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활영어60

kimswed 2011.01.18 10:11 조회 수 : 3120 추천:729

extra_vars1 ||||||||||||||||||||| 
extra_vars2 ||||||||||||checked||||||||||||||||||||||||||||||||||||||||||||||||||||||||||||||||||||| 


 

 

의미단위 문법으로 본 영어의 기본 구조 (3)

 

영어에는 긴 문장들이 많다. 그러나 아무리 긴 문장도 근본적으로는 위에 제시된 4가지 구조 형식에서 벗어나지 않는다. 이른바 긴 문장들은 주어가 한 단어가 아니고 여러 단어로 구성된 것이거나 동사(서술어) 부분이 길어진 경우이고 이‘주어 + 동사’기본 구조에‘부사어’의미 덩어리가 덧붙어진 경우이다. 아주 긴 문장은‘주어 + 동사’로 이루어진 단문이 두 개, 또는 여러 개 덧붙어서 만들어진 복문들이다.

 

영어의 경우‘주어 + 동사’라는 기본 의미단위에 필요에 따라서 다음과 같은 어순으로 ‘부사어’들이 첨가될 수 있는데 이 원리를‘의미단위 문법’에서는‘1대 원리’라고 한다.

 

일대원리

 

주어 + 동사 + who + what + where + why + how + when’

 

나는 + 갔다 + 친구와 함께 + 내 지갑을 들고 + 중국식당에 + 자장면을 먹으러 + 버스를 타고 + 어제

(I + went) + (with my friend) + (with my purse) + (to a Chinese restaurant) + (to have 자장면) + (by bus) + (yesterday).

자세한 내용은 나중에 다시 설명하겠지만 여기 제시된 어순은‘주어 + 동사’ 다음에 의미의 덩어리들이 어떤 어순으로 구성되는지를 잘 보여주고 있다.‘1대 원리’는 영어 의사소통에 필요한 의미의 덩어리들이 어떤 순서로 구성되는지를 말해 주는 원칙이다.

 

한국어의 경우는 영어와는 달리

 

‘주어 + when + how + why + where + what + who + 동사’

 

나는 + 어제 + 버스를 타고 + 자장면을 먹으러 + 중국 식당으로 + 내 지갑을 들고 + 친구와 함께 + 갔다.

 

로 되어있다. 우리가 영어를 잘하려면 이러한 한국어 사고구조를 영어식 사고구조로 바꾸어야만 한다. 엄마들은 바로 이‘1대 원리’를 아기들에게 가르쳐 주기 위해서 엄청난 노력을 기울이고 결코 낱말 중심으로 언어를 분석하는‘8품사 문법’을 가르치지 않는다.

 

물론 실제 의사소통 상황에서 모든 부사어를 다 사용하지는 않는다. 자동사가 오는 경우

‘I went" 다음에 경우에 따라 who(with my friend), what(with my bag) 등이 올 수도 있고

'where(to school)가 올 수도 있고 when(yesterday)가 올 수도 있다. 타동사가 오는 경우 ‘who'나 ’what'는 전치사가 붙지 않고 그대로 궁금증이 따라 나오고 그 다음에 where, why, how, when 부사어가 덧붙을 수 있다.


안정현 박사

 

연세대학교 졸

펜실바니아주립대 언어학 박사

부산대 영문학과 교수

DIA대학교 총장 역임

:호치민인문사회대학교 한국학센타 자문교수

 

베트남교민신문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428 인도네시아산림자원 file kimswed 34718 2014.11.24
427 말레이시아세탁서비스업 file kimswed 12270 2014.11.24
426 FTA 활용 성공 사례 동충하초 kimswed 7667 2022.07.26
425 김문영의 인도경제, 인도상인 이야기(22) kimswed 7663 2022.10.15
424 김문영의 인도경제, 인도상인 이야기(23) kimswed 7613 2022.10.28
423 김문영의 인도경제, 인도상인 이야기(21) kimswed 7610 2022.10.01
422 중국 소비시장의 돌파구, 야간경제 kimswed 7607 2022.10.08
421 김문영의 인도경제, 인도상인 이야기(20) kimswed 7595 2022.09.16
420 김문영의 인도경제, 인도상인 이야기(17) kimswed 7587 2022.08.06
419 박승찬의 차이나 포커스] (3) kimswed 7572 2022.10.13
418 김문영의 인도경제, 인도상인 이야기(19) kimswed 7564 2022.09.02
417 김문영의 인도경제, 인도상인 이야기(16) kimswed 7551 2022.07.04
416 김문영의 인도경제, 인도상인 이야기(18) kimswed 7536 2022.08.20
415 현직 CEO가 전하는 ‘슬기로운 직장생활’ (14) kimswed 7530 2022.07.21
414 김문영의 인도경제, 인도상인 이야기(14] kimswed 7505 2022.06.07
413 중국 유니콘 이야기 제1화 더우인 kimswed 7501 2022.06.04
412 급변하는 중국 3대 서비스 시장 kimswed 7489 2022.09.16
411 김문영의 인도경제, 인도상인 이야기(24) kimswed 7472 2022.11.12
410 김문영의 인도경제, 인도상인 이야기(15 kimswed 7466 2022.06.17
409 현직 CEO가 전하는 ‘슬기로운 직장생활’(12) kimswed 7465 2022.07.02
408 현직 CEO가 전하는 ‘슬기로운 직장생활’] (11) kimswed 7458 2022.06.29
407 김문영의 인도경제, 인도상인 이야기(13] kimswed 7455 2022.05.21
406 중국 Z세대의 소비트렌드와 대응전략 kimswed 7454 2022.05.30
405 B/L 발급 지연, 언제까지 이대로 둘 것인가 kimswed 7419 2022.11.10
404 샐러리맨 30년 현직 CEO가 전하는 ‘슬기로운 직장생활’ (4) kimswed 7334 2022.05.09
403 샐러리맨 30년 현직 ‘슬기로운 직장생활’] (6) kimswed 7327 2022.05.20
402 샐러리맨 30년 현직 CEO가 전하는 ‘슬기로운 직장생활’] (5) kimswed 7318 2022.05.16
401 김문영의 인도경제, 인도상인 이야기(12 kimswed 7209 2022.05.07
400 현직 CEO가 전하는 ‘슬기로운 직장생활’ (3) kimswed 6989 2022.04.30
399 박승찬의 차이나 포커스(6) kimswed 6735 2022.11.27
398 김문영의 인도경제, 인도상인 이야기(25) kimswed 6371 2022.12.03
397 호치민코트라 file kimswed 6344 2009.01.05
396 김문영의 인도경제, 인도상인 이야기(11) kimswed 6164 2022.04.23
395 박승찬의 차이나 포커스(7) kimswed 5973 2022.12.13
394 정병도 웰마크 사장의 글로벌 비즈니스 비망록(9) kimswed 5680 2022.04.09
393 KCTC / 주월대사 file kimswed 4924 2009.01.09
392 글로벌 인플레이션 상승 압력, 추가 원화 약세 kimswed 4911 2022.04.06
391 롯데베트남 file kimswed 4780 2009.01.04
390 박승찬의 차이나 포커스(8) kimswed 4752 2022.12.28
389 로고스법무법인 file kimswed 4704 2009.0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