캄보디아 기술전문 인력난

kimswed 2016.08.08 09:19 조회 수 : 122

46e94b5eab443.jpg

 

 

시장 개방을 통해 경제 발전에 매진하고 있는 캄보디아가 기술 전문 인력이 부족해 고민에 빠졌다.


캄보디아는 작년에만 약 150개에 이르는 의류, 신발 공장이 전문 인력 부족으로 문을 닫았다. 캄보디아 전체적으로는 노동인력의 연령이 젊지만 이들은 사업적인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기술이 많이 부족하다. 바꿔 말하면 기술 노동자 수요는 높지만 그런 능력을 갖춘 사람은 극히 드물다는 얘기다.


아시아개발은행(ADB) 조사에 따르면 캄보디아 전문가와 기술자 중 절반 이상이 필요 수준의 교육을 충족하지 못한 상태다. 아세안경제공동체(AEC) 협약을 통한 전문 인력의 유입 가능성도 희박하다. 싱가포르, 태국, 말레이시아 등지의 전문 인력들은 자국에서의 고용 기회가 더 크기 때문에 굳이 캄보디아 인력 시장에 들어오지 않는다. 오히려 캄보디아의 전문 인력들이 인근 국가로 유출되는 일이 일어나고 있다.


국제노동기구(ILO)에 따르면 캄보디아는 현재 실업률이 가장 낮은 국가 중 하나로 전체 생산 가능 인구 중 0.55%만 실업을 겪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근로자들은 비정규직, 자영업으로 수입이 일정하지 않다.


캄보디아는 업무환경이 취약하고 저임금 직업 종사자의 비율이 세계에서 가장 높은 나라이기도 하다. 낮은 생산성과 낮은 임금 때문에 근로자들은 자주 비공식 고용 형태로 전환된다.


더욱 심각한 것은 캄보디아의 젊은이들이 과학, 기술계열을 기피한다는 점이다. 캄보디아 노동부는 “현재 대부분의 캄보디아 학생들은 대학에서 사회과학부에 진학하기를 희망하며 이로 인해 문과계열 학사 인력의 공급이 과잉상태”라고 밝혔다. 현재 수도 프놈펜의 기술과학 전문 교육시설이 50개 대학교 중 3곳에 불과한 현실이 이런 사실을 뒷받침한다.


전문가들은 1970년대 일어난 킬링필드의 영향으로 수백만의 전문 지식인들이 숙청당하면서 현 세대에 공급돼야 할 전문 인력이 사라진 점도 지적하고 있다.


이에 따라 캄보디아에서 활동 중인 기업들은 △인센티브 제공 △직장 외 직업훈련(Off-The-Job Training) 프로그램 운영 등의 조치를 취하고 있으며 정부 차원에서는 2013년부터 학생들의 과학 교과 수강을 장려하면서 단기 직업교육 코스를 잇달아 개설하고 있다.


KOTRA 프놈펜 무역관은 “캄보디아에 진출한 기업들은 사내 노동자들에게 정기적인 인센티브를 제공함으로써 보다 나은 생산성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주간무역 wtrade07@gmail.com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SB-4 마스크팩 소개 kimswed 2025.04.11 59
536 미래 마이스 산업, ‘ICT’가 핵심 file kimswed 2016.08.22 243
535 한류소주열풍 file kimswed 2016.08.15 175
» 캄보디아 기술전문 인력난 file kimswed 2016.08.08 122
533 충북기업/ 태웅식품 kimswed 2016.08.06 379
532 베트남 여자를 보면 베트남 시장이 보인다 file kimswed 2016.08.02 382
531 중국 미용·화장품시장 kimswed 2016.07.27 118
530 한국제품 태국 콘택트렌즈시장 file kimswed 2016.07.27 206
529 베트남에 부는 ‘한류 성형수술’ 열풍 file kimswed 2016.07.19 175
528 동남아의 떠오르는 스마트폰시장, 베트남 kimswed 2016.07.19 120
527 베트남 중소기업 운영 외식업 성공사례 kimswed 2016.07.18 164
526 글로벌 프랜차이즈 기업의 진출 kimswed 2016.07.16 88
525 베트남 사람들이 즐겨먹는 음식과 외식업 kimswed 2016.07.16 226
524 베트남 근로시간 및 임금제도 kimswed 2016.07.16 245
523 베트남 외식업도 한류바람 대박 kimswed 2016.07.14 134
522 근육 키우는 베트남 헬스시장 kimswed 2016.07.14 108
521 베트남 라면시장 kimswed 2016.07.12 116
520 프리미엄 화장품 육성정책 file kimswed 2016.07.09 39
519 유망수출품목②]기능성 화장품 file kimswed 2016.07.09 52
518 한국인이 택한 중국 관문 1위 ‘상하이 file kimswed 2016.07.09 50
517 베트남 활개치는 불법 음악시장 file kimswed 2016.07.07 78
516 개성공단 기업, 베트남에 첫 진출 file kimswed 2016.07.04 69
515 베트남 하노이에 'K-Food 홍보관 file kimswed 2016.06.27 145
514 베트남 바이어는 왜 자꾸만 깎으려고 할까 file kimswed 2016.06.27 127
513 베트남 내수시장에 공들이는 CJ와 롯데 file kimswed 2016.06.23 172
512 (주)인프라코어솔루션 file kimswed 2016.06.08 103
511 무역대금피해 file kimswed 2016.06.08 102
510 미얀마태국고속도로 file kimswed 2016.06.01 115
509 재외국민투표 file kimswed 2016.06.01 92
508 베/LG전자 file kimswed 2016.06.01 87
507 베/유통산업 file kimswed 2016.06.01 67
506 베/패스트푸드산업 file kimswed 2016.05.30 104
505 베트남전자상거래 file kimswed 2016.05.30 156
504 베트남IT시장 file kimswed 2016.05.30 66
503 베/화장품시장 file kimswed 2016.05.25 90
502 베/의료기시장 file kimswed 2016.05.25 104
501 베/비과세해외펀드 file kimswed 2016.05.01 105
500 베/태광산업 file kimswed 2016.05.01 98
499 베/LG file kimswed 2016.05.01 85
498 베/수럭발전소 file kimswed 2016.05.01 74
497 베/TPP수출재킷 file kimswed 2016.05.01 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