 출장도 어려운 이 시기에 스위스까지 가서 분쟁 해결을 해야 하는 상황에 처한 것이다. 
 
현지 변호사 섭외 비용, 출장비, 스위스 중재소 비용 등 계약서 조항에 따라 중재 절차를 진행하게 될 경우 발생될 예상치 못한 막대한 비용 부담이 발생한다. 
 
때문에 A 업체는 무리해서라도 중재 절차를 진행할지 혹은 하자 제품으로 인한 손해를 감수할지 심각하게 고민해야 하는 상황에 놓이게 되었다. 
 
국제계약은 아무리 우호적인 비즈니스 관계에서 진행하게 되더라도 계약서 상 당사자 간의 입장과 최적의 협상 내용을 반영하고 있는지 면밀한 검토가 필요하다. 
 
특히, 준거법 및 관할 법원 조항은 A 업체 사례처럼 보통 중요하지 않게 여기다가 계약 분쟁이 발생한 시점에 이르러서야 비로소 찾아보게 되는데, 이 때는 이미 되돌릴 수 없는 상황이다.
 
국제계약은 서로 다른 국적의 개인 혹은 기업 간에 진행이 되기 때문에 보통 양 당사자 중 한쪽 국가의 법령을 준거법으로 설정하거나, 혹은 형평성을 고려하여 아예 제 3국으로 준거법을 설정하는 경우도 있다. 
 
만약, 양 당사자 간에 준거법이나 관할법원 설정에 대한 합의가 어려운 경우 국제분쟁의 법원 판결 효력에 대한 이슈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제 3국 국가에서 국제 중재를 고려해 보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 국제 중재 결과를 해당 국가에 집행하는 후속 절차가 진행되어야 하기 때문에 그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도 잊지 않고 사전에 따져보아야 한다. 
 
국제계약 체결 시 준거법 및 관할 법원 설정 문제는 계약 위반 시 그에 상응하는 손해배상에 대한 법규 적용 및 해석과 관련하여 중대한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계약서 서명 전 신중히 검토한 후 결정해야 하며 관할에 대한 합의가 있었더라도 이러한 합의 내용이 해당 국가에서 유효한지, 판결 내용을 집행하기에 적절한지까지 고려해야 한다.
 
한국무역협회 회원서비스실 제공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00 위탁판매방식으로 화장품을 수출 kimswed 2016.11.10 11788
199 금 수입절차 및 유의점에 대해 알려달라 kimswed 2021.09.07 8276
198 신용장 거래 시 발생한 하자 및 지급거절(unpaid) kimswed 2022.02.21 7533
197 브렉시트에 따른 영국인증 UKCA kimswed 2022.02.15 7396
196 중개무역 관련 계약서 작성 요령과 유의사항 kimswed 2022.01.30 7233
195 왕초보 무역 해상운송에서의 수입물류 프로세스 kimswed 2022.04.18 7123
» 국제계약서 작성 시 준거법 및 관할권 설정 kimswed 2021.11.02 7058
193 관세와 관련해 초보무역인이 알아야 할 것 kimswed 2022.05.14 7016
192 해외지사에서 본사 수출대금을 수령할 수 있나 kimswed 2022.02.02 7004
191 수입사의 선수금 반환보증서(AP Bond) 발행 능력 부족 kimswed 2021.11.01 6930
190 신용장 조건에 국제 금융제재 관련 불합리한 문구 kimswed 2022.01.23 6916
189 의료기기를 러시아에 수출할 때 kimswed 2022.02.07 6899
188 인도네시아 조인트벤처(JV) 설립계약서 작성할 때 주의 kimswed 2022.01.01 6880
187 국내 보세구역에 납품했을 때 수출실적 인정 kimswed 2021.12.06 6879
186 합성목재 제품을 미국으로 수출할 때 kimswed 2021.11.15 6837
185 사례로 보는 터키발 무역 사기 kimswed 2022.01.19 6836
184 싱가포르에 압력용기를 수출할 때 MOM Certificate kimswed 2021.11.05 6832
183 기능성 샴푸를 사우디에 수출할 때 kimswed 2021.11.28 6812
182 무역사기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확인해 볼 3가지 kimswed 2022.01.19 6805
181 미국과 일본시장 진출 때 필요한 자전거용 헬멧 kimswed 2021.11.09 6792
180 ‘Escalation Clause (물가 연동 조항)’이 왜 필요한가 kimswed 2021.12.14 6783
179 중국에서 수리 등 목적으로 수입한 제품의 제3국 수출 kimswed 2021.10.25 6714
178 베트남 바이어가 VMI(공급자 주도형 재고관리) 시스템을 요구 kimswed 2021.09.22 6705
177 인도에서 OEM 제조해 벨라루스로 수출할 때 kimswed 2021.09.23 6651
176 중소기업, 바이어 명의도용 무역 사기 kimswed 2021.10.15 6605
175 한-아세안 FTA에서 ‘민감품목 kimswed 2021.09.03 6327
174 선진국과 거래할 때도 무역사기 주의해야 kimswed 2021.08.20 5852
173 개정된 베트남 수출입 세법에서 주의 kimswed 2021.09.03 5631
172 바이어가 한-중 FTA 원산지증명서 정정 발급을 요청 kimswed 2021.08.14 5287
171 B/L 등 무역서류 실시간 공유 kimswed 2022.12.22 49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