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영어107

kimswed 2011.06.01 07:01 조회 수 : 2484 추천:575

extra_vars1 ||||||||||||||||||||| 
extra_vars2 ||||||||||||checked||||||||||||||||||||||||||||||||||||||||||||||||||||||||||||||||||||| 


Dr. Ahn’s English 



Let’s go out some place for a change!

(기분 전환을 위해 어디 좀 나갑시다!)

날씨도 후덥지근하고 별로 텔레비전 프로그램도 재미가 없을 경우에는 한 번 기분전환을 위해서 뭔가 시도해 보는 것이 좋을 것이다. 그러니까 남편 쪽이든 아내 쪽이든 먼저

Let’s eat out for a change.

(기분전환을 위해 외식이나 합시다.)

Let’s go to the seashore for a change.

(기분전환을 위해 해변에 나갑시다.)

Let’s do something for a change.

(기분전환을 위해 뭐라도 합시다.)

Let’s go out some place for a change.

(기분전환을 위해 어디 외출이나 합시다.)

라고 권해 볼만하다. 그러나 이런 제의를 받은 쪽이 시큰둥하게

I don’t feel like going out tonight.

(나는 오늘밤 별로 나가고 싶은 기분이 아니다.)

정도로 나와 버리면 집안분위기는 기분전환을 시도하다가 오히려 폭풍전야가 될지도 모른다. 그러므로 이런 제안이 올 때에는

That’s an excellent idea.

(그거 참 좋은 생각이군요.)

Let’s do that.

(그렇게 합시다.)

라고 맞장구치는 것이 좋을 것이다.



우리나라 부부들은 이런 맞장구치는 연습이 잘 안되어 있어서 실제로는 금슬이 좋은 분들도 말 때문에 서로 기분을 상하는 경우가 많다. 나는 ‘부부간의 아름다운 대화’라는 제목으로 직장인들과 가정주부들을 상대로 많은 강연을 한 경험을 가지고 있다. 그래서 남편들을 위한 강연에서 ‘오늘은 부인에게 꽃을 사다가 주세요. 그럼 부부관계가 좋아질 거예요.’라고 충고한 적이 있었다. 그런데 그 다음 날 그 강연을 들었던 분 중의 한 분이 나에게 전화를 걸어서 교수님 말씀대로 했다가 어제 밤에 부부사이가 좋아지기는커녕 크게 싸웠다는 것이었다. 그 사연은 이렇다.

남편이 꽃다발을 사 가지고 집에 가서는 (생전 해 본 일이 없었다고 한다) 그냥 꽃다발을 불쑥 내밀었단다. 그랬더니 부인이 ‘아, 이런 거 사 오지 말고 돈이나 많이 벌어 와요!’라고 하더란다. 그래서 꽃다발을 방바닥에 휙 집어던지고 발로 콱 밟아버리고는 대판 싸웠다는 것이다. 그래서 내가 그 분에게 부인이 한 말을 영어로 번역하면


Don’t buy flowers for me.

(나한테 꽃을 사오지 마세요.)

Instead, bring me more money.

(그 대신 돈이나 많이 벌어오세요.)

가 아니고, 부인의 말은 이렇게 번역되어야 하는 것이라고 알려 준 적이 있었다.

What a beautiful bouquet!

(어머, 너무 아름다운 꽃다발이네요!)

Honey, I love you!

(여보, 사랑해요.)



‘bouquet’는 불어에서 온 말로 ‘부케’라고 발음하고 뜻은 ‘꽃다발’이다. 결혼식이 끝난 후 신부가 다음 번 결혼할 친구에게 부케를 던지지 않는가? 요즘 젊은 사람들은 다르겠지만 나이가 든 세대는 사랑연습을 안 해 보아서 이런 웃기는 일들이 벌어지는 것이다. 지금도 늦지 않았으니까 멋진 말을 부인에게 던져서 삶의 활력을 찾아보자. 

안정현 박사

 

연세대학교 졸

펜실바니아주립대 언어학 박사

부산대 영문학과 교수

DIA대학교 총장 역임

:호치민인문사회대학교 한국학센타 자문교수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347 국내 유일 유로믹 회원사로서 DMC 비즈니스 kimswed 37 2023.09.11
346 금주의 무역인 신지웅 EAN테크놀로지 kimswed 39 2023.07.19
345 온라인으로 들어온 무역… 화상상담 시대 활짝 kimswed 57 2020.07.05
344 각국 대규모 경기부양책·GVC 재편, 잘 활용하면 호재 kimswed 61 2020.06.24
343 중국 REN을 최적화하라 kimswed 63 2020.09.18
342 여행 등 서비스 확대 주력해야 kimswed 71 2020.01.30
341 지금 여기, 상하이에서 kimswed 72 2023.05.27
340 중국, 인기 제품으로 보는 식품시장 kimswed 74 2021.12.09
339 알렌 정의 마케팅 강의(61)] 불만을 기회로 삼아라 kimswed 79 2019.12.20
338 한중간 조직관리 방식의 동상이몽 kimswed 81 2020.09.01
337 중국 ‘싱글 경제’ 유망품목 잡아라 kimswed 83 2021.05.06
336 중국 소비시장, ‘전자상거래 kimswed 84 2021.03.16
335 디자인 에이스(PT. Design Ace) kimswed 84 2020.07.29
334 한국 기업들의 글로벌 전시회 활용 전략 kimswed 86 2021.06.09
333 왕서방을 통해 왕서방을 잡아라 kimswed 87 2021.08.24
332 FTA 활용 성공사례 철강재 kimswed 87 2020.09.19
331 한국은 사실상 규칙 제정자 kimswed 91 2021.03.05
330 일본 기업들도 디자인 침해 함정 kimswed 92 2021.03.31
329 글로벌기업위기관리연구소 이문국 대표 kimswed 93 2020.07.24
328 중국사업, 국가표준(GB)에 익숙해져야 kimswed 95 2020.10.18
327 화장품 중문 별명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상) kimswed 95 2021.06.03
326 중국 외상투자 핵심 新규정 kimswed 97 2021.02.28
325 2억5000명 중국 탈모 시장 kimswed 98 2021.02.23
324 중국, 홈뷰티 디바이스 열풍 뜨겁다 kimswed 99 2020.10.10
323 차이나는 차이나 비즈니스 ‘왕하이 신드롬 kimswed 102 2021.08.17
322 미얀마 봉제공장 날벼락 kimswed 103 2021.03.18
321 망기스 무역상사 PT.Mulia Karunia Manggis kimswed 103 2020.08.02
320 성장하는 러시아 화장품 시장 kimswed 105 2019.10.21
319 어글리 슈즈’의 인기 비결 kimswed 111 2021.07.08
318 전파력이 강한 브랜드 별명을 지어라 kimswed 112 2021.05.17
317 베트남에 화장품을 수출할 때 kimswed 112 2020.07.06
316 중국에도 지역감정이 있을까? kimswed 114 2020.05.01
315 CJ CGV 인도네시아 kimswed 116 2020.07.30
314 중국사업, 국가표준(GB)에 익숙해져야 한다(2) kimswed 118 2020.10.25
313 중국사업 리스크를 보는 방법(2) kimswed 119 2020.05.23
312 이재용 "베트남, 기업에 귀 기울이는 나라…투자·사업 확대 kimswed 119 2018.11.01
311 FTA 활용 성공 사례 인스턴트커피 kimswed 122 2020.09.29
310 고정관념(stereotypic image)을 선점하라 kimswed 123 2019.08.10
309 투자장벽’ 완화… 몸 낮추는 중국 kimswed 124 2019.08.06
308 ㈜리틀캣 kimswed 125 2021.03.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