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로 다른 국적을 가진 당사자 간에 맺어진 국제계약서를 검토하다 보면 종종 준거법(Governing Law) 및 관할 법원(Jurisdiction)에 대한 부분이 문제가 되는 경우들이 있다. 
 
계약서를 아무리 자세히 작성한다고 하더라도 해석 상 이견이 전혀 없도록 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따라서, 국제계약 체결 시 계약 당사자들은 계약의 성립, 이행, 해석 시 어느 나라 법률에 따를 것인지 지정해둘 필요가 있다. 
 
특히 계약 분쟁이나 클레임 발생 시 준거법 및 관할 법원 규정은 분쟁 해결을 위한 비용, 시간 및 노력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실제 국제 계약서 상 준거법 및 관할 법원 설정의 중요성을 여실히 보여줄 수 있는 사례가 있어 간단히 소개하고자 한다.
 
한국 업체 A는 브라질 업체 B로부터 제품을 수입하여 판매하는데, 수입 제품 중 하자를 발견했고, 이에 브라질 업체 B에 하자 발생에 대한 클레임을 제기했다. 
 
하지만 B 업체에서는 적절한 조치를 취하지 않고 모르쇠로 일관하는 태도를 보였다.
 
이에 A 업체는 답답한 마음으로 B 업체와의 계약서를 찾아보게 되었다. 
 
그런데, 계약서를 꼼꼼히 살펴 보다 보니 계약 분쟁 발생 시 스위스 법령에 따라 스위스국제중재원에서 중재를 진행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계약 체결 당시 제품 수량이나 금액 등에만 집중하다 보니 준거법 및 관할 법원 조항을 단순 의례적인 내용으로 생각하고 대수롭지 않게 여겼던 것이다. 
 
수입 제품에 하자가 발생하여 판매 및 유통이 불가능하게 되어버린 지금에 와서, 더구나 전 세계적인 코로나19 펜데믹 사태로 해외 출장도 어려운 이 시기에 스위스까지 가서 분쟁 해결을 해야 하는 상황에 처한 것이다. 
 
현지 변호사 섭외 비용, 출장비, 스위스 중재소 비용 등 계약서 조항에 따라 중재 절차를 진행하게 될 경우 발생될 예상치 못한 막대한 비용 부담이 발생한다. 
 
때문에 A 업체는 무리해서라도 중재 절차를 진행할지 혹은 하자 제품으로 인한 손해를 감수할지 심각하게 고민해야 하는 상황에 놓이게 되었다. 
 
국제계약은 아무리 우호적인 비즈니스 관계에서 진행하게 되더라도 계약서 상 당사자 간의 입장과 최적의 협상 내용을 반영하고 있는지 면밀한 검토가 필요하다. 
 
특히, 준거법 및 관할 법원 조항은 A 업체 사례처럼 보통 중요하지 않게 여기다가 계약 분쟁이 발생한 시점에 이르러서야 비로소 찾아보게 되는데, 이 때는 이미 되돌릴 수 없는 상황이다.
 
국제계약은 서로 다른 국적의 개인 혹은 기업 간에 진행이 되기 때문에 보통 양 당사자 중 한쪽 국가의 법령을 준거법으로 설정하거나, 혹은 형평성을 고려하여 아예 제 3국으로 준거법을 설정하는 경우도 있다. 
 
만약, 양 당사자 간에 준거법이나 관할법원 설정에 대한 합의가 어려운 경우 국제분쟁의 법원 판결 효력에 대한 이슈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제 3국 국가에서 국제 중재를 고려해 보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 국제 중재 결과를 해당 국가에 집행하는 후속 절차가 진행되어야 하기 때문에 그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도 잊지 않고 사전에 따져보아야 한다. 
 
국제계약 체결 시 준거법 및 관할 법원 설정 문제는 계약 위반 시 그에 상응하는 손해배상에 대한 법규 적용 및 해석과 관련하여 중대한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계약서 서명 전 신중히 검토한 후 결정해야 하며 관할에 대한 합의가 있었더라도 이러한 합의 내용이 해당 국가에서 유효한지, 판결 내용을 집행하기에 적절한지까지 고려해야 한다.
 
한국무역협회 회원서비스실 제공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97 안전수출 가이드(3)] 해외바이어 신용조사 kimswed 2024.03.26 3
196 국내생산 수출물품, 수출기업이 포장해도 관세환급 kimswed 2024.03.02 9
195 KOTRA·buyKOREA 사칭 메일에 주의해주세요 kimswed 2023.11.08 17
194 원산지증명서 발급 유의사항 kimswed 2023.09.09 26
193 해상운송에서의 수입물류 프로세스 kimswed 2023.09.06 14
192 품목별 원산지 결정기준의 선택 kimswed 2023.09.04 16
191 어려운 FTA 원산지판정, kimswed 2023.08.28 16
190 글로벌 시장 변화 속에서 찾은 유망 틈새 품목 kimswed 2023.08.25 16
189 왕초보무역 관세환급이 뭐예요? kimswed 2023.08.19 18
188 바이어 새 계좌번호로 수출대금 송금했는데, '스피어피싱 kimswed 2023.03.28 401
187 기업이 자사 수출실적 정보 조회·관리·전송 kimswed 2023.03.11 1285
186 무역사기 주요 패턴으로 알아보는 피해방지법 kimswed 2023.03.07 1819
185 이메일․금품수수 등 무역사기 수법 kimswed 2023.02.28 1806
184 과도한 규제와 인허가 절차, 글로벌 기준으로 개선 kimswed 2023.01.21 3488
183 B/L 등 무역서류 실시간 공유 kimswed 2022.12.22 4972
182 관세와 관련해 초보무역인이 알아야 할 것 kimswed 2022.05.14 7015
181 왕초보 무역 해상운송에서의 수입물류 프로세스 kimswed 2022.04.18 7120
180 신용장 거래 시 발생한 하자 및 지급거절(unpaid) kimswed 2022.02.21 7506
179 브렉시트에 따른 영국인증 UKCA kimswed 2022.02.15 7396
178 의료기기를 러시아에 수출할 때 kimswed 2022.02.07 6899
177 해외지사에서 본사 수출대금을 수령할 수 있나 kimswed 2022.02.02 7000
176 중개무역 관련 계약서 작성 요령과 유의사항 kimswed 2022.01.30 7224
175 신용장 조건에 국제 금융제재 관련 불합리한 문구 kimswed 2022.01.23 6916
174 사례로 보는 터키발 무역 사기 kimswed 2022.01.19 6836
173 무역사기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확인해 볼 3가지 kimswed 2022.01.19 6805
172 인도네시아 조인트벤처(JV) 설립계약서 작성할 때 주의 kimswed 2022.01.01 6879
171 ‘Escalation Clause (물가 연동 조항)’이 왜 필요한가 kimswed 2021.12.14 6780
170 국내 보세구역에 납품했을 때 수출실적 인정 kimswed 2021.12.06 6871
169 기능성 샴푸를 사우디에 수출할 때 kimswed 2021.11.28 6812
168 합성목재 제품을 미국으로 수출할 때 kimswed 2021.11.15 68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