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협중국 소비자에 한국 제품 인식 설문

품질·안전성 중점 두고 사용 후기에 민감

 

코로나19로 인해 안전이 그 어느 때보다 더 중요한 화두로 떠오른 가운데 중국 소비자들이 한국 제품을 선택한 이유로 품질과 안전성을 꼽았다.

 

한국무역협회 청두지부가 중국 소비자들을 상대로 조사해 6일 발표한 중국 소비자의 한국 제품 평가 및 인식에 따르면 중국 소비자들은 한국 제품을 선택할 때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소로 품질이라 응답했다.

 

설문 응답에서는 품질을 꼽은 비율이 43%로 가장 많았고이어 가격’(27%), ‘디자인’(21%) 순이었다또한광고를 보고 구매하는 경우는 6%에 불과해 제품의 품질가격디자인을 꼼꼼히 따져보는 이성적 구매의 특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식품은 품질(28%)과 위생 안전(24%)유아용품은 품질(30%)과 안전성(29%)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등 품질 못지않게 제품의 안전성에도 신경을 쓰는 모습을 보였다.

 

중국 소비자가 가장 많이 구매한 경험이 있는 한국 제품으로는 화장품이 36%로 1위를 차지했으며그 뒤로 식품과 생활용품가전이 각각 25%, 19%, 16%를 차지했다농림수산물과 생활용품잡제품 수출은 전체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작음에도 불구하고 2019년에 전년 대비 14.1%, 0.2%, 15.3%씩 증가했다.

 

특히 메이크업 기초화장품면류·어류·수산가공품·인삼류 등의 농림수산물표면활성제·콘택트렌즈 등의 생활용품서적과 반창고 등이 수출 상승세를 보였다.

 

제품을 구매할 때는 오프라인 매장보다 온라인 구매 방식을 훨씬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화장품식품생활용품 등은 온라인 구매 비중이 68%~75%에 달했고 유아용품의 온라인 구매 비중이 가장 낮았음에도 절반 이상인 56%가 온라인 구매를 선호한다고 응답했다.

 

전체적으로는 품질이 1순위를 차지한 것은 마찬가지였으나 화장품에서는 브랜드인지도식품·유아용품에서는 안전성이 품질에 버금갈 정도로 중요한 선택요소로 꼽혔다.

 

자국 제품의 안전성에 대한 불신이 깊은 중국인들을 대상으로 한국제품의 '안전성'은 주요 마케팅 포인트가 될 수 있으며화장품의 경우 브랜드가치 제고가 중요하다고 보고서는 지적했다.

 

중국인들은 화장품식품생활용품유아용품 등 제품 구매 시 온라인 방식을 훨씬 선호하고 있으며자주 사용하는 온·오프라인 플랫폼은 품목별로 달랐다.

 

기본적으로 타오바오(淘宝)는 대부분의 품목군에서 모두 자주 사용하는 온라인 플랫폼이나화장품의 경우 텐먀오(天猫생활용품/식품의 경우 이하오덴(1号店)이 타오바오(淘宝)보다 더 선호되고 있었다.

 

오프라인 플랫폼으로는 화장품은 전문매장’ 생활용품/식품은 마트’ 유아용품은 백화점이 많이 활용되는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타 품목과 달리 유아용품 구매 시 오프라인 매장 선호도(44%)가 온라인 플랫폼(56%)과 큰 차이가 나지 않을 만큼 높고백화점 등 비교적 고가매장에서의 구매가 선호되는 것으로 나타났다이에 대해 보고서는 중국인들의 자녀에 대한 아낌없는 소비자녀의 기호 및 품질을 기준으로 한 구매 결정이 그 원인이라고 분석됐다.

 

중국인들이 한국산 제품을 구매할 때에는 주로 본인의 사용 경험을 토대로 재구매하는 경우가 26~28%로 가장 많았다다만 화장품이나 식품은 타인의 구매 후기도 그에 버금가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특히 유아용품의 경우 타인의 구매 후기’(25%)가 본인의 사용 경험’(23%)보다 구매 결정에 더 중요하게 작용했다.

 

이에 보고서는 식품이나 생활용품 판매 시에는 소비자가 직접 체험할 수 있도록 마트 시식 등의 체험형 마케팅방식을 활용하고화장품과 유아용품 판매 시에는 타인의 구매 후기를 접할 수 있는 샤오홍슈 플랫폼이나 타오바오·징둥 플랫폼에서의 상품평 기능을 활용해 마케팅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이라고 분석했다.

 

무역협회 고범서 청두지부장은 중국인들은 아직까지 자국 제품의 안전성에 대한 불신이 깊다면서 한국 제품이 중국 시장 점유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품질과 안전성을 주요 마케팅 포인트로 삼아야 하며 식품은 소비자 체험식화장품과 유아용품은 상품평 후기를 활용한 마케팅이 주효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영채  wtrade07@gmail.com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04 라오스홈쇼핑 file kimswed 2014.01.02 557
103 베/포스코 file kimswed 2014.03.01 558
102 해외경쟁시장 file kimswed 2014.03.30 559
101 베/롯데리젠드호텔 file kimswed 2014.04.02 559
100 베/오토바이 file kimswed 2015.04.01 567
99 베/전자영수증 file kimswed 2014.01.02 573
98 베/하노이북부공단 file kimswed 2014.10.05 583
97 베/금호전기 file kimswed 2014.01.02 588
96 베/자동차수입 file kimswed 2014.02.18 589
95 인켈베트남공장 file kimswed 2013.12.07 610
94 베/패스트푸드 file kimswed 2014.02.04 610
93 베/의성KU file kimswed 2014.04.01 623
92 베/삼성전자 file kimswed 2014.03.10 626
91 호치민섬유협회 file kimswed 2014.11.01 650
90 베/대열보일러개소 file kimswed 2014.07.01 662
89 베/경방 file kimswed 2014.03.01 663
88 빅데이터를 활용해 모조품을 찾아라 kimswed 2022.01.22 677
87 베/ 럼동성 file kimswed 2014.03.10 708
86 캄/박카스열풍 kimswed 2014.03.17 711
85 스웨덴, 현장에서 확인되는 제조업 강국 kimswed 2023.03.28 747
84 호치민영사관 file kimswed 2014.06.01 763
83 베/신용장지급 file kimswed 2014.01.02 774
82 독일, 한국 화장품 매출 급증 kimswed 2023.03.27 776
81 베/폐자재활용 file kimswed 2014.02.18 789
80 베/IBK file kimswed 2014.05.01 980
79 FTA 활용 성공 사례] 인스턴트 커피 kimswed 2022.02.02 1164
78 LC개설 file kimswed 2014.03.04 1189
77 한국개발연구원 file kimswed 2010.01.09 1354
76 두산발전설비수주 file kimswed 2009.07.16 1356
75 베/전력수요급증 file kimswed 2009.08.21 1357
74 서울/하노이상호협력 file kimswed 2009.08.11 1360
73 베트남을방문 file kimswed 2009.07.16 1363
72 두산중공업 file kimswed 2009.10.26 1370
71 매일유업 file kimswed 2009.10.21 1387
70 여권피해사례 file kimswed 2009.08.12 1391
69 한신공영 file kimswed 2009.12.07 1397
68 포스코ASC인수 file kimswed 2009.09.05 1446
67 남광토건베트남수주 file kimswed 2009.07.26 1484
66 베/의료관광 file kimswed 2009.10.08 1508
65 대우비담코 file kimswed 2009.12.21 15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