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에서 뜨는 ‘스파용 화장품

kimswed 2016.07.13 08:17 조회 수 : 284

스파와 화장품·피부관리용품 동반성장…체험기회 제공해야

images (13).jpg

 

 


베트남에서 스파용 화장품 시장이 새로 떠오르고 있다.


베트남에 스파 개념이 생기기 시작한 것은 1990년대다. 당시만 해도 스파는 일부 부유층의 전유물로 인식됐다. 그러던 것이 이제는 많은 시민이 지친 심신을 달래고 피부 관리를 위해 스파를 찾고 있다.


베트남 스파 시장이 확대되면서 관련 화장품 시장도 덩달아 커지고 있다. 작년 기준 베트남의 화장품 시장은 약 5억 달러로 2012년의 436억 달러에서 빠른 속도로 확대되고 있으며 이런 추세는 스파 화장품 시장도 마찬가지다.


마스크팩, 세럼, 에센스오일, 배스솔트, 몸매관리 크림, 바디로션, 클린징 스크럽 크림과 코코넛오일, 우유, 꿀, 과일로 만들어진 천연 화장품 등으로 구성된 스파 화장품 시장 중 저가는 중국, 대만산이 과점하고 있는데 대부분 핸드캐리로 들여와 원산지가 불명확하고 품질인증도 없다. 중급은 한국산과 태국산이 차지하고 고급 시장은 프랑스, 미국과 몇몇 일본 브랜드가 다투고 있다.


KOTRA 호치민 무역관이 스파센터를 인터뷰한 결과 고객 유치전략 중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 브랜드 인지도가 있는 피부관리나 스파용 화장품 또는 피부, 체형 관리기구를 광고하는 것이어서 많은 스파센터가 새로운 스파용 화장품 도입에 매우 적극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에는 천연소재의 스파 화장품이 인기다. 베트남인들은 전통적으로 쌀겨, 꿀, 로열젤리 등을 사용해왔기 때문에 자연소재를 선호하는데 최근에는 아예 천연화장품 전문 스파나 허브추출물 스파가 등장해 인기몰이 중이라는 것.


이런 상황에서 한국과 일본 브랜드의 활약이 두드러지고 있다. ‘아시아 사람을 위해 만들어진 화장품이 아시아인에게 더 적합하다’는 인식이 퍼지면서 일본산과 한국산의 인기가 올라가고 있다.


호치민 무역관 관계자는 “최근 들어 대중적인 소규모 스파 서비스가 늘어나면서 중급의 태국과 한국산 화장품을 사용하는 스파숍이 늘고 있다”면서 “이런 스파들은 다양한 제품을 혼용하면서 마진을 확보하는 전략을 구사하고 있다”고 밝혔다. 프랑스산과 미국산 스파 화장품은 비싼 가격 때문에 중소형 스파가 적정 수익을 확보하기 쉽지 않다는 것이다.


무역관 관계자는 “현지 스파숍을 접촉한 결과 한국 브랜드 수입을 희망하는 곳들은 일단 샘플로 고객들에게 체험 기회를 제공해주기를 희망하고 있다”면서 “이런 마케팅을 통해 스파 화장품 시장에 진입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주간무역> 제공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241 베트남 FTA, 한국산 직물 누적규정 활용 주의점 kimswed 135 2021.02.17
240 베트남 건강식품 수요 kimswed 95 2021.02.15
239 베트남 수요 회복 kimswed 98 2021.01.28
238 베트남 페인트 시장 성장 기대 kimswed 149 2021.01.26
237 베트남 소비자 의식 변화 kimswed 110 2021.01.13
236 베트남 원산지증명의 중요성 kimswed 119 2020.12.31
235 베트남 소비자의 구매 습관 kimswed 133 2020.12.17
234 베트남 소비자의 요구 kimswed 111 2020.12.03
233 베트남 경제회복 예고 kimswed 115 2020.11.22
232 베트남 경제 회복 가속화 kimswed 99 2020.11.10
231 베트남, 육아용품에 돈을 아끼지 않는다 kimswed 182 2020.10.31
230 베트남 시장 환경 변화 kimswed 107 2020.10.22
229 베트남 : 비즈니스 알쓸신잡 kimswed 103 2020.10.17
228 관세 피하기... 글로벌 의류산업 kimswed 116 2020.10.14
227 베트남 구매력 회복 kimswed 83 2020.10.07
226 베트남 새로운 소비패턴 kimswed 110 2020.09.18
225 베트남 경비 절감 kimswed 138 2020.09.02
224 베트남, '건강한 소비' kimswed 101 2020.08.29
223 베트남 식품 시장, 익숙한 것부터 진출하라 kimswed 115 2020.08.22
222 베트남 외식산업 시장의 새로운 환경 kimswed 109 2020.08.21
221 베트남 문구 시장 kimswed 207 2020.08.15
220 베트남 진출기업, EU와의 FTA를 ‘기회’로 kimswed 83 2020.08.07
219 베트남 점포를 축소하는 소매업체 kimswed 84 2020.08.03
218 K웹툰, 베트남 시장 정조준 kimswed 90 2020.07.28
217 베트남 노동시장에서 소비시장으로 성장 중 kimswed 116 2020.07.23
216 베트남 식품시장 트렌드는 ‘안전’과 ‘건강 kimswed 94 2020.07.18
215 베트남 건강에 대한 관심 kimswed 92 2020.07.17
214 확산되는 베트남의 도박 문화 kimswed 142 2020.07.11
213 베트남 프로모션 필요성 kimswed 91 2020.07.02
212 베트남 소비시장의 핫 트렌드 ‘4’ kimswed 95 2020.06.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