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XEDITION

WORLD I

 


 

사업에서 **비밀 유지(Secrecy)**가 왜 중요할까요?

 

요즘은 어떤 사업이든 비밀 유지가 매우 중요해졌어요. 특히 첨단 기술 제품을 다루거나 공동으로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는 **비밀유지 의무(Non-disclosure Agreement, NDA)**가 핵심이죠.

하지만 단순히 기술 제품에만 해당되는 이야기는 아니에요. 일반적인 제품을 거래할 때도 비밀 유지가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새로운 제품 출시 계획이나 특정 국가로의 수출 정보가 미리 알려지면 경쟁사들이 대비책을 마련해서 마케팅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기 때문이에요.


 

비밀은 왜 자꾸 새어 나갈까요?

 

문제는 비밀이 항상 외부로 새어 나가기 쉽다는 점이에요. 일단 정보가 유출되면 서로를 탓하고 의심하게 되며, 심지어 법적 분쟁으로 이어지기도 합니다.

정보가 새어 나가는 경로는 생각보다 다양해요. 계약 당사자뿐만 아니라 부품을 만드는 협력사, 제품을 운반하는 물류업체, 그리고 심지어 포장재 생산 업체에서도 정보가 유출될 수 있어요. 제품 생산 전에 포장재에 회사 이름이나 브랜드가 들어가면서 비밀이 퍼지기 시작하는 거죠. 나중에는 신용장 거래나 대출을 위해 은행과 정보를 공유하는 과정에서도 정보가 새어 나갈 수 있습니다.

이렇게 많은 관계자들이 얽혀 있기 때문에 누가, 언제, 어떻게 정보를 유출했는지 정확히 알아내기가 매우 어렵고, 책임을 묻기도 힘들어요.


 

기술 유출은 특히 위험해요!

 

만약 비밀 유지 대상이 단순히 제품 정보가 아니라 **핵심 기술(TECHNICAL LICENSE AGREEMENT)**이라면 문제가 훨씬 커집니다. 기술 유출은 단순히 신뢰를 잃는 것을 넘어 엄청난 손해배상으로 이어질 수 있어요.

기술이 다른 회사로 통째로 넘어가거나, 기술 도면을 넘겨받은 업체가 대량 생산을 시작하면 그 피해는 상상을 초월합니다. 최근 반도체 핵심 기술이 해외로 유출된 사례처럼, 피해 규모가 수백억 원에 달할 수도 있으니 각별히 주의해야 해요.


 

비밀이 유출됐다고 무조건 책임져야 할까요?

 

정보가 유출됐다고 해서 무조건 비밀 유지 의무 위반으로 책임을 져야 하는 것은 아니에요. 정보가 유출된 사실과 유출에 대한 책임은 분명히 다르기 때문입니다.

때로는 유출된 정보가 이미 보편적으로 알려져 있거나, 우리 회사의 책임과 무관하게 유출되었을 수도 있어요. 또는 유출된 정보가 사실상 비밀로서의 가치가 없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억울하게 책임을 지는 일은 피해야겠죠.


 

**비밀 유지 계약에 꼭 필요한 '예외 조항'

 

따라서 비밀 유지 계약서를 작성할 때는 반드시 책임에 대한 예외 조항을 포함해야 합니다. 어떤 경우에 책임을 면할 수 있는지 명확히 해두는 것이 중요해요.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는 책임을 면제받을 수 있다는 조항을 넣을 수 있습니다.

  • 해당 정보가 이미 보편적으로 알려져 있는 경우

  • 유출된 정보가 회사의 책임과 무관한 경우

  • 제3자에 의해 누설된 것이 확실한 경우

  • 회사가 독립적으로 정보를 개발한 경우

  • 법률이나 정부 기관의 요구에 따라 공개해야 하는 경우

  • 정보가 처음부터 비밀 표시 없이 전달된 경우

또한, 비밀 유지는 계약 기간과 상관없이 계속 보호되어야 하며, 비밀 유지의 대상을 명확하게 정의해야 합니다. 이때 "포함하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including but not limited to)"와 같은 문구를 사용하여 보호 범위를 넓게 설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계약이 끝나더라도 비밀 유지 의무는 계속될 수 있기 때문이죠.


궁금한 점이 더 있으신가요? 비밀 유지 계약과 관련하여 어떤 부분이 가장 걱정되시나요?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 무역의비밀 유지보다 더 중요한 책임 예외 조항 kimswed 2 2025.07.22
150 인도 냉동식품 시장 급성장 kimswed 4 2025.07.17
149 강남구, 홍보부터 투자까지 원스톱 지원 kimswed 9 2025.07.16
148 국제 전시회 성공 전략 바이어를 사로잡는 디테일 kimswed 14 2025.06.23
147 마스크팩 베트남수출 (Xuất khẩu mặt nạ gói sang Việt Nam) skoreapkk 183 2025.02.04
146 라오스 케어 틈새시장 kimswed 3517 2024.10.31
145 The US government has also jumped into ‘smart clothing’ kimswed 3628 2024.10.20
144 해외시장 개척, 유관기관 kimswed 3513 2024.10.18
143 'High-end brand' products popular for quality over price kimswed 3634 2024.10.14
142 流動人口増加によるオフライン店舗運営戦略 kimswed 3517 2024.10.14
141 금주의 무역인 이경화 바다손애 대표 kimswed 7436 2024.05.31
140 한 달에 1억 달러 ‘신화’… 라면, K-푸드 선봉 kimswed 7408 2024.05.30
139 금주의 무역인 조혜경 엘 아미고 kimswed 7425 2024.05.20
138 대한민국기계설비전 kimswed 7413 2024.05.13
137 금주의 무역인] 지종환 설아래 kimswed 7438 2024.05.11
136 금주의 무역인 조병규 갈렙이앤씨 kimswed 7427 2024.05.07
135 금주의 무역인 박병호 에이텍솔루션 kimswed 7423 2024.04.29
134 금주의 무역인] 조진형 카론바이오 대표 kimswed 7424 2024.04.22
133 흥미 커머스의 지존, 틱톡샵이 몰려온다 kimswed 7444 2024.04.16
132 금주의 무역인 서정길 뷰메드 대표 kimswed 7426 2024.04.08
131 현지에서 본 말레이시아 경제 kimswed 7417 2024.04.04
130 금주의 무역인 이삼구 239BIO 대표 kimswed 7416 2024.04.02
129 금주의 무역인 권윤정 히즈 대표 kimswed 7418 2024.03.25
128 마지막 시장’ 아프리카로 가자 kimswed 7404 2024.03.23
127 정성은 이도플래닝 대표 kimswed 7416 2024.03.20
126 금주의 무역인 박영만 브랜즈리퍼블릭 kimswed 7402 2024.03.19
125 윤정섭 대양의료기 kimswed 7407 2024.03.11
124 초보 수출기업을 위한 안전수출 가이드(1) kimswed 7411 2024.03.08
123 미얀마, 회복세 보이는 의료용품 시장 kimswed 7411 2024.03.03
122 어려운 중국시장… 기회 있는 틈새로 돌파구 kimswed 7380 2024.02.28
121 조영준 영월드씨케이씨 kimswed 7446 2024.02.27
120 아프리카, 유력한 글로벌 공급망 kimswed 7376 2024.02.25
119 인도, K-뷰티의 ‘약진’ kimswed 7408 2024.02.24
118 신영석 범일산업 대표 kimswed 7440 2024.02.19
117 남아공에서도 ‘K-뷰티’ ‘K-푸드’가 확산 kimswed 7396 2024.02.12
116 누구나 수출하는 디지털무역 시대 kimswed 7389 2024.02.08
115 박지만 스포위크 대표 kimswed 7404 2024.02.07
114 금주의 무역인 우현규 완도다 대표 kimswed 7382 2024.02.06
113 금주의 무역인 김진구 해내음 대표 kimswed 7358 2024.01.30
112 김대용 올웨이즈코퍼레이션 kimswed 7348 2024.01.22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