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복이 오라고 거꾸로 붙이는 거랍니다
중국영화를 보면 집집마다 복복자(福字)를 거꾸로 붙여놓은 집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많은 외국인은 복자가 거꾸로 붙여진 것에 의아해한다. 그 이유는 그들이 쓰는 언어에서 찾아볼 수 있다.
성조만 다르고, 같은 발음에 다른 뜻을 가지게 되는 그들의 언어 특성상 만들어진 그들만의 관습이 있다. “복이 온다” 라는 말은 “福到(fu dao_ 푸따오 )” 가 된다. 그런데 따오라는 발음과 동일한 한자가 바로 “倒(따오_ 거꾸로 되다.)” 다. 즉 복자를 거꾸로 붙여놓은 상황을 말로 한다면 복이 온다라는 말이 되는 것! 복 오는걸 싫어하는 사람이 있을까? 그래서 중국인들은 집집마다 복자를 거꾸로 붙여놓고 일년내내 사는경우가 허다하다. 우리나라 사람들이 새봄이 되면 희망과 복을 바라는 마음을 담아 입춘대길이라고 대문에 써붙이는 것과 무관하지 않다.
>> 높은 몸값을 자랑하는 숫자 “8”
나라마다 선호, 기피하는 숫자가 있기 마련! 우리나라 사람들이 선호하는 숫자를 고른다면 단연 숫자 3이다. 하다못해 가위바위보도 한판으론 성이 차지 않는다. 삼세판은 해야하니까! 반면에 설움 받는 숫자는 강력하게 4. 한자를 쓰는 우리들에게도 죽을사(死)와 동일한 발음의 4는 결코 반가운 숫자는 아니다.
한자를 그들의 문자로 쓰고 있는 중국인들에게 4가 반갑지 않은 존재인 것은 당연하다. 그렇다면 중국사람이 좋아하는 숫자는 무엇일까? 중국어에서 돈을 벌다라는 뜻의 ??의 ?의 발음은 fa로 숫자 8(ba)와 흡사하다. 때문에 숫자 8은 그 높은 몸값을 자랑하는데, 핸드폰, 전화번호, 차번호등 번호가 들어가는 곳마다 8을 쓰고 싶어 안달이다. 때문에 아파트 8층은 로열층이 된다. 실제로 중국인들은 한국이 1988년 88올림픽을 계기로 경제성장을 이룬것도 숫자 8의 덕택이라고 생각하기도 한다.
그들의 언어와 관련되어 사랑받는 또 다른 숫자는 9이다. 9는 오래살다라는 뜻을 가진 久(jiu)와 동일한 발음이기 때문에 장수하다라는 뜻과 동일하므로 사랑받을 수 밖에 없다.
>> 시계는 사양합니다.
사람마다 받기 원하는 선물은 다양하겠지만, 한 나라의 관습상 받기 꺼려하는 선물이 있기 마련이다. 시대가 많이 변해서 신세대들에게는 그런 관습들을 찾아보기 힘들지만, 어른들에게는 아직도 이런 관습이 많이 남아있다. 우리나라는 연인들 사이에 구두를 선물하지 않는 사람이 많는데, 신발을 사주면 신고 도망간다는 속설 때문이다. 중국인들에게도 그런 관습중 하나가 시게선물을 꺼리는 것이다. 시계는 중국어로 ?(zhong_쫑)이라고 발음한다. 그런데 끝난다라는 의미의 ?(zhong_쫑) 역시 성조만 다를뿐 동일한 발음이다. 환자에게, 또는 연인에게 시계선물은 꺼리게 된다.
>> 설날에 교자(만두)를 먹어요~
중국인하면 떠오르는 것이 자장면말고 교자일 것이다. 이들이 교자를 먹는 것도 바로 중국어의 특성에서 나온 것이다. 새해와 묵은해가 서로 교차하는 시기(新年和?年相交在子?)라는 의미의 "交子"가 "?子"로 변해내려온 것이다.만두를 먹으면서 묵은해가 가고 새해가 오는 설레임에 새해의 희망과 복을 담아 폭죽을 터트리기도 한다. 요즘은 폭죽으로 일어나는 사고로 대도시에서 폭죽 터트리는것을 금지하고 있는데, 지방으로 내려가면 아직도 시끌벅적한 폭죽소리를 들을 수 있다.
사실 알고보면 중국뿐 아니라 우리나라에도 관습들이 있을 것이다. 신세대들에게 구습이라고 잊혀져가면서 전통과 특성마저 사라지는 것은 아닐까 안타깝기도 하다.
댓글 0
번호 | 제목 | 글쓴이 | 조회 수 | 날짜 |
---|---|---|---|---|
50 |
투자관련정보
![]() | kimswed | 1426 | 2007.08.02 |
49 |
필립핀/바기오
![]() | kimswed | 1794 | 2007.04.24 |
48 |
베/고엽제
![]() | kimswed | 1410 | 2007.04.03 |
47 |
베/교육제도
![]() | kimswed | 1713 | 2007.04.03 |
46 |
베/교육제도
![]() | kimswed | 1354 | 2007.04.03 |
45 |
베트남인
![]() | kimswed | 1438 | 2007.04.03 |
44 |
캄/폴포트
![]() | kimswed | 1508 | 2007.04.02 |
43 |
캄/크메르루즈
![]() | kimswed | 1461 | 2007.04.02 |
42 |
캄/앙코르왓
![]() | kimswed | 1308 | 2007.04.02 |
41 |
캄/시아누크
![]() | kimswed | 1557 | 2007.04.02 |
40 |
캄/모이제족
![]() | kimswed | 1664 | 2007.04.02 |
39 |
메콩강
![]() | kimswed | 1532 | 2007.04.02 |
38 |
캄/노르돔왕조
![]() | kimswed | 1411 | 2007.04.02 |
37 |
캄/남방불교
![]() | kimswed | 1484 | 2007.04.02 |
36 |
베트남마지막왕조
![]() | kimswed | 1535 | 2007.04.02 |
35 |
크메르어
![]() | kimswed | 1601 | 2007.04.02 |
34 |
크메르족
![]() | kimswed | 1562 | 2007.04.02 |
33 |
동남아로....
![]() | kimswed | 1275 | 2007.03.31 |
32 |
캄보디아교회의현실
![]() | kimswed | 1633 | 2007.03.31 |
» |
중국의관습
![]() | kimswed | 1651 | 2007.03.31 |
30 | 중국칭따오부동산전망 | kimswed | 1466 | 2007.03.31 |
29 | 중국운전면허취득법 | kimswed | 1597 | 2007.03.31 |
28 | 중국인민폐통화단위 | kimswed | 1817 | 2007.03.31 |
27 | 중국아파트임대하기 | kimswed | 1617 | 2007.03.31 |
26 | 중국여행시주의사항 | kimswed | 2180 | 2007.03.31 |
25 | 노인을때리는중국풍습 | kimswed | 1580 | 2007.03.31 |
24 | 중국조선족의과제 | kimswed | 1428 | 2007.03.31 |
23 | 중국에서바가지안쓰는법 | kimswed | 1416 | 2007.03.31 |
22 | 몽골반점 | kimswed | 1506 | 2007.03.31 |
21 | 몽골민족의종말과그이후 | kimswed | 1385 | 2007.03.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