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산업에서도 종자산업은 ‘제2의 반도체 산업’으로 불리며 미래 식량의 주권을 담보하는 기간산업으로, 세계 각국은 종자 주권 확보에 여념이 없다. 
 
그런데 우수한 품질의 종자를 개발하고 판매할 때까지 짧게는 7~8년, 길게는 20년까지 걸린다. 이런 종자산업의 특성상 장기적 안목의 투자가 필요한데 이런 점에서 네덜란드는 크게 성공한 나라 중 하나다.
 
네덜란드 종자 재단(Access to Seeds Foundation)은 전 세계 종자 기업 중 상위 13개 기업을 선정했는데 그중 네덜란드 기업은 라이크즈반(Rijk Zwaan), 베요자덴(Bejo Zaden), 엔자자덴(Enza Zaden)으로 총 세 곳이 선정됐다.
 
◇‘시드밸리(Seed Valley)’의 태동=지난 2008년 네덜란드 북서쪽 북홀란트 주에 위치한 엥크하위젠의 얀 바스 시장은 미국 캘리포니아의 하이테크 산업지역인 실리콘밸리를 본떠 ‘시드밸리’라는 용어를 만들었다. 시드밸리의 표어는 ‘시드 프롬 홀란드(Seeds from Holland)’로, 이 표어에 걸맞게 시드밸리에는 세계 유수의 종자회사가 있으며 매출의 86%를 해외에서 거두고 있다. 
 
이 지역에 소재한 기업들은 해외에 종자를 판매할 뿐만 아니라 지역 적응성 시험을 통해 모든 대륙과 기후대에 맞는 종자를 공급하는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한다. 현재 전 세계에서 재배되는 채소의 40% 이상이 시드밸리에서 나왔다.
 
시드밸리에는 엔자자덴, 베요자덴, 바이엘, 하제라, 신젠타 등 30개 기업이 있으며 3500명 이상의 인력이 신품종 연구 개발과 생산에 종사하고 있다.
 
◇네덜란드를 대표하는 종자기업=라이크즈반은 채소 육종과 종자 생산 기업으로 1924년에 설립됐으며 네덜란드 남홀란트 주에 위치한 리르에 본사가 있다. 
 
이 회사는 직원의 40%가 연구개발(R&D)에 참여하며 매출의 30%를 R&D에 투자한다. 전 세계 30개국에 직접 진출하고 100개 이상의 국가와 협업체계를 구축했으며 1500개가 넘는 품종의 작물 종자를 공급한다. 또한 ‘토마토 갈색 주름 과일 바이러스’(ToBRFV)라는 토마토 바이러스에 저항성이 강한 항바이러스 품종을 개발하고 1000㏊의 땅에서 재배 중이다.
 
1938년 설립된 엔자자덴은 토마토, 파프리카, 상추, 오이와 양파 등을 비롯한 1000여 개의 품종을 개발했다. 전 세계 45국에 지사를 두고 2000명의 직원이 근무 중이다. 베요자덴은 채소 종자의 재배와 생산, 판매를 전문으로 하는 100년 이상의 역사를 가진 기업이다. 양파, 당근, 브라시카 등 150여 종의 다양한 유기농 품종을 보유하고 있으며 50종의 채소에 각각 다른 1000여 가지 종자를 개발하고 있다.
 
◇네덜란드의 작물별 종자 시장=네덜란드 종자 시장 규모는 2022년 기준 7억8400만 달러였다. 연평균 성장률도 8%나 됐다. 시장이 가장 큰 작물은 토마토로 1억7290만 달러였고 2025년까지 연평균 8.8%씩 성장해 2025년에는 2억2250만 달러에 이를 전망이다. 
 
그 다음은 양파로 1억1890만 달러의 시장이 2025년까지 연평균 8%의 성장률을 바탕으로 1억2830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보인다. 파프리카와 오이의 경우 지난해 시장은 각각 9020만 달러와 6350만 달러였다.
 
◇네덜란드의 채소종자 무역동향=네덜란드는 전 세계 채소종자의 40%를 공급하는 나라다. 이에 따라 채소종자 무역수지도 2022년 14억6714만 달러의 흑자를 기록했다. 한국의 경우 네덜란드에 2091만 달러의 무역적자를 기록했다.
 
네덜란드는 채소종자를 수입하기도 하는데 2022년 수입액은 5억9712만 달러였고 미국이 5683만 달러로 9.5% 점유율을 기록했다. 이어 프랑스와 페루에서 각각 5607만 달러와 4800만 달러를 수입했고 한국은 62만 달러로 0.1%의 점유율을 나타냈다.
 
지난해 네덜란드의 채소종자 수출은 20억6426만 달러였으며 스페인이 2억1261만 달러, 10.3%를 차지했다. 멕시코와 미국이 각각 1억8489만 달러와 1억6372만 달러로 뒤를 이었고 한국에는 830만 달러를 수출해 0.4%의 비중을 보였다.
 
◇우리 기업 시사점=네덜란드 시드밸리에서는 매년 9월 넷째 주에 ‘시드 미츠 테크놀러지(Seed meets Technology)’라는 행사가 열린다. 올해는 26일부터 사흘간 예정돼 있다. 네덜란드 종자기업들은 이 행사를 통해 참관객들에게 종자산업의 역사와 현재, 미래를 소개한다. 
 
만약 한국 업체들이 이 행사에 참여하면 네덜란드 종자기업과 네트워킹하는 기회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라이크즈반 같은 세계적인 네덜란드 기업과 연구개발 협력이나 연구인력 파견 등 적극적인 파트너십을 구축해 우수한 채소 종자를 개발해볼 수도 있다.
 
현지 채소종자기업 윙시드의 마케팅 담당자는 KOTRA 무역관과의 인터뷰에서 “네덜란드 종자 시장에서 규모가 가장 큰 작물은 토마토와 파프리카인데 두 작물 모두 식감과 향미가 뛰어나다”면서 “이처럼 식감과 향미가 뛰어난 품종 개발을 위해 한국 기업과 적극 협력할 의향이 있다”고 강조했다.
 
KOTRA 암스테르담 무역관 제공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180 ‘란런’ 경제 성공비결 china kimswed 190 2019.03.29
179 경직된 한중관계 대화의 물꼬 kimswed 189 2019.03.31
178 아로마리즈(주)]나는 무역인이다 kimswed 228 2019.04.01
177 페인트팜(주) 한 걸음 뒤에서 보는 무역 kimswed 271 2019.04.12
176 FTA 활용 성공사례 헬스케어기기 kimswed 662 2019.04.13
175 디에이치코리아 세계를 누비는 ‘평생 직장 kimswed 213 2019.04.14
174 비엔비테크 제품이 아니라 마음을 팔아라 kimswed 333 2019.04.15
173 [㈜닷 점자 스마트워치로 세계를 놀라게 하다 kimswed 337 2019.04.21
172 중국사업, 전문 기업사냥꾼을 조심 kimswed 213 2019.04.28
171 한국 통조림제품 기업의 베트남시장 확장을 위한 거래제안 kimswed 457 2019.05.13
170 베트남 부동산시장의 전망 kimswed 210 2019.05.15
169 중동 뷰티시장 kimswed 213 2019.05.18
168 차이나 글로벌 짝퉁유통 kimswed 226 2019.05.26
167 작지만 강한 브랜드로 전 세계 줄 세우려면 kimswed 197 2019.05.31
166 따라가지 않는다, 따라오게 만든다 kimswed 202 2019.06.03
165 5대 유망소비재에 무역보험 8조 지원 kimswed 198 2019.06.15
164 만만치 않은 베트남 제약시장 진출 kimswed 208 2019.06.20
163 다양성·브랜드·투자’로 공략하라 kimswed 217 2019.06.29
162 말레이시아 시장 성공 진출을 위해 알아야 kimswed 234 2019.07.09
161 베트남주재 한인기관 kimswed 1489 2019.07.17
160 마케팅 적절한 타이밍의 중요성 kimswed 235 2019.07.20
159 특허권, 기업의 미래경영을 위한 최고의 무기 kimswed 223 2019.07.23
158 말레이시아 시장 성공 진출을 위해 알아야 할 것들 kimswed 233 2019.08.05
157 중국시장 믿었던 K-뷰티·푸드 kimswed 234 2019.08.14
156 중소기업이 ‘G-페어’를 잘 활용하는 방법 kimswed 263 2019.08.16
155 해외시장, 이제는 B2B도 B2C 콘텐츠로 잡는다 kimswed 249 2019.09.03
154 인공지능이 무역하는 시대 kimswed 198 2019.10.01
153 제품 홍보엔 광고보다 SNS 마케팅이 효과적 kimswed 210 2019.10.11
152 중국 시장, 신소비채널과 전시회에 집중하라 kimswed 194 2019.11.09
151 알렌 정의 마케팅 강의(56)] 사소한 변화와 브랜딩의 효과 kimswed 235 2019.1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