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금호타이어

kimswed 2014.05.01 07:40 조회 수 : 437 추천:86



안녕하십니까? 베트남에 작년에 부임하신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새로운 지역에서의 업무에 소감이 계실 만 할 텐데 어떻게 지내시고 계십니까?
2013년도는 금호타이어 베트남이 베트남 시장을 주력하는 매우 중요한 한 해 였습니다. 베트남 및 동남아 시장에 부합하는 타이어 설계 및 컴파운드 개발등을 통하여 베트남 시장 공략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으며 더불어 마케팅 활동 강화를 통하여 베트남 시장 소비자 및 딜러들에게 적극적인 홍보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현재 생산 공장이 어디에 있고 그 규모가 어찌되는지?
빈증성 미푹 3공단에 위치한 금호타이어베트남 공장은 2008년 3월 베트남 최초로 RADIAL 타이어공장과 타이어의 원재료인 천연고무 가공 공장(2007년 완공)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공장을 준공한 이래 최첨단 설비와 기술력, 그리고 50년의 타이어 제조 노하우를 바탕으로 연간 350만 본의 타이어를 생산, 미국, 호주,중동 등에 95% 이상을 수출하고 있으며 직 간접 노동력 창출 등을 통하여 베트남 경제 발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315,5000㎡(95,455평)의 대지위에 세워진 최첨단 래디얼 타이어 생산공장이며 자동화된 시설속에 700여명의 직원들이 초일류 제품 생산을 목표로 일하고 있습니다.

아까 지난 해가 상당히 중요한 해였다는 말씀을 하셨는데 작년에 특별한 활동이 있으셨는지?
2013년은 금호타이어베트남에 있어 중요한 전기가 된 한 해였습니다. 제가 부임한 이후 베트남 직원들과 단결하여 TPM활동 및 품질개선 활동을 통하여 공장 환경 개선 및 최고의 품질을 만들고자 노력하고 있으며 그 결실로 전세계 금호타이어 8개 공장 중 우수 공장으로 선정되어 한국 공장에서 벤치마킹을 위해 베트남공장을 방문하는 등 가시적인 성과가 나타나고 있습니다. 또한, 타이어 제조 품질의 척도로 여겨지는 OE시장에서 금호타이어베트남은 괄목할 만한 성과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크라이슬러, 벤츠, 그랜드체로키 등 해외 우수 자동차 메이커 회사에 납품하고 있으며, 베트남 내에서는 현대 탄콩, GM 베트남 자동차 조립 공장에 베트남산 타이어를 납품하고 있습니다.
또한 베트남 내수 시장 판매 공략을 위해서 타이어 설계 및 구조강화 등을 통하여 베트남 도로에 최적화된 신제품 공급 및 규격 확대를 통해 베트남시장을 적극 공략하고 있습니다.

2013년 ‘Born For Vietnam’라는 타이틀로 진행했던 신상품 설명회에서 금호타이어베트남 법인의 비전과 영업/마케팅 전략의 변화를 약속하였으며, 2013년 한 해 동안 다른 어떤 타이어 브랜드 보다 적극적이고 과감한 마케팅 활동을 통해 베트남 타이어딜러 및 소비자들에게 좀 더 다가갈 수 있는 한 해가 되었습니다.이런 노력의 결과로 베트남에 투자한 외국계 기업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제품 & 서비스 품질, 환경보호, 사회공헌활동 등을 평가하여 우수기업을 선정 시상하는 2013년 ‘GOLDEN DRAGON AWARD’을 수상하였으며 작년 출시했던 신제품 SOLUS KH17은 시장에서 품질에 대한 우수성이 확인 되면서 240%의 기록적인 판매 성장을 이루었습니다. 또한 베트남 최대 택시업체인 마일린택시에 2013년 10월 납품을 개시하였으며, 전국 50여개 택시회사에서 금호타이어 제품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런 괄목한 발전의 발판을 마련한 해가 2013년이었다면 이번에는 더욱 그 결실을 맺을 것으로 기대하는데 올해는 어떤 활동을 기대하십니까?
금호타이어 베트남 공장은 2013년의 괄목할 만한 성과를 바탕으로 2014년은 ‘경쟁력 있는 공장, 금호타이어 미래 성장동력이 되는 베트남 공장 구축’을 슬로건으로 내세워 매출 2억불 달성을 위해 ‘생산능력 확충, 품질관리 강화, 제조원가 절감, 현지화 운영체계 구축, 베트남 내수 M/S 1위구축’ 등 5가지 중점 추진 전략을 집중적으로 실행하고 있습니다. 내부적으로 회사 발전과 더불어 외부적으로는 사회공헌활동 분야에도 양적, 질적 증대를 통해 베트남에서 책임있는 기업으로서의 역할에 충실할 예정입니다.

외국에서 이런 대형 공장을 운영하는 데는 상당한 어려움이 계시리라 예상됩니다. 베트남 직원들을 활용하여 세계 최고 품질의 제품을 생산하시는데 어려움은 없으셨는지?
금호타이어의 우수한 품질 생산을 위해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베트남 직원들의 교육과 훈련입니다. 우수한 제품 생산을 위해서는 우수한 인재 육성 및 직원들과 의 교감이 매우 중요하죠, 그런 점에서 금호타이어 베트남 공장에서는 직원들의 교육에 진력하여 우수한 직원을 양성하는데 최선의 노력을 경주하여 현재 저희 회사에서 일하는 베트남 직원들은 누구에게도 뒤지지 않는 상급의 멤버로 회사 발전에 지대한 공헌을 하고 있습니다.
또한 금호타이어는 베트남 직원들의 삶의 질을 향상하기 위해서 직원들과의 간담회 등을 통해 고충을 나누고 해결해 주고 있습니다. 분기별 실시되는 반장 간담회, 월 4회 실시되는 전사원 생일 축하 행사, 분기별 우수사원 포상여행 등에 법인장이 직접 참석하여 교감함으로써 직원들에게 적극적으로 다가가고 있으며 직원들의 고충을 듣고 해결해 주기 위해서 노력하고 있다.

또한, 직원들의 다양한 NEEDS를 발굴하여 회사 운영전략에 반영하여 직접적인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무이자 대출지원, 회사지원적금, 자녀 학자금지원 등을 운용하여 실질적인 삶의 질에 도움을 주고 있다. 베트남에 처음 부임을 했을 때 베트남 직원들의 저축에 대한 개념이 너무 없었다. 미래를 생각하기보다는 현재 안주하고 오늘에만 신경써서 미래에 대한 불안감이 있다는 것을 느낄 수 있었다. 생일간담회 및 지속적인 워크숍 등을 통하여 저축의 중요성 강조하고 적금에 가입하는 직원에게 회사차원에서 추가 금액을 지원해 주고 있으며, 현재 100% 가입 상황을 보여주고 있다. 이를 통해 직원들의 미래에 대한 준비와 더불어 이직률 감소를 실현해 나가고 있다.

지난 3월과 4월에 신제품 설명회를 개최하셨는데 이 제품에 대한 설명을 부탁 드립니다.
금호타이어베트남은 북미를 비롯한 선진시장용 제품 뿐 아니라 베트남을 포함한 동남아시아 소비자들의 NEEDS에 부응하는 맞춤형 타이어를 생산하고 있습니다. 동남아 지역은 아직 인프라가 완비되지 않아 도로 사정이 한국과 달리 열악한 곳이 많아 자동차에 부담이 많이 갑니다. 그런 사정을 감안하여 베트남 도로 사정에 맞는 적합한 제품을 출시한 것입니다.

‘Good Company Good Product’이라는 주제로, 하노이(3월22일)와 호치민(4월4일)에서 개최된 2014년 금호타이어베트남 신제품 설명회에서는 금호타이어 베트남법인의 새로운 영업/마케팅 전략과, 베트남에서 급격하게 성장하고 있는 고급 세단 차량을 위한 금호타이어의 새로운 UHP(Ultra High Performance) 제품을 200여 딜러를 초청하여 소개 한 자리였습니다. 금호타이어 베트남 공장에서 2014년 1월 부터 생산을 시작한 ECSTA SEVEN KU23과 한국에서 수입,판매를 시작한 ECSTA LE SPORT KU39가 바로 그 주인공입니다. 이 두 제품은 베트남 UHP 타이어 시장에 새 바람을 불러 오리라 기대하고 있습니다. 또한 새로운 물류 및 A/S정책 그리고 TV광고를 비롯한 다양한 활동으로 고객들에게 믿고 사용해도 되는 금호타이어를 적극적으로 홍보하여 고객들의 열렬한 호응을 이끌어 내고 있습니다.
특히 올 3월부터 진행하고 있는 TV광고는 베트남 소비자들이 먼저 찾는 브랜드가 되기 위한 금호타이어 베트남의 의지를 대외적으로 보여준 대표적인 사례라고 할 수 있습니다.

금호타이어베트남에서는 기업활동 외에 지역사회와의 조화를 위하여 어떤 활동을 하고 계십니까?
저희는 다양한 베트남 사회 공헌 활동 등을 통하여 금호 타이어 및 한국의 위상을 높이는데 앞장서고 있습니다. 2013년 빈증성 한-베 문화센터 설립시 금호타이어에서는 적극적인 지원과 빈증성 정부 등과 연계하여 공장 설립이래 7년째 적극적 베트남 사회공헌 활동에 앞장서고 있습니다.

잘 알겠습니다. 마지막으로 교민들에게 하실 말씀이 계시면 한 말씀 해주시기 바랍니다.
금호타이어 베트남은 모범적인 기업활동으로 교민들에게 한국기업의 우수성을 자부하실 수 있는 기업으로 성장하고 또한 베트남 사회에 공헌하는 아름다운 기업이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입니다. 교민 여러분의 많은 관심과 이용을 기대합니다. 교민 여러분의 가정에 안녕과 행복이 가득하기를 기원드립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82 미, 술보다 대마 인구 더 많아 kimswed 2024.05.25 5
381 영국에서도 통하는 한국 프리미엄 미용 케어 kimswed 2024.05.29 6
380 영국의 ‘창조산업’과 소프트 파워 kimswed 2024.05.17 7
379 라오스에서 뜨는 3대 소비재 품목은 무엇 kimswed 2024.04.27 9
378 한-캄보디아, 늘어나는 농산물 교역 kimswed 2024.05.09 11
377 글로벌 유통바이어 거래알선 정보 kimswed 2024.03.30 12
376 금주의 무역인 김인배 피트케이 대표 kimswed 2024.04.15 17
375 내년에 바라는 정책 1위는 "금융부담 완화" kimswed 2023.12.11 19
374 내년은 ‘K-everything’의 시대 kimswed 2023.12.15 20
373 일본, 외국인 관광객 덕분에 활기 띠는 소비 kimswed 2024.03.06 24
372 ㈜기린화장품 박현수 kimswed 2023.12.18 25
371 쿠웨이트에 부는 ‘K-푸드’ 열풍 kimswed 2024.03.14 25
370 맞춤 전략으로 대응,불확실성 확대되는 세계시장 kimswed 2023.10.19 26
369 일본, 바야흐로 K-뷰티의 시대 kimswed 2023.10.23 26
368 중국 화장품 시장 요즘 트렌드는 ‘친환경’ kimswed 2024.03.21 26
367 미국, 진정한 혁신을 통해 거듭날 기술 kimswed 2023.09.03 27
366 실모(SILMO) 파리, 안·광학 산업 kimswed 2023.10.14 28
365 아랍에미리트(UAE), 트렌드 가구 시장 kimswed 2023.12.25 29
364 짝퉁' 감별 AI 서비스 인기... 엔트루피 kimswed 2023.12.27 29
363 베트남, 급부상하는 스포츠·피트니스 산업 kimswed 2023.10.03 30
362 신흥국 어딜 가도 'K-편의점'이 있다 kimswed 2023.10.30 30
361 하홍국 한국MICE협회 사무총장 kimswed 2024.03.01 30
360 중국, 식사대용식품 ‘열풍’ kimswed 2024.03.05 30
359 화장품 수출의 대가 kimswed 2023.08.29 31
358 청년들, 무역에 눈을 뜨다 kimswed 2023.09.22 32
357 국내 기업 중국 이탈, 경쟁력 악화에 기인 kimswed 2023.12.01 32
356 글로벌 ‘랩그로운’ 다이아몬드 시장 kimswed 2023.10.04 34
355 내년 글로벌 식음료 트렌드는? kimswed 2023.11.20 34
354 이현진 마이스링크 대표 kimswed 2023.08.15 34
353 민경익 엠앤씨커뮤니케이션즈 kimswed 2023.10.11 35
352 프랑스, 소비 트렌드 5 kimswed 2023.08.09 35
351 글로벌관광마이스연구원 kimswed 2023.11.07 36
350 중국 실버 온라인 시장에 주목하라 kimswed 2023.08.07 36
349 강도용 라우트컴퍼니 kimswed 2023.12.30 38
348 일본 65∼69세 절반이 취업 kimswed 2023.09.20 39
347 네덜란드는 어떻게 ‘농산물 수출 세계 2위 국가 kimswed 2023.10.01 40
346 최고의 명주’ 마오타이 kimswed 2023.09.05 41
345 “고객이 원하는 것은 뭐든지” kimswed 2023.11.01 42
344 금주의 무역인] 이신희 휴메트론 kimswed 2023.09.12 42
343 젊은 고소득자가 주도하는 중국 유아용품 시장 kimswed 2024.02.11 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