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 진출기업과 TPP 체크포인트

kimswed 2016.07.06 09:25 조회 수 : 191

 

▲사진=뉴시스

 

작년 말 타결된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PP) 협정문은 무려 30개의 장으로 구성돼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양도 방대해 기업이 내용을 독해하고 활용방안을 모색하기에는 어려움이 많다. 이에 베트남기업과 유관기관의 TPP 이해를 돕고자 베트남상공회의소(VCCI)가 최근 하노이에서 관련 세미나를 열었다. 이 자리에서 나온 주요 질의응답 내용을 요약한다.

 

- 우리의 섬유 및 의류 주요 수출국은 미국, 일본, 유럽연합(EU)이다. 이 시장에서 적용되는 원산지 규정을 설명해 줄 수 있나?


▲ 시장 규모면에서 베트남 섬유, 의류 제품의 최대 수출시장은 미국이며 2위는 EU, 3위는 일본이다. 이와 별도로 베트남 섬유, 의류 제품의 원산지 규정과 관련해 가장 큰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는 국가는 한국이다.


일단 EU는 베트남과 체결한 자유무역협정(FTA)에 따라 원산지 규정은 ‘직물기준(Fabric-forward)’을 원칙으로 하고 있다. 다만 베트남의 주요 섬유, 의류 원부자재 수입국인 한국 생산 직물을 사용하더라도 FTA에 따른 관세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즉 베트남 국내 생산 또는 EU 생산 직물이 아니더라도 다량의 한국산 직물을 생산에 투입하는 베트남 의류 생산 기업들은 EU-베트남 FTA 원산지 규정을 충족시킨 것으로 인정받아 관세 수혜를 볼 수 있는데 이는 한국이 EU와 FTA를 체결했기 때문이다.


미국의 경우 TPP에 따른 섬유, 의류 제품 원산지 규정은 ‘원사 기준(Yarn-forward)’이다.


일본은 베트남과 체결한 협정으로 아세안-일본 FTA와 베트남-일본 FTA가 있으며 두 협정 모두 ‘직물 기준(Fabric-forward)’을 원산지 결정원칙으로 적용하고 있다. 다만 베트남은 아세안-일본 FTA에 의해 아세안 국가에서 생산된 직물을 의류 생산에 사용함으로써 관세 우대 혜택을 받을 수 있다.


한국은 ‘재단 및 봉제 기준(Cutting and Sewing)’을 관세 혜택을 받기 위한 원산지 결정원칙으로 규정하고 있기 때문에 섬유, 의류 제품의 원산지 규정과 관련해 시장진입이 가장 쉬운 시장이라 할 수 있고 실제 베트남은 한국의 섬유, 의류 부문 2위 수입국가다. 하지만 이런 원산지 규정의 이점을 활용 중인 기업 대부분이 베트남에 직접 투자한 한국 기업이라는 점이 아쉽다.


베트남에서 사용 중인 직물과 원사의 70~80%가 TPP 비회원국으로부터 수입되고 있어 TPP의 ‘원사 기준’ 원칙은 베트남 섬유, 의류기업이 TPP의 관세 혜택을 누리는 데 장애요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베트남 기업들이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과 관련해 해줄 수 있는 조언은?


▲ 베트남 기업들은 TPP가 발효되는 즉시 이를 활용하기 위한 방안으로 베트남에만 별도로 적용되는 예외사항들을 연구할 수 있다. 또 베트남 정부는 194개 품목으로 구성된 ‘공급 부족 리스트’의 품목에 한해 타 회원국과 협상할 수 있는데 이 리스트에 포함돼 있는 대다수 품목이 합성섬유다. 베트남은 이 리스트를 심도 있게 연구함으로써 적합한 HS코드와 적용 대상 파트너 국가를 선정할 수 있을 것이다.


1대1 교환 원칙을 활용할 수도 있다. 베트남이 미국에서 수입한 직물로 생산한 100% 면 소재 바지 하나를 미국에 수출한다면 베트남은 미국 이외의 TPP 비가입국에서 수입한 100% 면 소재의 다른 제품 하나를 미국에 더 수출할 수 있는 권리를 갖게 된다.


재단 및 봉제 기준 원산지 결정원칙 적용 방안도 있는데 합성섬유로 만드는 가방, 여성용 속옷, 신생아용 제품에 재단, 봉제 기준원칙을 적용하는 것이 허용된다.


장기적으로는 공급사슬의 발전이 필수적이다. 현 시점에서 베트남 섬유, 의류 기업들은 자사의 생산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는 원부자재 공급 파트너 발굴에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 한편 다수의 부품소재 생산자들은 자사 제품 소비가 보장되지 않는 상황에서는 생산 확장을 위한 투자에 선뜻 나서지 않으려고 한다. 따라서 섬유, 의류 부품소재 산업에 대한 외국인 투자 유치가 필요하다.

 



주간무역 wtrade07@gmail.com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 베트남 진출기업과 TPP 체크포인트 kimswed 191 2016.07.06
349 김석운 /베트남과일음료유망 file kimswed 356 2016.07.02
348 김석운/ 베트남 기초화장품 file kimswed 367 2016.07.02
347 베트남온라인쇼핑몰 file kimswed 546 2016.07.01
346 베트남오토바이시장 kimswed 307 2016.07.01
345 베트남 식품 수출 절차는 file kimswed 111 2016.06.30
344 김석운의 베트남 통신/ 글로벌 경제 침체 file kimswed 127 2016.06.30
343 김석운의 베트남 통신 / 가뭄으로 커피 가격 인상 전망 file kimswed 250 2016.06.29
342 베트남 인건비 상승…진출 기업 전략 바꿔야 file kimswed 100 2016.06.29
341 김석운의 베트남 통신 정부지원 받는 자동차 부품산업 file kimswed 151 2016.06.28
340 베트남 인터넷쇼핑 시장 file kimswed 246 2016.06.28
339 김석운의 베트남 통신 청년 일자리 file kimswed 156 2016.06.27
338 광림기업: 트럭크레인 베트남 수출 첫 단추는 무역협회에서 kimswed 291 2016.06.27
337 김석운의 베트남 통신 소비재 산업의 변화 file kimswed 136 2016.06.25
336 김석운의 베트남 통신(83) 한국식품 K-food 인기 file kimswed 145 2016.06.24
335 김석운의 베트남 통신(84) 선진 교육시스템 수요 기대 file kimswed 120 2016.06.24
334 김석운의 베트남 통신(85) 소형가전제품 시장 유망 file kimswed 122 2016.06.22
333 베트남 인건비 상승…진출 기업 전략 바꿔야 file kimswed 69 2016.06.22
332 명신, 베트남서 홈쇼핑 사업…중기 진출 지원도 file kimswed 91 2016.06.21
331 김석운의 베트남 통신(86) 급속하게 늘어나는 편의점 file kimswed 129 2016.06.20
330 섬유업계, 베트남 FTA 특수 적극 활용해야 file kimswed 73 2016.06.18
329 베트남의 개방은 현재 진행형 kimswed 74 2016.06.17
328 베트남저렴한藥價 kimswed 156 2016.06.17
327 베트남의 전기자전거, 정착할 수 있을까? kimswed 126 2016.06.17
326 김석운의 베트남 통신 선진 교육시스템 수요 기대 file kimswed 98 2016.06.16
325 상해 교민사회, 베트남 부동산에 눈 돌린다 file kimswed 141 2016.06.16
324 베트남 사회, 여성 리더 두각 kimswed 114 2016.06.16
323 우즈벡화잘품시장 file kimswed 128 2016.06.08
322 오바마베트남방문 file kimswed 193 2016.06.01
321 무역피해사례9 file kimswed 92 2016.05.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