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 9한국산 구매경험 있음’&‘계속 구매할 것

“화장품·식품·전자제품 등 앞으로도 베트남 수출 유망“

 

우리나라의 3위 수출국인 베트남 시장에서 한국 상품의 가장 큰 경쟁상대는 일본인 것으로 나타났다. 2018년까지 1위 경쟁국이었던 중국은 3위로 밀려났다.

 

베트남 소비자의 소득수준이 높아진 가운데 코로나19를 거치며 한국의 국가 브랜드 파워가 강해져 저가의 중국·대만 제품보다 부가가치가 높은 일본·미국 제품과의 경합도가 높아진 것으로 풀이됐다.

 

한국무역협회 호치민지부가 지난 5월 베트남 바이어 및 일반 소비자 956명을 대상으로 한국 및 한국 상품에 대한 인식조사를 실시한 결과응답자의 80.3%가 한국 상품의 경쟁력이 강해지고 있다고 평가했다.

 

한국 상품을 대체할 경쟁국으로는 일본(70%, 복수응답)을 가장 많이 지목했고미국(26%)과 중국(20.7%)이 뒤를 이었다. 2018년 조사에서 경쟁국 1위에 올랐던 중국은 당시 2위였던 일본은 물론미국에도 밀리며 올해는 3위로 내려앉았다당시 경쟁 대상 3위였던 대만도 올해 조사에서는 6위로 밀려났다.

 

보고서는 베트남의 소득수준이 높아지면서 가격보다 품질을 보고 제품을 구매하는 소비자들이 늘어난 데다저가 중국 상품에 대한 불신이 확산된 것이 주요 원인이라고 분석했다.

 

한국이라는 국가 브랜드 파워에 대해서는 팬데믹 이후 브랜드 파워가 강화됐다(52.4%)’는 응답이 절반을 넘었다반면, ‘약화됐다는 응답은 6.2%에 불과했다국가 브랜드가 한국 상품 구매에도 영향을 미쳤다는 응답이 절대다수(93.8%)를 차지해이 또한 긍정적인 영향(89.3%)을 미친 것으로 분석됐다.

 

국가 브랜드 파워의 강화 요인으로는 ‘K-콘텐츠의 확산(46.3%)’을 가장 많이 꼽았고다음으로 방역 및 신뢰 이미지 강화(17.8%)’, ‘한국 기업의 발전(15.4%)’ 순으로 응답했다.

 

한편베트남인 10명 중 9(92.9%)이 최근 1년 내 한국 상품 구매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앞으로도 한국 상품을 계속 구매할 것이라는 응답도 93.8%에 달했다한국산 구매 의사는 남성보다 여성이 강했으며소비자의 연령이 어릴수록 강했다.

 

구매 사유로는 한국제품의 품질(59.9%)’을 지목했다소비자의 87.3%, 바이어의 67.3%가 한국 상품의 경쟁력이 강해지고 있다고 답변했다.

 

주요 구매채널은 ‘SNS, 인터넷직구홈쇼핑 등’ 온라인 채널이 72.9%(복수응답), ‘마트 및 편의점의 오프라인 채널이 71.8%로 나타나코로나19 팬데믹에도 불구하고 오프라인 구매를 온라인과 거의 비슷하게 활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베트남 유망 수출품목으로 현지 소비자들은 화장품·식품·전자제품바이어는 전자제품·건강식품·화장품을 꼽았다보고서는 우리 기업들의 베트남 수출 주력 품목인 화장품·식품·전자제품 등은 앞으로도 전망이 밝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동원 한국무역협회 호치민지부장은 베트남에서 한국의 브랜드 파워는 나날이 좋아지고 있으며우수한 품질과 세련된 디자인을 바탕으로 한국 상품의 경쟁력도 계속 강화되고 있다면서 우리 기업들은 유망 품목을 중심으로 일본 상품과의 차별화 전략가격 경쟁력 강화 등을 통해 베트남 시장을 공략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김영채  weeklyctrade@kita.net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328 베트남 통신(285) 내수 경제 kimswed 99 2023.04.13
327 베트남 통신(284) 회복 시기 kimswed 447 2023.03.31
326 베트남 통신(283) 내수 소비 kimswed 2225 2023.03.16
325 베트남 거시경제 kimswed 3576 2023.03.03
324 베트남 (281) 수출 목표 kimswed 5127 2023.02.16
323 베트남 글로벌 시장 kimswed 6278 2023.02.04
322 베트남 잠재력 높은 시장 kimswed 7785 2023.01.20
321 베트남 소매시장, 편의점 늘고 생활용품 매장 줄어 kimswed 7713 2023.01.17
320 베트남, 의료시장 진출 기회를 넓혀라 kimswed 7142 2023.01.13
319 베트남, 의료시장 진출 기회를 넓혀라 kimswed 7541 2023.01.13
318 베트남 자산 가치 kimswed 7749 2023.01.04
317 베트남 유통시장 활성화 kimswed 8814 2022.12.22
316 베트남 글로벌 경기침체 kimswed 9980 2022.12.08
315 베트남 식품 수요 kimswed 11116 2022.11.24
314 베트남, 채식이 주류 식문화로 부상할까? kimswed 11603 2022.11.18
313 베트남 소비시장 동향 kimswed 11981 2022.11.10
312 베트남에서 쏟아지는 한국 위조상품 kimswed 12021 2022.11.01
311 베트남 소매시장 회복 kimswed 11736 2022.10.27
310 세계의 섬유공장’에 가해진 타격 kimswed 11494 2022.10.25
309 베트남 관광산업 환경 kimswed 11546 2022.10.20
308 베트남, Z세대가 열광하는 e스포츠 시장 kimswed 11374 2022.10.10
307 베트남 소비활성화 kimswed 11302 2022.09.29
306 베트남 달러 강세 kimswed 11321 2022.09.17
305 베트남 무역 포털(VNTR) 활용법 ‘A to Z’ kimswed 11387 2022.08.21
304 베트남 경기 침체 kimswed 11350 2022.08.09
303 베트남은 지금도 기회의 땅 kimswed 11338 2022.07.23
302 코로나19 팬데믹 후 첫 바이어 대면 kimswed 11335 2022.07.18
» 베트남 소비시장, 한국 최대 경쟁자는 ‘일본’ kimswed 11264 2022.07.08
300 베트남, 인플루언서 마케팅 활용하는 법 kimswed 11297 2022.07.06
299 베트남, 6대 시장 트렌드 kimswed 11243 2022.07.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