몽골의군대

kimswed 2007.03.31 07:20 조회 수 : 1489 추천:455

몽골의 정식군대인 몽골국군(몽골어 표기 : МОНГОЛЫН УЛСЫН АРМИ)은 몽골혁면의 힘이 된 사회주의시대의 몽골인민군(몽골어 표기 : МОНГОЛЫН АРДЫН АРМИ)에서 사회주의정권 붕괴 후, 몽골의 국군으로서 계승된 군대이다.



몽골의 총병력은 9100명, 예비병력은 14만명이다. 징병제로서 남자는 18세부터 1년간 병역의 의무를 진다. 국방예산은 181억 8,680만 투그룩(2003년)이다.



다만, 징병제도는 엄격하지 않아서, 병역대체금이라고 불리는 납부금(약 800달러)를 납부하거나, 해외에 유학하는 등 26세까지 해외에서 지내면 병역의무는 소멸된다. 어린 자녀가 있는 경우에도 면제된다.(돈 없는 사람만 군대 간다는 불만이 나올 법도 하나...군인의 월급이 사회에서 받는 월급의 평균 수준은 되기 때문에 불만이 생각보다 크지 않다고 한다)



몽골군대의 장비는 주로 인민군시대 소련으로부터 얻은 무기가 대부분인데, 전투기나 공격용 헬리콥터 등은 모두 퇴역하였다. 이전에 보유하고 있던 것으로서는 MiG-17, MiG-21PFM, Mi-24D 등이었다. 현재 보유하고 있는 것은 Mi-8T 등 소수이다. 다만, S-75계열의 지대공미사일도 보유하고 있었지만, 현재 가동상태에 있는지는 의문이다. 육상장비도 역시 이전보다 축소되었지만, 항공병력이 가장 극적으로 축소되었다.



병력은 사회주의시대의 28,000명(1970년대)에서 약 1만명 줄어들었지만, 아직은 그 때와 비슷한 차량보유 수를 유지하고 있고, 반 정도는 기계화되었다. 무기의 보수능력이 저하되었기 때문에 전투기 등에 부실정비가 발생하는 등 전력으로서는 상당히 빈약하다.



국경경비대는 군대와는 별개의 조직이지만, 징병은 일괄적으로 이루어지며, 징병된 인원이 무작위로 군대와 국경경비대로 배속된다. 몽골이 국경경비에 힘을 쏟는 이유는 가축이 국경을 넘었을 때 인접국과의 마찰에 대응하기 위해서이다.



최근, 조직의 생존을 위해 해외협력과 재해대책에 힘을 쏟고 있으며, 미국의 대이라크전쟁에 일찌감치 지지를 표명하고 이라크전 지원에도 군부대를 4번에 걸쳐 파견하였다. 군대는 이라크 이외에도 아프가니스탄군 지도(소련군 장비에 숙련을 위해)와 콩고의 PKO활동에도 참가하고 있다. 또한, 서방 각국과의 방위교류에도 힘을 쏟고, UN상임이사국 군대를 초대하여 합동군사훈련과 PKO UN훈련장의 설치 등을 하고 있다.



몽골에는 바다는 없지만, 해군은 존재한다. 몽골 북부 훕스굴호수에 존재하며, 보유함선 한 척, 인력 7명으로 구성되어 있다. 최고지휘관은 대위이고, 병력은 특별히 수영을 잘 하는 것도 아니고 바다를 본 적도 없다. 소련 붕괴 이전에는 소련 석유기지에서 훕스굴호수의 석유수송 임무를 하였으나, 소련붕괴 후에는 용도를 상실하였고, 1997년에는 모두 민영회되어, 현재는 호수를 방문하는 관광객의 안내를 하고 있다.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 몽골의군대 kimswed 1489 2007.03.31
19 몽골역사=고려사 kimswed 2588 2007.03.31
18 프놈펜황도 kimswed 2947 2007.03.30
17 프놈펜 kimswed 1532 2007.03.30
16 해당국비자면제표시 kimswed 1413 2007.03.26
15 홍콩출입국정보 kimswed 1408 2007.03.26
14 성공한여자의필수(goodjgw님의글) kimswed 2084 2007.03.26
13 필립핀정보 kimswed 1593 2006.12.08
12 운항안내/여권 kimswed 1424 2006.12.05
11 부끄러운성매매 kimswed 1535 2006.11.28
10 해외여행자보험 kimswed 1305 2006.11.08
9 캄보디아대사관 kimswed 1771 2006.11.07
8 중국항공권안내 kimswed 1651 2006.11.03
7 라오스국가개요 kimswed 1641 2006.10.31
6 라오스/무일푼으로성공신화 kimswed 1963 2006.10.31
5 태국일반정보 kimswed 2534 2006.10.27
4 베트남후에엿보기 kimswed 1442 2006.10.27
3 베트남북부국경도시 kimswed 2088 2006.10.27
2 베트남부동산경기과열 kimswed 1366 2006.10.27
1 베트남골프붐 kimswed 1554 2006.10.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