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류소주열풍

kimswed 2016.08.15 08:24 조회 수 : 175

images (62).jpg

 

한류 드라마 열풍에 힘입어 중화권과 동남아로 소주 수출이 급증하고 있다. 해외 한류 팬들이 한국 드라마에서 소주 마시는 장면이 자주 나오는 것을 보고 따라 마시고 싶은 수요가 늘어나고 있기 때문이다.

 

소주는 세계에서 가장 많이 팔리는 증류주다. 하이트진로의 ‘참이슬’은 2001~2015년 세계 증류주 판매량 부문에서 위스키와 보드카, 럼, 진 등의 판매량을 앞질러 15년 연속 1위를 기록하고 있다. 참이슬은 지난해 세계 시장에서 7380만 상자(1상자당 9ℓ기준)가 판매됐다. 롯데주류의 ‘처음처럼’도 3100만 상자가 팔렸다. 대부분은 한국에서 소비됐지만 수출 비율이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다.

 

특히 한류 영향력이 큰 중화권과 동남아 지역으로 수출이 급증하고 있다.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6월까지 중국으로 소주(HS코드 2208904000) 수출은 12% 증가한 452만5000달러를 기록했다. 홍콩(41만3000달러)과 대만(30만달러)으로도 6.4%와 103.8% 증가했다.

 

중국 술 시장은 올코올 도수 50도가 넘는 백주와 3~5도의 맥주로 양분돼 있다 보니 20도를 웃도는 소주가 이 두 시장의 틈새를 파고들고 있다. 또 소주는 백주보다 순하고 숙취도 덜한데다 술을 데워먹는데 익숙한 중국인에게 차갑게 먹어야 제 맛이 나는 소주는 또 다른 매력을 느끼게 한다. 특히 젊은층을 중심으로 도수가 낮은 술을 맥주나 소주를 포함한 저도 증류를 선호하고 있다.

 

대만 타이베이에 거주하고 있는 A씨는 “대만 백주보다 도수가 약하고, 시원하게 마실 수 있어 소주를 즐겨 마시고 있다”면서 “소주와 맥주를 섞은 ‘소맥’과 과일맛 소주를 즐겨 마시고 있다”고 말했다.

 

소주의 인기는 태국과 인도네시아, 캄보디아 등 동남아권으로도 확산되고 있다. 올해 상반기 태국으로 소주 수출은 32% 증가한 57만5000달러를 기록했다. 인도네시아(13만7000달러)와 캄보디아(13만6000달러)도 가각 365.3%와 48.2% 증가했다.

 

동남아 시장은 대부분 교민 및 한국인 관광객을 중심으로 한국 소비층이 형성돼 있었지만 최근 경제 성장률이 높아지고 한류바람이 불기 시작하면서 한국 술에 대한 현지인들의 선호도가 점차 높아지고 있다.

 

태국인 제이(Jay)씨는 “한류 드라마에서 소주를 마시는 장면이 나오면서 호기심으로 소주를 찾는 사람이 많이 있다”면서 “하지만 보통 소주는 태국인의 입맛에 맞지 않아 과일맛 소주와 탄산 소주를 즐겨 마시고 있다”고 말했다.

 

소주 한류 열풍에 주요기업들도 동남아 주류시장에 진출을 확대하고 있다. 하이트진로는 2011년 태국의 최대 주류기업인 ‘분럿(Boonrawd)그룹’과 소주 수출, 유통계약을 맺은 후 시음회, UCC 등 다양한 프로모션으로 참이슬, 진로24 등 브랜드 알리기에 적극 나서면서 매년 판매기록을 갱신하고 있다. 또 국내에서 인기를 끌고 있는 과일리큐르 ‘자몽에이슬’도 지난해 9월 첫 수출해 현지 음식점과 주점에서 판매하고 있다. 말레이시아와 싱가포르, 캄보디아 등에서도 현지 시장의 특성에 맞게 틈새시장 공략 및 TV광고와 지역축제 참여 등 다양한 홍보채널을 통해 주류 판매를 확대해 나가고 있다.

 

대선주조도 저도소주 순한시원을 지난 4월 처음으로 중국에 수출했다. 중국에 수출된 순한시원은 국내와 동일한 알코올 도수 16.9도의 360㎖병 제품으로 칭다오의 중대형 마트를 비롯해 주로 대륙 동부 해안지역의 식당 술집 등에 보급되고 있다.

 



주간무역 wtrade07@gmail.com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SB-4 마스크팩 소개 kimswed 2025.04.11 59
536 미래 마이스 산업, ‘ICT’가 핵심 file kimswed 2016.08.22 243
» 한류소주열풍 file kimswed 2016.08.15 175
534 캄보디아 기술전문 인력난 file kimswed 2016.08.08 122
533 충북기업/ 태웅식품 kimswed 2016.08.06 379
532 베트남 여자를 보면 베트남 시장이 보인다 file kimswed 2016.08.02 382
531 중국 미용·화장품시장 kimswed 2016.07.27 118
530 한국제품 태국 콘택트렌즈시장 file kimswed 2016.07.27 206
529 베트남에 부는 ‘한류 성형수술’ 열풍 file kimswed 2016.07.19 175
528 동남아의 떠오르는 스마트폰시장, 베트남 kimswed 2016.07.19 120
527 베트남 중소기업 운영 외식업 성공사례 kimswed 2016.07.18 164
526 글로벌 프랜차이즈 기업의 진출 kimswed 2016.07.16 88
525 베트남 사람들이 즐겨먹는 음식과 외식업 kimswed 2016.07.16 226
524 베트남 근로시간 및 임금제도 kimswed 2016.07.16 245
523 베트남 외식업도 한류바람 대박 kimswed 2016.07.14 134
522 근육 키우는 베트남 헬스시장 kimswed 2016.07.14 108
521 베트남 라면시장 kimswed 2016.07.12 116
520 프리미엄 화장품 육성정책 file kimswed 2016.07.09 39
519 유망수출품목②]기능성 화장품 file kimswed 2016.07.09 52
518 한국인이 택한 중국 관문 1위 ‘상하이 file kimswed 2016.07.09 50
517 베트남 활개치는 불법 음악시장 file kimswed 2016.07.07 78
516 개성공단 기업, 베트남에 첫 진출 file kimswed 2016.07.04 69
515 베트남 하노이에 'K-Food 홍보관 file kimswed 2016.06.27 145
514 베트남 바이어는 왜 자꾸만 깎으려고 할까 file kimswed 2016.06.27 127
513 베트남 내수시장에 공들이는 CJ와 롯데 file kimswed 2016.06.23 172
512 (주)인프라코어솔루션 file kimswed 2016.06.08 103
511 무역대금피해 file kimswed 2016.06.08 102
510 미얀마태국고속도로 file kimswed 2016.06.01 115
509 재외국민투표 file kimswed 2016.06.01 92
508 베/LG전자 file kimswed 2016.06.01 87
507 베/유통산업 file kimswed 2016.06.01 67
506 베/패스트푸드산업 file kimswed 2016.05.30 104
505 베트남전자상거래 file kimswed 2016.05.30 156
504 베트남IT시장 file kimswed 2016.05.30 66
503 베/화장품시장 file kimswed 2016.05.25 90
502 베/의료기시장 file kimswed 2016.05.25 104
501 베/비과세해외펀드 file kimswed 2016.05.01 105
500 베/태광산업 file kimswed 2016.05.01 98
499 베/LG file kimswed 2016.05.01 85
498 베/수럭발전소 file kimswed 2016.05.01 74
497 베/TPP수출재킷 file kimswed 2016.05.01 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