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얀마 봉제공장 날벼락

kimswed 2021.03.18 07:09 조회 수 : 102

extra_vars1  
extra_vars2  

굳게 닫힌 한인 봉제공장의 철문에 태극기와 미얀마 국기가 나란히 걸려 있다. 그 옆으로는 "꼬리아(한국) 봉제공장"이란 팻말도 붙어있다. [교민 제공/연합뉴스]


미얀마 군사정권이 최근 최대 도시 양곤과 제2도시 만달레이의 일부 지역에 계엄령을 선포하면서 현지에 진출한 한인 봉제업체들도 '날벼락'을 맞았다.


군부의 무자비한 유혈 진압에 두려움을 느낀 직원들이 대거 공장을 떠났기 때문이다.


군정이 지난 14일 처음으로 계엄령을 선포한 양곤 흘라잉타야구(區)는 양곤에서 가장 큰 산업단지가 있고 주민 중 타 지역에서 온 이들의 비율이 가장 높은 곳이다.


흘라잉타야와 쉐린방 산업단지가 있다. 그 북쪽에는 쉐삐따 산업단지가 자리 잡고 있다.


이 3개 산업단지에 현지 진출한 한인 봉제기업의 절반에 가까운 60여 개가 몰려있는데, 이번 계엄령 선포로 공장 가동에 막대한 차질이 불가피하게 된 것이다.


미얀마 현지 매체에 따르면 지난 14일 흘라잉타야에서만 60명 안팎이 군경의 무차별 총격에 목숨을 잃었고, 이 직후 군경은 계엄령을 이곳을 포함해 양곤 시내 6개 지역에 계엄령을 선포했다.'


안그래도 군경이 마구잡이로 총을 쏘아 죽이는 상황에서 계엄령까지 선포되자, 픽업 트럭이나 삼륜차를 타고 흘라잉타야를 떠나 고향으로 향하는 노동자들의 행렬이 전날 오전부터 장사진을 이뤘다고 현지 매체들은 전했다.


미얀마 한인 봉제협회 김성환 사무총장은 연합뉴스와의 전화통화에서 "3개 지역의 봉제공장 및 연관 공장들은 계엄령이 발효된 뒤부터 모두 멈췄다고 생각하면 된다. 직원들이 무섭다고 거의 다 고향으로 떠나고 말았다"고 말했다.


김 사무총장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에도 버티고 살아남았는데 계엄령에는 어떻게 해 볼 도리가 없다"고 한숨을 쉬었다.


그러면서 "직원 대부분이 한 달 휴가를 내고 고향으로 갔는데, 휴가가 끝날 때쯤에는 또 이 나라 설 명절인 띤쟌이어서 상황이 정상화되더라도 4월 말이나 돼야 공장이 가동될 수 있을 것 같다"고 덧붙였다.


한인들이 운영하는 공장들은 대부분이 무노동 무임금 원칙을 적용하고 있다.


그래서 장기휴가를 내더라도 임금에 관한 부담은 없지만 수주한 의류 제품 납기에 문제가 생기기에 손해가 발생한다.


15년째 봉제공장을 운영하는 한 한인 봉제공장 업주는 "옷은 계절적 특성이 있어서 납기를 맞추지 못하면 재고가 돼 이를 맞추기 위해 항공화물을 이용하게 되고 그러면 업체는 손해가 발생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 업주는 또 "거기에서 끝나는 게 아니고 고객의 주문에도 영향을 미쳐서 다음 수주를 할 수 없게 된다. 악순환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군부 치하에서 미국 경제제재도 겪었던 경험으로 미뤄보면 미얀마 상황이 빨리 정상화되더라도 미얀마 내 봉제산업은 올해는 끝났다고 봐야 한다"면서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 정도의 상황이 되려면 앞으로 2년은 죽도록 고생해야 가능할 것 같다"며 답답함을 토로했다.


쉐삐따 공단에서 봉제공장을 운영하는 문영완 사장은 연합뉴스 기자와 통화에서 "지금 미얀마 전체가 정상이 아니다. 공단 내 도난 사건도 많아지고 있는데, 심지어는 공업용 재봉틀을 훔쳐 가는 사건도 있었다"고 현지 상황을 전했다.


문 사장은 "이런 혼란을 이용하는 세력에 한인 공장들이 피해를 볼까 걱정된다"고 언급했다.


'혼란을 이용하는 세력'과 관련, 현지에서는 쿠데타 이후 군사정권이 사면한 흉악범들일 가능성이 크다는 인식이 널리 퍼져 있다.


미얀마 내 한인 동포에 대한 정부의 관심을 촉구하는 목소리도 나왔다.

 


서원호 미얀마 한인 봉제협회장은 "미얀마에서 일어난 국가비상사태와 계엄령으로 큰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한인기업이나 한인들에 대한 보호나 지원에 대한 얘기는 한국에서건, 어느 곳에서건 한 번도 없어 섭섭하다"고 말했다.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345 온라인으로 들어온 무역… 화상상담 시대 활짝 kimswed 56 2020.07.05
344 각국 대규모 경기부양책·GVC 재편, 잘 활용하면 호재 kimswed 61 2020.06.24
343 중국 REN을 최적화하라 kimswed 63 2020.09.18
342 여행 등 서비스 확대 주력해야 kimswed 71 2020.01.30
341 지금 여기, 상하이에서 kimswed 72 2023.05.27
340 중국, 인기 제품으로 보는 식품시장 kimswed 74 2021.12.09
339 알렌 정의 마케팅 강의(61)] 불만을 기회로 삼아라 kimswed 77 2019.12.20
338 한중간 조직관리 방식의 동상이몽 kimswed 79 2020.09.01
337 중국 ‘싱글 경제’ 유망품목 잡아라 kimswed 82 2021.05.06
336 중국 소비시장, ‘전자상거래 kimswed 84 2021.03.16
335 디자인 에이스(PT. Design Ace) kimswed 84 2020.07.29
334 한국 기업들의 글로벌 전시회 활용 전략 kimswed 86 2021.06.09
333 FTA 활용 성공사례 철강재 kimswed 86 2020.09.19
332 왕서방을 통해 왕서방을 잡아라 kimswed 87 2021.08.24
331 한국은 사실상 규칙 제정자 kimswed 91 2021.03.05
330 일본 기업들도 디자인 침해 함정 kimswed 92 2021.03.31
329 글로벌기업위기관리연구소 이문국 대표 kimswed 92 2020.07.24
328 중국사업, 국가표준(GB)에 익숙해져야 kimswed 93 2020.10.18
327 화장품 중문 별명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상) kimswed 95 2021.06.03
326 중국 외상투자 핵심 新규정 kimswed 97 2021.02.28
325 2억5000명 중국 탈모 시장 kimswed 98 2021.02.23
324 중국, 홈뷰티 디바이스 열풍 뜨겁다 kimswed 99 2020.10.10
» 미얀마 봉제공장 날벼락 kimswed 102 2021.03.18
322 차이나는 차이나 비즈니스 ‘왕하이 신드롬 kimswed 102 2021.08.17
321 망기스 무역상사 PT.Mulia Karunia Manggis kimswed 102 2020.08.02
320 성장하는 러시아 화장품 시장 kimswed 105 2019.10.21
319 어글리 슈즈’의 인기 비결 kimswed 110 2021.07.08
318 전파력이 강한 브랜드 별명을 지어라 kimswed 112 2021.05.17
317 베트남에 화장품을 수출할 때 kimswed 112 2020.07.06
316 중국에도 지역감정이 있을까? kimswed 114 2020.05.01
315 CJ CGV 인도네시아 kimswed 115 2020.07.30
314 중국사업, 국가표준(GB)에 익숙해져야 한다(2) kimswed 118 2020.10.25
313 이재용 "베트남, 기업에 귀 기울이는 나라…투자·사업 확대 kimswed 118 2018.11.01
312 중국사업 리스크를 보는 방법(2) kimswed 119 2020.05.23
311 FTA 활용 성공 사례 인스턴트커피 kimswed 121 2020.09.29
310 ㈜리틀캣 kimswed 123 2021.03.24
309 고정관념(stereotypic image)을 선점하라 kimswed 123 2019.08.10
308 투자장벽’ 완화… 몸 낮추는 중국 kimswed 124 2019.08.06
307 중국 콘텐츠 마케팅 kimswed 127 2019.10.11
306 중국 내수시장을 가위질하라(3) kimswed 130 2019.1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