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스포츠용품업계

kimswed 2019.03.04 06:03 조회 수 : 158

extra_vars1  
extra_vars2  

중국스포츠산업연합회(中国体育用品联合会)와 30여개 회원사 관계자들이 2월 28일 부터 3월 3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개최된 스포엑스(SPOEX.서울국제스포츠레저산업전 2019) 기간에 맞춰 서울을 방문했다. 이들은 스포엑스를 둘러보고 참가업체들과 상담을 진행했으며, 한국의 스포츠 관련 기업들을 방문했다. 필자는 이들과 많은 일정을 함께하면서 이들이 한국의 스포츠용품 및 기술에 대해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고 협력을 희망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며칠 동안 동행 과정의 단상들을 키워드로 정리한다.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스포엑스 기간 중 '차이나 스포츠쇼 2019' 홍보 부스를 방문한 중국스포츠산업연합회 관계자들과 필자(가운데가 중국스포츠산업연합회 루어지에(罗杰) 부주석, 왼쪽에서 세 번째가 필자). 차이나스포츠쇼는 5월 23일부터 26일까지 중국 상하이에서 개최된다. [사진=넥스나인 제공]

 

 

●인터넷+ = 이들은 특히 기존의 전통 운동기구에 SMART 기능을 접목한 융합상품 등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 대체로 제품 생산 능력은 뛰어나지만 기술과의 융합(어플리케이션, 센서, 컨텐츠 등)에 어려움이 있는 듯 보였고, 대한민국의 스포츠 소프트웨어 개발사에 투자 또는 협력하기를 원했다.

 

●정부지원 = 중국 전체 GDP 중 스포츠 산업이 차지하는 비율은 1.1% 내외로 여타 선진국에 비해 현저히 낮다. 향후 2025년까지 중국체육총국(国家体育总局)에서는 스포츠 산업 육성을 위한 전폭적인 지원을 계획 및 실행하고 있다. 중점 관심 분야로는 유소년체육, 생활체육, 첨단산업과의 융합 등의 분야인데 이 분야는 중국 정부의 주요 정책 방향이기 때문에 많은 스포츠 관련 기업들이 해당 분야로 방향 전환을 시도할 것으로 예상된다.

 

●무역전쟁 = 미중 무역전쟁이 장기화 되면서 기존의 중국 하이엔드(Hi-End) 시장에서 큰 경쟁력을 가졌던 미국 프리미엄 운동기구 기업들이 관세 등의 이유로 가격 경쟁력을 점차 상실하고 있다. 무엇보다 지리적으로 유리한 위치에 있는 한국의 경우, 특히 물류비 부담이 큰 품목의 경우, 상대적으로 유리한 조건을 갖추고 있어 지금이 기회다.

 

●디자인 = 동양인과 서양인은 체구나 체형이 다르다. 그렇다보니 운동 궤적이 다른데, 이들은 대한민국의 제품들이 중국인 체형에 더 잘 맞도록 설계한 것이 아닐지 기대하고 있었다. 한국 디자인 스포츠용품의 경우 상당히 미려한 제품들이 많아 사이즈와 디자인 요소를 강조한 마케팅도 상당히 수요가 있는 것 같다.

 

●융복합 = 중국 시장의 경우, 과거 전통적인 스포츠 산업으로 일컫는 제조 비율이 전체 스포츠 산업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80%이상이었으나, 2017년을 기점으로 60% 대로 낮아졌다. 나머지 비율은 스포츠+서비스, 스포츠+뷰티, 스포츠+관광, 스포츠+메디컬 등으로 확대 개편되고 있다. 대한민국의 경우 뷰티, 메디컬, 첨단 산업처럼 일정 기간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분야가 존재하고, 아직까진 유효하니 중국 시장을 다각도로 개척해봐도 좋을 것 같다.

 

 

 

김유림
국제전시평론가

중국스포츠산업연합회 한국지부 대표
(주)넥스나인(兰士久 NEXNINE) 대표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267 중국 유통시장 함정에 주의하라③ kimswed 440 2019.08.31
266 손세정제 등 의료용품, 북미시장 진출 기회 kimswed 412 2020.03.27
265 우리 기업과 맞는 포워더·운송 루트·선사 kimswed 390 2019.04.28
264 (주)키카 file kimswed 353 2017.09.23
263 화장품 상품 등록 베트남 kimswed 343 2019.06.20
262 쫑차오 경제’를 제대로 활용하는 방법 kimswed 343 2022.01.13
261 충북기업, 세계로 날다(11) 동일제약 kimswed 333 2018.12.14
260 성공하는 식당과 실패하는 식당, 그 차이는? file kimswed 333 2018.06.06
259 베트남 진출 3년 차, ‘세관 조사’가 최대 걸림돌 kimswed 315 2019.05.27
258 코스웰코리아 북미시장 발판 K-뷰티 글로벌 kimswed 312 2019.04.25
257 ㈜엑스컴퍼니 kimswed 308 2019.03.14
256 농심의 ‘현지화 경영’ 사례에서 배우다 kimswed 308 2021.01.18
255 (주)글로리빈치] 수출은 비용과의 싸움 kimswed 286 2019.05.04
254 충북제품, 베트남 바이어의 마음을 훔치다 kimswed 285 2018.09.08
253 베트남 중가 여성 핸드백 시장 kimswed 283 2018.11.18
252 올해 선방한 태양광시장 kimswed 283 2018.10.24
251 (주)지오택] 이제는 B2C가 소비재 수출의 출발점 kimswed 282 2019.05.20
250 차이나 MOT를 잡아라 kimswed 280 2019.01.26
249 해외 기술이전 때 로열티 kimswed 277 2019.05.07
248 고헌정영농조합법인 kimswed 277 2020.12.11
247 OEM 기업도 ‘아마존 비즈니스’로 직접 B2B 거래 kimswed 274 2019.10.05
246 안전한 먹을거리에 눈뜨는 중국 kimswed 271 2019.07.13
245 인생도 투자도 직관과 사고를 통한 판단의 문제 file kimswed 267 2018.05.28
244 코스본 전자무역으로 신뢰를 쌓는 8가지 비결 kimswed 267 2019.04.10
243 탈선하는 베트남 신부들 kimswed 263 2018.10.23
242 베트남 기업정보 쉽게 확인하기 kimswed 261 2020.07.18
241 ㈜유혜림디자인플레이하우스 한글과 캐릭터 결합한 ‘이응이’ kimswed 260 2019.04.22
240 베트남 의료기기 시장동향 kimswed 259 2018.11.11
239 알렌 정의 마케팅 강의(51)] 가격 산정의 중요성 kimswed 257 2019.10.25
238 중국시장을 가위질하라(1) kimswed 248 2019.09.11
237 분공사 vs 자공사의 차이를 아시나요? kimswed 246 2019.07.20
236 중국 비즈니스 인사이트 임시정부 수립 100년, 후손들의 숙제 kimswed 245 2019.01.06
235 충북 기업 세계로 날다(9)] 넥스켐 kimswed 245 2018.12.03
234 파키스탄, 성분 좋은 한국화장품 인기 kimswed 243 2019.03.29
233 더테스트키친 수출 꿈은 반드시 이루어진다 kimswed 242 2019.03.30
232 성진에스앤에프㈜] 100만 불 수출 kimswed 242 2019.03.26
231 (주)서치라이트 에이치앤비 제주 해마로 K뷰티 열풍 이끈다 kimswed 239 2019.04.19
230 차이나 비즈니스(7)] 중국 숫자문화 kimswed 238 2018.12.28
229 충북기업 세계로 날다 비엔디 kimswed 235 2018.12.25
228 FTA 활용 성공 사례 자동차 부품 kimswed 235 2018.10.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