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 온라인쇼핑 환경변화

kimswed 2020.06.18 07:55 조회 수 : 120

베트남의 4대 전자상거래 플랫폼 중에서 토종 사업자인 티키(Tiki)와 센도(sendo)는 1년간의 합병 협상을 마치고 마침내 합병을 선언했다대형 해외 전자상거래 플랫폼인 라자다(Lazada) 및 쇼피(Shopee)와의 경쟁에 대응하기 위함이다.

 

딜스트리트 아시아(Dealstreet Asia)는 보도자료를 통해 티키와 센도가 베트남 시장에서 상호 시너지를 창출하고 치열한 경쟁을 자제하여 적자를 줄이라는 주변 권고를 받아들여 합병하기로 합의했다고 밝혔다.

 

해외사업자인 알리바바(Alibaba)가 대주주인 라자다와 싱가포르의 기술 거인 씨그룹(SEA Group)이 대주주인 쇼피가 선두를 확보하기 위한 과다한 프로모션을 주도하면서 베트남의 전자상거래 시장은 경쟁이 과열되고 모든 사업자들의 적자는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2015~2016년에 라자다는 연간 약 1조 동(4348만 달러)의 손실을 보고함으로써 시장을 놀라게 했다. 2016년 Big 4 (라자다쇼피티키센도)의 총 손실은 17000억 동(7390만 달러)을 기록했다. 2017년에는 34000억 동(14783만 달러), 2018년 51000억 동(22174만 달러)으로 점차 손실의 규모가 증가했다.

 

라자다의 연간 손실 규모가 현재 2조 동(8696만 달러)에 이르며 최대 경쟁자인 쇼피도 거의 동일한 규모의 손실을 내고 있다. 2018년 말 현재 티키는 누적된 적자가 14000억 동(6087만 달러)을 기록했으며 센도는 13000억 동(5650만 달러)의 누적 손실을 기록했다.

 

2020년 5월 18일에 발표한 베트남 전자상거래 개발계획에 따르면 전자상거래 매출은 2025년 350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하며 전국 소매 및 서비스 매출의 10%를 전자상거래 목표로 하고 있다전자상거래의50%는현금없는 전자결제 방식의 거래로, 70%는 전자영수증을 발행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구글(Google) 및 테마섹(Temasek)의 동남아시아의 2019 인터넷 경제 보고서에 따르면 베트남은 2025년까지 인구의 55%가 온라인쇼핑을 하며 소비금액은 1인당 연평균 600달러로 예상한다베트남의 전자상거래 시장은 2015년 이후 연평균 38%의 성장률을 기록한 유망시장이며 향후 지속적인 발전이 전망되고 있다.

 

코로나19 이후 소비자 쇼핑 행동의 변화로 인해 전자상거래가 급증하면서 온라인쇼핑의 필요성 증가로 인해 솔루션 제공업체는 성황 속에 발전하고 있다사포(Sapo)와 같은 옴니채널 영업관리 소프트웨어에 대한 수요가 발생했다. Big4 플랫폼에서 공식매장을 쉽게 구축할 수 있는 이콤이지(EcomEasy)도 수혜업체다.

 

페이스북(Facebook)은 2020년 5월에 샵스(Shops)라는 새로운 기능을 출시하면서 메신저인 왓츠앱(WhatsApp) 및 통합결제 기능과 연결된 전자상거래 플랫폼을 설정할 계획이다이에 따라 왓츠앱은 응용 프로그램의 파트너를 찾고 있다.

 

동남아시아 전자상거래 시장 진출이 기정사실로 여겨지고 있는 페이스북은 베트남에서 고비엣(Go-Viet) 이라는 이름으로 승차공유배달서비스 및 핀테크업체로 활동하는 인도네시아 기반의 고젯(Gojek)에 투자했다고 최근 발표했다.

 

베트남 전자상거래 플랫폼 Big4 중에서 3개 업체의 2020년 1분기 웹사이트의 월평균 방문 트래픽이 매출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전년 동기 대비 9% 감소했다정품판매 비중이 높은 티키는 변화가 없으나 라자다와 센도의 하락 폭은 컸다.

 

2020년 1분기 월평균 트래픽의 품목별 변화를 살펴보면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특수를 누린 식료품에서 45% 대폭 증가했으며 재택근무로 인한 수요의 수혜품목인 가정용 전자제품에 대한 트래픽은 5% 증가에 그쳤다.

 

특히전자상거래에서 전통적으로 강세인 품목의 트래픽이 부진을 보였다패션에서는 38% 감소했고 음력설(Tet)이 포함된 판매 성수기에도 불구하고 화장품은 10%, 전자제품은 5%의 증가에 머물렀다.

 

전자상거래 플랫폼은 상품을 판매하는 사업자에게 경비 절감의 이점을 제공하고 있다오프라인 매장 운영 경비를 대폭 절감하면서 판매를 늘릴 수 있기 때문이다상품 배송비를 포함하여 25% 이하의 저렴한 온라인 수수료만으로 상품을 판매할 수 있다또한점포 운영의 불필요한 초기 투자비도 절감할 수 있다.

 

베트남에 진출하려는 한국의 중소기업들은 현지의 바이어를 선정할 때 발전 방향에 부합하도록 정품 중심으로 건전하고 투명한 영업을 하고 있는지오프라인 매장과 함께 다채널 또는 옴니채널(Omni-channel)로 온라인에서 경비를 절감하며 고객의 신뢰를 확보하려는 노력을 중요시하는 바이어인지 확인할 필요가 있다.

 

 

 

 

 

김석운 베트남경제연구소장

  (kswkso@hanmail.net)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268 베트남, 코로나19도 비켜간 명품시장 kimswed 346 2021.08.19
267 베트남 코로나19 방역 kimswed 180 2021.08.12
266 베트남 현대식 유통 채널 kimswed 168 2021.08.03
265 바리케이드 뒤의 삶 kimswed 173 2021.07.28
264 ㈜웰팜 베트남 수출 개시 신속한 피드백이 성공 kimswed 382 2021.07.27
263 베트남 기업들이 선호하는 디지털 마케팅 kimswed 205 2021.07.23
262 베트남 소비 수요 환경 변화 kimswed 152 2021.07.14
261 K-뷰티, ‘플랫폼 서비스’로 베트남 진출 kimswed 149 2021.07.13
260 친환경 꿈꾸는 베트남, 360조 전력시장 kimswed 144 2021.07.05
259 베트남 엄마들의 필수템 유아매트 kimswed 134 2021.07.03
258 베트남 다채널 유통 kimswed 73 2021.07.01
257 베트남 변화하는 수요 kimswed 89 2021.06.19
256 신기산업(주) kimswed 245 2021.06.19
255 베트남 유통채널의 융합 kimswed 100 2021.06.03
254 베트남, 건강 키워드 상품 유망 kimswed 109 2021.05.28
253 베트남 전자상거래 활성화 kimswed 82 2021.05.21
252 B/L 스위치를 해야 하는데, 어떤 인코텀즈를 적용 kimswed 114 2021.05.21
251 리스크 커지는 베트남 시장, 우리 기업 체크포인트 kimswed 86 2021.05.14
250 베트남 온라인쇼핑 소비자 증가 kimswed 82 2021.05.05
249 베트남 소매시장 유통기업 진출 적기 kimswed 122 2021.04.24
248 베트남 외식업 수요 kimswed 140 2021.04.23
247 베트남에 한국 화장품이 간다 kimswed 116 2021.04.11
246 베트남 소매시장 변화 kimswed 83 2021.04.08
245 가공식품을 베트남에 수출할 때 절차와 필요서류 kimswed 556 2021.04.03
244 베트남 온라인 트렌드 kimswed 84 2021.03.27
243 베트남 새로운 수요 kimswed 88 2021.03.10
242 베트남 긍정적인 시장 환경 kimswed 108 2021.02.25
241 베트남 FTA, 한국산 직물 누적규정 활용 주의점 kimswed 134 2021.02.17
240 베트남 건강식품 수요 kimswed 95 2021.02.15
239 베트남 수요 회복 kimswed 97 2021.01.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