캄보디아

미국이 2025년 8월 1일부터 캄보디아산 제품에 대해 36%의 관세를 부과하기로 결정하면서, 캄보디아에 투자한 한국 기업들은 심각한 위기에 직면했습니다. 이 고율 관세는 특히 의류, 신발, 가방 등 OEM(주문자상표부착생산) 방식으로 미국 시장에 의존해온 제조업체들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분석됩니다.

다음은 36% 상호관세 장벽으로 인한 캄보디아 투자 한국 기업의 진로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입니다.

1. 생산 및 수출 경쟁력 약화: 사실상 '수출 불능' 상태

  • 가격 경쟁력 상실: 36%라는 높은 관세는 캄보디아에서 생산된 한국 기업의 제품이 미국 시장에서 가격 경쟁력을 완전히 잃게 만듭니다. 특히 마진율이 낮은 의류 및 신발 산업에서 이러한 타격은 더욱 큽니다.

  • 수요 급감 및 주문 취소: 미국 바이어들은 관세 인상으로 인해 가격이 크게 오른 캄보디아산 제품 대신 관세율이 낮은 다른 국가(특히 베트남)로 공급처를 옮길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는 한국 기업들의 수출 주문 급감으로 이어질 것입니다.

  • OEM 모델의 한계: 캄보디아에 진출한 많은 한국 기업들은 OEM 방식으로 운영되어 왔습니다. 36%의 관세는 OEM 방식의 수익성을 사실상 불가능하게 만들어, 캄보디아에서의 사업 유지가 어려워집니다.

2. 공급망 재편 및 공장 이전 압박

  • 생산 기지 다변화 모색: 한국 기업들은 관세 충격을 완화하기 위해 캄보디아 외 다른 국가로 생산 기지를 이전하거나 다변화하는 방안을 적극적으로 모색할 것입니다. 특히 미국과의 무역 협상을 통해 20%의 낮은 관세율을 확보한 베트남이 유력한 대안이 될 수 있습니다.

  • 미국의 '중국 우회 수출 차단' 전략: 이번 관세 부과는 중국의 '원산지 세탁'을 막으려는 미국의 전략과 맞물려 있습니다. 캄보디아에서 중국산 부품을 사용하거나 단순히 조립만 하는 기업들은 더욱 큰 위험에 노출될 수 있습니다.

3. 기업의 대응 방안 및 예상되는 진로

  • 사업 철수 또는 축소: 고율 관세로 인해 채산성이 악화된 기업들은 캄보디아 현지 공장을 폐쇄하거나 생산 규모를 대폭 축소하는 결정을 내릴 수 있습니다.

  • 생산 효율성 극대화: 일부 기업은 관세 부담을 상쇄하기 위해 생산 효율성을 높이고 비용을 절감하는 노력을 기울일 수 있지만, 36%라는 높은 관세율을 극복하기에는 역부족일 수 있습니다.

  • 베트남 등지로의 이전: 이미 많은 기업이 베트남을 포함한 인근 국가로의 이전을 검토 중이며, 이는 캄보디아 경제 전반과 고용 시장에 큰 영향을 미칠 것입니다.

4. 캄보디아 정부의 외교적 한계

  • 협상력 부족: 베트남이 시장 개방, 미국산 제품 수입 확대 등 구체적인 양보를 통해 관세율을 낮춘 것과 달리, 캄보디아는 미국과의 협상에서 활용할 만한 유인책이 부족합니다. 이는 인권, 노동 환경 문제 외에도 경제적 상호성이 부족하기 때문입니다.

  • 일방적인 통보: 캄보디아는 미국과의 실질적인 협상에 진입하지 못한 채 36%의 고율 관세를 일방적으로 통보받았으며, 이를 뒤집을 만한 마땅한 외교적 수단이 없는 상황입니다.

결론적으로, 36%의 상호관세 부과는 캄보디아에 투자한 한국 기업들에게 엄청난 위협이며, 특히 미국 시장에 의존하는 제조업체들은 사실상 사업을 지속하기 어려운 상황에 처했습니다. 이는 한국 기업들의 생산 기지 이탈과 캄보디아에서의 투자 환경 악화로 이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 캄보디아 36%관세 한국투자기업의 예상진로 new admin 0
79 캄보디아 성씨계보 kimswed 98
78 캄보디아 관세폭탄 49% admin 54
77 캄보디아 투자진출 유망 kimswed 7102
76 캄보디아, 한국 기업이 꼽은 미래 아세안 협력국 3위 kimswed 7072
75 캄보디아, ‘포스트코로나 경제’ kimswed 7087
74 캄보디아의 향기로운 꽃나무 kimswed 14126
73 캄농회, 제주 보롬왓 이종인 대표 초청 강연 kimswed 18398
72 내 손안의 작은 비서! 캄보디아 필수 어플 kimswed 18468
71 캄보디아, 확장하는 냉장·냉동 가공식품 트렌드 kimswed 18235
70 소셜미디어로 들여다보는 캄보디아 kimswed 18411
69 시하누크빌 중국인 복합단지 급습 kimswed 18293
68 코로나 걸리면 한국 못가 kimswed 18236
67 캄보디아, 식품·외식시장 발전 kimswed 18280
66 이색 레스토랑 kimswed 18171
65 캄보디아 출입국관리법 kimswed 18372
64 캄보디아, 코로나19로 직격탄 맞은 관광산업 kimswed 18144
63 캄보디아, 해외투자자 등에 코로나19 격리 면제 kimswed 18102
62 캄보디아인들의 못 말리는 페이스북 사랑 kimswed 18616
61 캄보디아, 가깝고 편리한 편의점이 뜬다 kimswed 18131
60 명랑핫도그 프놈펜점 kimswed 18320
59 CLMVT’ 진출 성공 최고 비결은 참을성 kimswed 18131
58 한국어능력시험의 모든 것 kimswed 19048
57 프놈펜 헤브론병원 kimswed 18908
56 캄보디아 스떵뜨라엥 여행기 kimswed 18288
55 메콩강 물 밑으로 떠나는 캠핑 kimswed 18151
54 캄보디아에서 안전하게 살기 위한 팁 kimswed 16697
53 아세안의 기대주, 캄보디아에서 찾는 수출 기회 kimswed 12285
52 브렉시트 불똥’ 튄 캄보디아 kimswed 12256
51 캄보디아 최신 경제동향 kimswed 122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