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 취업? 언어가 중요하다

kimswed 2020.01.20 07:51 조회 수 : 188

KOTRA 하노이 무역관은 베트남 취업을 희망하는 구직자들에게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아세안 지역본부 하노이 지사에 근무 중인 채예진 대리와 신재욱 대리를 인터뷰했다.

- 자기 소개를 부탁합니다.

▶ 채예진=저는 aT 아세안 지역본부 하노이 지사에 작년 10월부터 근무 중입니다. 베트남에는 2016년에 교환학생으로 오게 돼 졸업 후 하노이 취업 박람회를 통해 취업에 성공했습니다.

▶ 신재욱=저는 베트남 거주 5년 차이며 현지에서 대학교를 나와 aT에서 근무하고 있습니다.

베트남에 오게 된 계기가 무엇인가요?

▶ 채예진=한국에서 베트남어과를 전공하면서 교내 교환학생 프로그램을 통해 하노이에 오게 됐습니다. 교환학생 제도 덕분에 베트남에도 학교 선후배들이 많아 선배들의 현지 취업 성공사례를 쉽게 접할 수 있었고 자연스럽게 해외 취업을 꿈꾸었습니다.

▶ 신재욱=저는 한국에서 군대를 다녀온 뒤 베트남이 성장 가능성이 높다는 주변 지인의 추천으로 베트남에 왔습니다. 처음에는 베트남어를 한마디도 못했기 때문에 대학 어학당에서 공부했고 어느 정도 언어 실력을 쌓은 뒤 현지 대학에 입학해 생활을 시작했습니다.

- 현재 근무 중인 곳은 어떤 곳인가요?

▶ 채예진=aT 하노이 지사는 현재 9명의 직원이 가족 같은 분위기 속에서 한국 농수산식품 수출진흥을 위해 국제 박람회, 소비자 체험 홍보, 미디어 홍보, 정보 조사, 현지화 지원 등의 업무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저는 한-베트남 음식문화축제, 한국문화원과 연계해 한국 농식품을 홍보하는 소비자 체험 홍보사업 및 신선 농산물 수출 장려를 위한 K-프레시 존 사업, 서무 등의 업무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 신재욱=저는 수출기업의 통관 및 비관세 장벽 해소를 위한 현지화 지원 및 각종 정보 조사 등의 업무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 해외 공공기관에 취업한 이유, 현재 회사를 선택한 계기는 무엇인가요?

▶ 신재욱=예전부터 공기업이나 공공기관에서 근무하고 싶은 꿈은 있었습니다. 졸업이 점점 다가오면서 한국으로 돌아갈 것인지 베트남에 남아있을지 고민하던 중 월드잡 플러스 사이트에서 aT 구인공고를 보게 됐고 한국에서 도전하기보다 베트남어를 무기로 해외 지사에 도전하는 것이 더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해서 지원했습니다.

▶ 채예진=저 또한 공공기관에 관심이 많아 학생 때부터 다낭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회의, 한-베트남 음식문화축제 등 큰 행사에 지원 업무를 많이 경험했습니다. 그러던 중 aT가 개최하는 K-푸드페어를 지원하면서 aT를 처음 알게 됐고 이후 KOTRA 하노이 무역관에서 주관하는 취업 박람회에 aT가 참가한다는 소식을 들어 지원했습니다. 베트남 북부 지역에 제조업체들이 많이 있어서 현지에서 취업하려면 시외 지역 근무를 감수해야 하는데 반해 공기업이나 공공기관은 대부분 시내에 있어 위치적으로도 매우 만족하며 지내고 있습니다.

- 현재 회사에 합격할 수 있었던 팁을 말한다면?

▶ 채예진=해외에 있는 공공기관 채용공고의 경우 해당 국가의 현지화된 사람을 선호합니다. 그래서 어느 정도의 베트남어를 구사할 수 있어야 하고 베트남에서 오랫동안 거주했던 이력 혹은 거주 계획이라는 부분을 이력서와 면접에서 강조하면서 잘 녹여내는 것이 중요합니다.

▶ 신재욱=저는 면접 당시 자신감을 가지고 정형화된 대답보다는 긴장하지 않으면서 자연스러운 태도로 면접을 본 것이 합격 요인이었다고 생각합니다. 미소를 유지하면서 대화한다는 마음으로 여유로운 태도를 보이면 면접 때 좋은 결과가 나오지 않을까 합니다.

- 해외에서 근무하며 힘든 점은 무엇인가요?

▶ 신재욱=베트남 업체들은 우리 요구조건이 조금만 버겁다고 느끼면 진행을 하지 않으려고 해 업무에 차질이 생길 때가 있습니다. 그래서 현지 업체와 연락할 때는 최대한 확실한 부분만 얘기하고 상대가 인지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

- 마지막으로 베트남에 취업을 하고 싶은 분들에게 조언을 해준다면?

▶ 신재욱=해외에서 생활해야 하다 보니 향수병이 생길 수도 있고 언어에 대한 부담감 또한 있지만 이런 부분들을 스스로 잘 견뎌내야 합니다. 자신이 왜 베트남에 왔는지 혹은 왜 그 회사에 들어가고 싶은 지 또한 그 회사에서 어떤 것을 배울지에 대해 충분히 인지하면서 생활한다면 좋을 것 같습니다.

▶ 채예진=취업을 하고 베트남에 오는 것도 좋지만 베트남에서 살면서 취업 동향이나 문화를 먼저 느껴보는 것도 좋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해외 취업 사이트에도 정보가 있지만 현지에서 생활하면서 얻는 정보도 많기 때문에 어학연수를 위해 베트남에 오는 것도 추천합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567 베트남 수요 회복 탄력성 kimswed 139 2020.04.09
566 베트남 수요의 급격한 감소 kimswed 332 2020.03.26
565 베트남 소비패턴의 변화 kimswed 149 2020.03.12
564 베트남 외식업 환경의 변화 kimswed 151 2020.03.05
563 베트남 전자상거래 플랫폼의 대형화 kimswed 172 2020.02.13
562 베트남 외국인 투자자의 유통시장 참여 kimswed 147 2020.01.30
» 베트남 취업? 언어가 중요하다 kimswed 188 2020.01.20
560 베트남 화장품 시장의 성장 잠재력 kimswed 228 2020.01.17
559 베트남 유통시장의 경쟁 심화 kimswed 158 2020.01.02
558 베트남 안전한 아기용품 kimswed 209 2019.12.21
557 아세안 화장품 시장, 잠재력 높고 유망 kimswed 155 2019.12.20
556 베트남 급성장하는 해외 패션 브랜드 kimswed 195 2019.12.09
555 베트남 유통시장 환경의 변화 kimswed 128 2019.12.02
554 한국 '빨간맛' 베트남서 인기 kimswed 191 2019.11.12
553 베트남 내수시장 확장 kimswed 188 2019.11.06
552 기회의 땅 베트남… 식품업체 진출 kimswed 245 2019.10.25
551 베트남 전자결제 활성화 kimswed 208 2019.10.23
550 베트남 현대식 소매 점포의 증가 kimswed 212 2019.10.14
549 베트남 노리는 사이비 이단 kimswed 268 2019.10.01
548 베트남 소셜미디어 활용 kimswed 201 2019.09.28
547 아세안, ‘동일시장’ 아니다 kimswed 184 2019.09.21
546 베트남성형미용 “가짜 한국의사 많다 kimswed 260 2019.09.18
545 베트남, 지금 아니면 늦어 kimswed 243 2019.08.24
544 기업 가치혁신을 위한 합리적인 경영혁신 기법 kimswed 253 2019.08.22
543 강소기업의 솔루션! SCM경영의 핵심 kimswed 278 2019.08.17
542 베트남 F&B시장, 한국식 ‘배달’이 통할 시대가 왔다 kimswed 229 2019.08.03
541 베트남 프리미엄 비용 kimswed 259 2019.07.31
540 베트남 내 기존 현지인 사업체 인수 시 주의사항 kimswed 386 2019.07.16
539 베트남 온라인 광고 kimswed 263 2019.07.12
538 베트남 부동산 정책 kimswed 253 2019.06.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