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 산업통산부는 지난 3월 국가 무역 포털(VNTR, https://vntr.moit.gov.vn/)을 공식 출범시켰다. 이로써 우리 진출 기업을 포함한 많은 외국 투자기업들의 숙원이 해결됐다. 베트남은 그간 투자 진출의 필수 정보인 수입 세율 확인, 자유무역협정(FTA), 비관세장벽 및 무역정책 등에 관한 자료를 한 곳에서 볼 수 있는 포털이 전무했다. VNTR의 세부 사용법을 알아보자.
 
▲VNTR 메인페이지 캡처
●관세율 조회 기능(Tariff Schedules)=KOTRA 무역관 FTA센터에 접수되는 가장 많은 질문 중 하나가 베트남 수입 세율에 관한 것이다. 
 
기존에는 베트남 관세청을 통해 확인이 가능했지만 VNTR을 통해 수입 관세율을 조회하면 베트남이 체결 중인 15개 협정에 대해 FTA 특혜 세율까지도 조회할 수 있다.
 
 
HS코드 입력 후 수입국을 선택하면 해당 국가와 베트남이 체결한 FTA 특혜 관세율의 2021년부터 2046년까지의 변경 스케줄과 전년, 올해의 특혜 세율을 조회할 수 있다.
 
●FTA 원산지 규정 확인(Rules of Origin)=현재 베트남은 총 15개 FTA를 체결하고 있으며 VNTR에서는 각 협정의 원산지 규정 및 원산지증명서 양식을 내려받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비관세 조치 확인(Non-tariff measures)=비관세장벽은 관세 이외의 무역장벽을 의미하며 수량 제한, 수입허가제, 각종 수입 과징금 등을 부과하는 것을 말한다. 
 
VNTR을 통해 현재 베트남이 부과 중인 비관세장벽 조회가 가능하며 세율 부과와 관련된 법률정보 및 관할 기관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해당 조치가 적용될 수 있는 HS코드를 확인할 수 있어 수입 HS코드별 인증 필요 여부에 대해 좀 더 쉽게 조회할 수 있다.
 
●베트남 주요 법률정보(Legal Documents)=현재 베트남이 적용 중인 무역 및 수출입 관련 법률정보도 조회가 가능하며 영문 규정이 있는 경우 함께 조회할 수 있다. 
 
그간 베트남어 정보는 무료로 조회할 수 있지만 영문 법규는 유료 사이트를 통해 확인해야 했는데 VNTR에는 상당수 법률 정보가 영문으로 공개돼 있다.
 
●HS코드, 원산지 결정 등 주요 관세 행정심판 결정 조회(Administrative Rulings Concerning Tariff Classification)=진출 기업의 수입 세율 확인 요청 다음으로 많은 질문 중 하나가 HS코드에 대한 결정 문의이다. 
 
베트남도 한국 관세청에서 운용 중인 품목분류 사전심사제도를 운용하고 있으며 품목분류 심사제도 신청 절차 및 공개된 결정에 대한 조회가 가능하다.
 
●수출입안전관리우수업체(AEO·Authorized Economic Operator) 조회=베트남도 WCO(국제관세기구)에 따라 AEO 제도를 운용 중이며 VNTR을 통해 AEO 신청 절차와 현재 인증을 획득한 기업 명단을 볼 수 있다. 
 
2021년 기준 총 69개 기업이 AEO 인증을 획득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세계무역기구(WTO), 유엔 서비스 무역 조회 및 관련 현지 법률 조회 (Trade in Services)=VNTR에서는 상품무역뿐만 아니라 WTO와 유엔의 서비스 무역규정 및 현지 법률규정도 조회할 수 있다.
 
●FTA의 투자규정 및 관련 현지 법률 조회(Investment)=VNTR에서는 협정 별로 상이하게 돼 있는 투자협정도 한 곳에서 조회가 가능하며 관련 현지 법률도 알아볼 수 있다.
 
●FTA 협정문 및 관련 현지 법률 조회(Free Trade Agreements)=앞선 챕터에서는 원산지규정, 서비스 무역, 투자협정 등 항목별로 조회가 가능했다면 이 화면에서는 FTA 전체 협정문과 관련 현지 법률 조회가 가능하다.
 
KOTRA 호치민 무역관 제공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680 베트남 식품 수요 kimswed 11193 2022.11.24
679 베트남, 채식이 주류 식문화로 부상할까? kimswed 11667 2022.11.18
678 베트남 소비시장 동향 kimswed 12040 2022.11.10
677 베트남에서 쏟아지는 한국 위조상품 kimswed 12091 2022.11.01
676 베트남 소매시장 회복 kimswed 11791 2022.10.27
675 세계의 섬유공장’에 가해진 타격 kimswed 11553 2022.10.25
674 베트남 관광산업 환경 kimswed 11597 2022.10.20
673 베트남, Z세대가 열광하는 e스포츠 시장 kimswed 11432 2022.10.10
672 베트남 소비활성화 kimswed 11359 2022.09.29
671 베트남 달러 강세 kimswed 11388 2022.09.17
» 베트남 무역 포털(VNTR) 활용법 ‘A to Z’ kimswed 11454 2022.08.21
669 베트남 경기 침체 kimswed 11418 2022.08.09
668 베트남은 지금도 기회의 땅 kimswed 11413 2022.07.23
667 코로나19 팬데믹 후 첫 바이어 대면 kimswed 11412 2022.07.18
666 베트남 소비시장, 한국 최대 경쟁자는 ‘일본’ kimswed 11320 2022.07.08
665 베트남, 인플루언서 마케팅 활용하는 법 kimswed 11349 2022.07.06
664 베트남, 6대 시장 트렌드 kimswed 11309 2022.07.03
663 베트남 온라인쇼핑 성장 kimswed 11328 2022.06.30
662 베트남, 코로나19 히트상품과 포스트코로나 유망분야 kimswed 11105 2022.06.25
661 베트남 구매력 향상 kimswed 9907 2022.06.16
660 베트남 경기회복 전망 kimswed 8953 2022.06.03
659 베트남 소매업 활성화 kimswed 7862 2022.05.18
658 베트남, 한류 타고 성장하는 남성 그루밍 시장 kimswed 7131 2022.05.12
657 베트남 수출 증가 kimswed 5893 2022.05.05
656 베트남 수요 회복력 kimswed 5657 2022.04.21
655 베트남 물가 상승 kimswed 5403 2022.04.07
654 베트남 관광산업 회복 kimswed 6048 2022.03.23
653 베트남, 샘플경제에 부합하는 화장품 kimswed 5577 2022.03.20
652 베트남 대기 수요 kimswed 4590 2022.03.10
651 베트남 수요 예측 kimswed 3557 2022.02.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