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세법개정안

kimswed 2013.08.01 08:20 조회 수 : 677 추천:133



7월 22일부터, 회계자격증 발급 수수료는 통지서 제78/2013/TT-BTC호에 따라 새롭게 적용될 예정이다.

첫 발급 또는 만기로 인한 재발급은 서류 당 120만 동; 회수(파기, 취소)로 인한 재발급은 80만 동; 잃어버리거나 훼손으로 인한 재발급은 30만동; 서류 정정은 80만 동이다.

회계사무실 사업허가서 인증서 발급에 대해서는 첫 발급과 회사 분할, 분리, 합병, 기업 소유형태 변경으로 발급의 경우 서류 당 400만 동이며, 잃어버리거나 훼손으로 인한 재발급은 100만 동, 서류 정정은 200만 동이다.

또한, 7월 22일부터 설탕 수입관세가 통지서 제79/2013/TT-BTC 규정에 따라 15%까지 오르게 된다. 포도당과 순과당 함유 유무 포도당 시럽, 화학적으로 순수한 과당(코드 번호 1702.30~1702.60)등이 이에 해당한다. 하지만 다른 종류의 설탕, 과당 함유 혼합설탕시럽은 건조 중량에 따라 50%까지 오른다(코드 번호 1702.90에 속한 분자들). 개별적으로 메이플 설탕과 메이플 시럽(코드 번호 1702.20.00)은 10% 관세가 적용될 예정이다(이전 수입관세는 3%였다).

7월 25일부터, 베트남 총리가 발행한 의정서 제35/2013/ Qđ-TTg호 규정에 따라 100% 국영기업의 감사는 자신의 업무와 관련되어 회사 도장을 임의로 사용할 수 있게 했다. 이는 회사의 감찰 업무를 담당하는 감사의 위치를 격상시킨 것으로서 예전과 같이 자신의 업무에 관한 서류에 회사 도장을 받기 위해 회사 대표에게 보고하고 도장을 날인 받지 않아도 되는 것을 의미한다. 100%국영기업의 감사가 되기 위한 조건은 대학졸업자이어야 하며, 재정, 회계, 감사 업무에 3년 이상 경험이 있어야 한다. 감사의 임기는 3년이며, 동시에 3개 회사의 감사직을 겸할 수 있다.

7월 26일부터, 베트남 재정부가 발행한 의정서 제89/2013/TT-BTC호에 따라 회사의 지분비율 판단은 당해 년도 회계보고서에 따라서 결정하도록 했다. 과거에는 전년도 회계보고서에 따라 결정되었으나, 새로운 규정을 통해 실제 투자 지분이 얼마인지를 좀 더 현실에 가까운 시점에서 판단하도록 한 것이다.

7월 31일부터, 의정서 제59/2013/Nđ-CP호에 따르면, 간부, 공무원은 뇌물에 관한 법률 위반 행위에 근거하여 직급직무 변경 혹은 90일간의 일시적 정직 처분을 받을 수 있다. 간부, 공무원이 부패 행위가 없다고 결론이 난 날로부터 5일 이내 혹은 직급직무 변경 혹은 정지 처분이 끝나는 날에 부패 행위가 없다고 결론이 났을 시 결정을 내린 결정자는 위 결정 내용을 취소해야만 한다.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300 왕초보 수출기업, 수출실적 없어도 성장금융 혜택 kimswed 11321 2022.10.20
299 1억8천만원 있으면 최대 10년 거주 kimswed 11254 2022.10.27
298 마켓플레이스에서 해외 소비자에 제품 팔려면 kimswed 11159 2022.10.07
297 대만, Z세대 이해하기 kimswed 11076 2022.09.24
296 시알(SIAL) 혁신상으로 본 식품산업 kimswed 10980 2022.09.23
295 디지털 혁신, 세상 경험 방식 파괴적 변화 초래 kimswed 10899 2022.11.16
294 말레이시아, 주목받는 ‘비건 뷰티’ kimswed 10775 2022.09.13
293 파키스탄, 전자상거래의 해가 뜬다 kimswed 10772 2022.11.21
292 글로벌 커피산업의 다크호스, 미얀마 kimswed 10772 2022.09.01
291 지속 가능성은 선택이 아닌 필수 kimswed 10731 2022.08.25
290 글로벌 무역환경 급속도로 나빠지고 있다 kimswed 10701 2022.08.30
289 박승찬의 차이나 포커스 (1) kimswed 10228 2022.07.26
288 중국 메타버스는 기회의 땅 kimswed 10111 2022.07.21
287 일본, Z세대 참여로 활기 띠는 남성 화장품 시장 kimswed 9851 2022.07.10
286 이제 인도 시장으로 가야할 때 kimswed 9696 2022.12.03
285 데이터 기반 경제로 디지털 산업 미래 대비해야 kimswed 9585 2022.12.07
284 배달만을 위한 소규모 창고형 매장 kimswed 9409 2022.06.09
283 김문영의 인도경제, 인도상인 이야기(26) kimswed 9130 2022.12.17
282 ‘포스트 코로나’ 시대 준비(1) kimswed 8191 2022.06.01
281 FTA는 셀러·바이어 모두에 윈-윈 kimswed 7980 2022.05.13
280 고령화로 의료시장 기회 kimswed 7978 2022.12.29
279 김문영의 인도경제, 인도상인 이야기(27) kimswed 7678 2023.01.06
278 바이어를 찾는 7가지 방법 kimswed 7545 2022.04.28
277 김문영의 인도경제, 인도상인 이야기(9) kimswed 7536 2022.03.14
276 건강을 위해 차(茶)를 마시는 독일 사람들 kimswed 7522 2023.01.04
275 FTA 활용 성공 사례 화학제품 kimswed 7336 2022.03.05
274 샐러리맨 30년 현직 CEO가 전하는 ‘슬기로운 직장생활 kimswed 7183 2022.04.23
273 현지 파트너사·전문가 네트워크 소개해 해외진출 돕는다 kimswed 7170 2022.04.12
272 FTA 활용 성공 디지털 도어록 kimswed 6900 2022.03.28
271 샐러리맨 30년 현직 CEO가 전하는 ‘슬기로운 직장생활’ kimswed 6703 2023.0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