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 공장에 임가공을 위해 반출하고 가공 후 국내 반입 시 수입세금계산서 상 공급가액을 원가로 회계처리 해야 하는지 여부에 .....

위탁가공무역이란 외국에서 가공할 원료의 전부 또는 일부를 거래 상대방에게 수출하거나 외국에서 조달하여 이를 가공한 후 가공물품 등을 외국으로 인도하는 방식의 수출을 말한다.

 

A사의 문의에 대해 회계처리 사례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① 국내에서 원재료 구입
  (차변) 원재료 1,000,000        
         부가세대급금 100,000
  (대변) 현금 1,100,000


② 베트남공장에서 가공하기 위하여 원재료 반출
  (차변) 무환원재료 1,000,000
  (대변) 원재료 1,000,000

수출신고필증은 작성되나, 부가가치세법상 재화의 공급으로 보지 않으므로 영세율 과세표준에 포함되지 않으며, 법인이나 개인사업자의 매출에도 해당되지 않는다.


③ 베트남 공장에 임가공료 지급을 위하여 수입신용장을 개설하고 임가공료 지급
  (차변) 무환임가공료 4,000,000
  (대변) 현금 4,000,000


④ 가공 후 국내에 반입하지 않고 제3국에 수출한 경우
  (차변) 매출채권 10,000,000
  (대변) 매출 10,000,000
  (차변) 무환임가공제품 5,000,000
  (대변) 무환원재료 1,000,000
        무환임가공료 4,000,000
  (차변) 매출원가 5,000,000
  (대변) 무환임가공제품 5,000,000


⑤ 가공 후 국내에 반입한 경우(운임과 관세 2,000,000원, 수입세금계산서상 부가가치세 800,000원)
  (차변) 제품 5,000,000
  (대변) 무환원재료 1,000,000
        무환임가공료 4,000,000
  (차변) 제품 2,000,000 
        부가세대급금 800,000
  (대변) 현금 2,800,000


운임, 관세, 관세사수수료 등은 제품원가로 처리한다.

 

세관은 통관당시 시가를 과세표준으로 하여 부가가치세를 과세하므로 그 과세표준은 제품원가와 관련이 없다.

 

투입된 원가를 제품으로 대체하므로 수입세금계산서상의 공급가액에 대해서는 회계처리를 하면 안 된다.


한국무역협회 회원서비스실 제공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06 위탁판매방식으로 화장품을 수출 kimswed 2016.11.10 11802
205 금 수입절차 및 유의점에 대해 알려달라 kimswed 2021.09.07 8342
204 신용장 거래 시 발생한 하자 및 지급거절(unpaid) kimswed 2022.02.21 7580
203 브렉시트에 따른 영국인증 UKCA kimswed 2022.02.15 7399
202 중개무역 관련 계약서 작성 요령과 유의사항 kimswed 2022.01.30 7256
201 왕초보 무역 해상운송에서의 수입물류 프로세스 kimswed 2022.04.18 7127
200 국제계약서 작성 시 준거법 및 관할권 설정 kimswed 2021.11.02 7073
199 해외지사에서 본사 수출대금을 수령할 수 있나 kimswed 2022.02.02 7022
198 관세와 관련해 초보무역인이 알아야 할 것 kimswed 2022.05.14 7020
197 수입사의 선수금 반환보증서(AP Bond) 발행 능력 부족 kimswed 2021.11.01 6950
196 신용장 조건에 국제 금융제재 관련 불합리한 문구 kimswed 2022.01.23 6921
195 의료기기를 러시아에 수출할 때 kimswed 2022.02.07 6905
194 국내 보세구역에 납품했을 때 수출실적 인정 kimswed 2021.12.06 6890
193 인도네시아 조인트벤처(JV) 설립계약서 작성할 때 주의 kimswed 2022.01.01 6885
192 사례로 보는 터키발 무역 사기 kimswed 2022.01.19 6841
191 합성목재 제품을 미국으로 수출할 때 kimswed 2021.11.15 6840
190 싱가포르에 압력용기를 수출할 때 MOM Certificate kimswed 2021.11.05 6833
189 기능성 샴푸를 사우디에 수출할 때 kimswed 2021.11.28 6815
188 무역사기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확인해 볼 3가지 kimswed 2022.01.19 6807
187 미국과 일본시장 진출 때 필요한 자전거용 헬멧 kimswed 2021.11.09 6798
186 ‘Escalation Clause (물가 연동 조항)’이 왜 필요한가 kimswed 2021.12.14 6791
185 중국에서 수리 등 목적으로 수입한 제품의 제3국 수출 kimswed 2021.10.25 6719
184 베트남 바이어가 VMI(공급자 주도형 재고관리) 시스템을 요구 kimswed 2021.09.22 6712
183 인도에서 OEM 제조해 벨라루스로 수출할 때 kimswed 2021.09.23 6652
182 중소기업, 바이어 명의도용 무역 사기 kimswed 2021.10.15 6615
181 한-아세안 FTA에서 ‘민감품목 kimswed 2021.09.03 6331
180 선진국과 거래할 때도 무역사기 주의해야 kimswed 2021.08.20 5854
179 개정된 베트남 수출입 세법에서 주의 kimswed 2021.09.03 5633
178 바이어가 한-중 FTA 원산지증명서 정정 발급을 요청 kimswed 2021.08.14 5289
177 B/L 등 무역서류 실시간 공유 kimswed 2022.12.22 49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