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 결혼풍속의변화

kimswed 2006.10.07 12:36 조회 수 : 4729 추천:876

extra_vars1 ||||||||||||||||||||||||||| 
extra_vars2 ||||||||||||||||||||||||||||||||||||||||||||||||||||||||||||||||||||||||||||||||||||||| 


중국결혼 풍속의 변화


`50년대에는 영웅에게, 60년대에는 빈농에게, 70년대는 군인과, 80년대는 학력과 결혼하고, 90년대에는 희말라야 산으로 시집을 간다' 사랑을 하고 결혼을 하는 일은 인간사에 있어서 영원한 '주제'이다.


그러나 이 '영원한 주제'를 대하는 사람들의 태도와 관점은 시대와 환경에 따라 끊임없이 변하고 있다. 예로부터 유교문화를 숭상하는 중국인에게 결혼이란 서양사람들보다 훨씬 더 '중요한 의식'을 차지하고 있지만, 이들 역시 시대에 따라 결혼관이 변하는 건 마찬가지이다.


다음과 같은 비유는 중국인들의 결혼관, 특히 배우자를 선택하는 기준이 어떻게 변해왔는지를 대변해 주고 있다. "50년대에는 영웅에게 시집가고, 60년대에는 빈농에게, 70년대에는 군인에게, 80년대에는 학력과 결혼하고, 90년대에는 히말라야산으로 시집간다"


위에서 인용한 문구가 말해주듯 중국인들의 결혼관은 각 시대적 환경에 따라서 그 배우자를 선택하는 기준도 각기 변하고 있음을 알수 있다. 즉 신중국 건립이후의 50년대와 대약진과 문화혁명이 있었던 60-70년대, 개혁개방이 시작된 80년대의 배우자감은 당시의 시대적 상황과 비교적 정확하게 일치하고 있으며, 90년대의 비유가 말해주는것은 현재의 배우자감은 특정한 정형이 있다기 보다는 보다 높은 수입, 학력, 신분 등을 요구하고 있다는 것을 암시한다.


신중국 건립 이후, 낡은 혼인관습은 여전히 많은 농촌과 도시에서 그대로 행해지고 있었으며, 이러한 중국의 전통 혼례의식은 매우 번거롭고, 낭비적인 요소가 많았다. 특히, 많은 사람들이 결혼예물을 마련하지 못함으로써 결혼을 확정하고도 순조롭게 결혼하지 못했으며, 또한 서로간에 애정이 있는 청춘남녀들조차 이러한 예물문제등으로 '가'이 되는게 어려웠다. 더욱이 결혼비용에 너무 많은 돈을 쓰고 빚을 얻다보니, 빚을 갚을 길 없는 집들은 심지어 파산하는 일도 빈번하게 일어났다. 따라서 신중국 정부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통일적인 새로운 '혼인, 장례의식제도'를 마련했으며, 1950년 4월13일에 정식으로 '중화인민 공화국혼인법'을 제정함으로써 기존의 낡은 관습들을 서서히 타파해 갔다.


이 법의 제정이후 결혼예식은 보다 경제적으로 간소화 되었고 각 가정의 부담이 줄게되었다. 50년대에 자유연애방식으로 결혼한 비율을 통계적으로 보면 26%로 나타나고 있고, 60년대에는 34.9%로, 70년대에는 17,8%로 떨어졌다가 80년대에는 다시 27%이상으로 증가하고 있다.


도시에서 부모가 독단적으로 혼사를 결정하는 비율은 50년대에는 10%대에서 60년대에는 1.6%, 70년대 이후에는 기본적으로 연애나 소개를 통한 결혼방식이 보편화 되었다. 그러나, 전통사회의 결혼방식이 하루 아침에 사라진 것은 아니고 신중국 건설 이후에도 얼마동안은 여전히 부모에 의한 결혼이나, 매매혼등이 성행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장쑤성의 경우를 보면, 1951년 11월에서 1952년말까지 결혼한 39쌍의 경우를 보면, 그중 26쌍이 부모의 독단적인 결정에 의해 혼사가 이루어진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많은 지역에서 당시까지만 해도 민며느리제도나, 조혼, 보쌈등의 악습이 여전히 남아 있었는데, 당시 유행했던 노래의 가사내용에는 ''20살 큰언니 신랑은 1살짜리, 매일밤 요강을 침대밑에 놓네. 남편이 때릴까 무서운게 아니라 발로 너를 차서 침대 밑으로 떨어뜨릴까 그것이 겁나네"라는 가사속에도 당시 조혼의 풍속을 읽을 수 있다.


사실, 부모에 의한 정혼이나 조혼, 매매혼, 보쌈등은 한국의 전통사회에서도 흔하게 볼 수 있었던 낮익은 풍경이지만, 우리와 한가지 다른 점이라면 그러한 악습이 중국은 50년대 말까지도 여전히 행해졌다는 것이고, 지나치게 '체면'을 중시하는 문화로 인해 결혼식에 많은 비용을 쏟아부었다는 것이다.


일련의 전통혼례들을 보면, 예를들어 화베이지방의 농촌에서는 남녀쌍방이 결혼에 동의한 이후 여자측에서 매파를 통해 남자측의 집을 구경한 이후 만일 만족하면 곧바로 정혼을 하는 관습이 있었고, 정혼시 여자쪽 부모와 가족들이 남자쪽 집에가면 남자쪽에서 연회를 베풀게 되어 있었다.


상호 면식이후 남자쪽 부모는 미래의 며느리에게 돈을 주는데 이것은 소위 '찌엔미엔리'(見面禮)라고 불리는 전통으로, 아직까지도 남방지역에는 이러한 풍습이 보편적으로 남아있다고 한다.


또한 결혼당일이나 결혼전날에 여자쪽에서 각종 결혼도구나 신부물건들을 먼저 남자쪽집에 보내게 되는데, 신랑의 동생이나 신부쪽 가족의 남자는 빨간색이나 분홍색으로 행운을 상징하는 수가 놓여진 그림을 문앞에 내걸게 되고 남자쪽에서는 신부측에 짝수의 액수가 담 '홍빠오'(紅包)를 건네는 풍속이 있다. 이러한 습관은 대도시에서 모두 남아있는 전통중의 하나이다.


우리나라에서는 남자쪽에서 결혼전에 여자측에 '함'을 건네고 여자측에서 이러한 '홍빠오'를 건네는 풍속과는 약간 다르다고 할 수 있다. '혼인법'이 제정된 이후 등장한 새로운 혼례의식에는 크게 세가지가 있었다. 그중 하나는, 남녀 쌍방이 국가법률에 의거해 결혼신고 수속을 마친후 친우들을 초청해 간단한 결혼의식을 진행하는 것이다.


두 번째로는, 집단혼례이다. 집단 결혼식장은 비교적 커서 대개는 회사의 대규모 회의실이나 사무실, 예당등에서 거행되었다. 이러한 집단 결혼식은 같은 회사내의 사원결혼식이 많아서 이날에는 직공대표와 경영자 대표가 각각 축사를 해주었다. 세 번째 유형은 결혼여행이다. 70년대 말에,이러한 결혼여행 풍습이 나타나게 되었는데, 이것은

남녀가 결혼신고를 마친 후, 둘이 각 관광명소를 여행하면서 '밀월기'를 가지는 것을 말한다.


여행후에는 각기 친우들을 초청해서 간단한 '대접'을 한다. 우리나라로 말하면 신혼여행과 같은 개념인데 다른점이라면 결혼식과 같은 공식적인 의식을 행하지 않고 간단한 사진이나 신고만을 하고 곧바로 여행을 떠난다는 점이다. 최근에는 이러한 경향도 많이 변화되어 거의 서양식의 결혼예식이 행해지고 신혼여행이 보편화되고 있지만 70년대 말과 80년대만해도 이러한 결혼여행은 매우 선진적인 것이었다고 함


중국의 결혼

중국에서 가족을 통한 영속에 대한 믿음이 가장 뚜렷하게 나타나는 것이 결혼이라는 제도이다. 전통적인 사회에서는 결혼은 부모와 어른들에 의해 결정됐으며 지식들은 이런 부모나 어른들의 결정에 무조건 따라야만 했다. 1950년에 결혼법으로 모든 사람들은 결혼 상대방을 자신의 의지대로 고를 수 있는 자유가 보장됐다. 그러나 많은 자식들은 특히 시골에서는 장차 결혼할 상대방을 만날 수 있는 기회가 적었으며, 구혼에 대한 개인이 권리가 거의 없었다. 그 결과 부모의 소개나 전문적인 중매인의 역할이 결혼 상대방을 고르는데 중요한 결정이 됐다. 대개의 경우 젊은 사람들은 정해진 결혼에 대해 거부할 권리가 있다.


농촌과는 달리 도시의 가족들은 결혼을 정하는데 있어 상대적으로 제한된 권리를 사용한다. 이것은 장기간 그들의 가족에 대한 안전과 이익을 제공하는데 있어 도시 가족의 역할이 줄어들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시에서 거주하는 젊은이들은 부모나 친척에 의한 상대방 소개가 없어지면서 보통 그들의 일터나 공장에서 같이 일하는 사람을 고른다.

도시의 결혼식이 시골보다는 보통 작고 검소한 편이다. 그리고 참석하는 하객들도 부모와 친척과 연관있는 먼 곳에 사는 사람이 아니라 결혼당사자들의 직장 동료나 친구가 대부분이다. 그러므로 결혼의 초점도 가족 구성원보다는 당사자들에게 집중되어 있다. 결혼식 후에 떠나는 신혼여행은 보통 3일 정도로 되어 있다.

① 전통적 결혼풍속

한국 전통적 혼인습관과 같은 것으로 남자 집에서 중매인을 여자집에 보내어 혼담을 꺼낸다. 여자 집에서 마음에 들면 사주팔자를 적어주고 중매인이 남자 집으로 가지고 돌아가서 맞추어 본다. 남녀의 사주팔자, 궁합을 본 뒤 상극되는 점이 없으면 남자 집에서 중매인을 여자 집에 보내어 약혼조건을 상의한다.

중매인을 통해서 약혼 예물을 교환하며 신랑집에서 길일을 택하여 신부집에 알린 후 신랑이 악대, 의장대, 가마를 가지고 가서 신부를 맞아온다. 이같은 전통적 결혼 풍속은 농촌지역에 남아 있을 뿐이다.

② 현대적 결혼풍습

1980년대 들어서 개혁·개방 이후 부모가 정하는 결혼은 애정 위주의 혼인관으로 발전했다. 연애가 자유로운 도시에서는 직장에서 혼례식을 치러주며, 간략한 주례의식을 거친 다음 신랑 신부 맞절, 양가부모, 손님들에게 인사, 그리고 모두 술만을 들고 축배를 올리는 경주가 있은 다음, 신랑신부가 각 식탁마다 다니면서 경주로 인사한다.

신랑은 양복을 입으며, 신부는 치파오(旗袍) 혹은 서양식 웨딩드레스를 입는다. 신랑측에서 대부분의 살림살이를 장만하고 신부측에서 약간의 살림자금을 보태주어 한국과는 반대이다. 결혼 후 거의 신혼여행 없이 며칠 휴가 동안 신방을 꾸미며 결혼휴가 후 직장으로 돌아올 때 사탕을 직장동료들에게 돌린다.

③ 결혼비용

최근 중국에서 급증하는 결혼비용이 사회문제가 되고 있다. 결혼비용의 대부분은 한국에서와 마찬가지로 가전제품 등 혼수비, 실내장식비와 연회비용이 차지한다. 10만원(한화 1천만원)의 결혼비용을 쓴 신혼부부의 경우 가전제품구입에 3만 1천 5백원, 실내장식에 2만원, 가구구입에 8천원, 연회비 3만원 정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상해에서 발행되는 해방일보의 조사자료에 따르면 중국이 개혁·개방의 길을 걷기 시작한 이래 소비의 관념·형태·습관에 큰 변화가 일어났지만 그 중 대표적인 것이 결혼소비로 나타났다. 조사에 의하면 중국의 결혼비용 증가는 3단계로 구분된다. 제 1단계는 85년 이전으로 당시 결혼비용은 몇 백에서 몇 천원에 불과했다. 제 2단계는 86∼93년으로 '결혼비용 10만원' 가정이 나타났으며 평균적으로는 2만∼5만원을 지출했다. 94년 이후를 3단계라고 할 수 있는데 보통 5만∼10만원으로 씀씀이가 커졌고 10만원 이상되는 가정도 흔하게 됐다.



94년 통계에 따르면 5만∼8만원 가정이 48%, 8만∼10만원이 28%를 차지했다. 95년 들어서는 5만∼8만원이 35.7%, 8만∼10만원이 28.5%로 급증했으며 10만원 이상을 쓴 가정도 19%나 됐다. 이에 반해 중국의 결혼적령기 남녀의 월수입 합계는 절반정도가 1천∼2천 수준인데 구체적으로는 1천원 미만이 4.8%, 1천원 이상 2천원 미만이 48.7%, 2천원 이상이 24.8%로 나타났다.



결혼비용을 자력으로 장만하는 젊은이들의 비율이 점차 떨어지고 있다. 93년까지만도 60% 이상이 제 힘으로 결혼을 했으나 94년에는 48%, 올들어서는 31.7%로 낮아진 것으로 조사됐다. 그러다 보니 부모들의 부담이 늘었고 빚을 지는 경우가 많아졌다. 결혼남녀의 20% 정도가 평균 1만∼2만원의 혼수 빚을 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중국의 일부 청춘남녀들은 감히 연애할 생각을 못하고, 몇년씩 연애해 온 사이라도 결혼을 결행치 못하는 경우가 많다.





-----------------------------------------------------------------------------------------





1980년대 들어서 개혁, 개방 이후 부모가 정하는 결혼은 애정 위주의 혼인관으로 발전했다.



신 중국 성립 이후, 1950년 4월 13일 인민정부는 혼인법을 공포했다. 제 1 조에는 혼인에 대한 정부의 입장이 명확하게 표현되어 있다. "독단적이고 강제적이며 男尊女卑하고 자녀의 이익을 경시하는 봉건주의 혼인제도를 폐기한다. 남녀 혼인자유, 一夫一妻, 남녀 권리평등의 부녀와 자녀의 합법적인 이익을 보호하는 신민주주의 혼인제도를 실행한다." 이 혼인법을 기초로 1980년 9월 다시 새로운 혼인법을 공포하여 원래의 규정을 강화하고 수정·보완하였으며 결혼 연령은 남자 20세, 여자 18세에서 남자 22세, 여자 20세로 개정하였다. 결혼 형식은 법률혼이며 전통 사회의 儀禮婚과는 달리 법률 수속을 이행하면 된다.



법률상 정해져 있는 절차는 3단계로 나뉘어져 있다.

1) 결혼의사를 각자의 직장에 보고하여 "미혼증명서"를 발급받는다.

2) 성병등 부부생활에 영향을 주는 질병이 없는가를 검사하여, 건강진단서 를 발급받는다.

3) 위 2가지의 서류와 혼인신고서를 (시청, 구청의 출장소)에 제출하여 결혼증명서를 취득한다.

이상 3단계를 거치면, 정식으로 부부관계가 성립하게 된다.



결혼 증서를 받은 이후에 결혼 의식을 거행하는 데 다음과 같은 몇 가지 형식이 있다. 결혼 잔치(피로연)를 베푼다. 식당이나 집에서 약간의 술자리를 마련하고 친척과 친구 등을 청해서 음식을 먹고 축하 술을 마신다. 연회에서 간단한 결혼 의식이 진행되며 신랑과 신부는 축하 술을 따르고 축하 담배에 불을 붙이며 하객들은 모두 신랑 신부에게 술을 권한다.



다과회를 거행한다. 결혼 후에 잔치를 베풀지 않고 단지 친구와 동료들이 한데 모이고 사탕·과일·담배 등을 준비하고 간단한 혼례 의식을 거행한다. 이 형식은 비교적 간단하고 편리하며 절약을 할 수 있어서 일반적으로 기관 간부와 지식인들 사이에서 유행한다. 합동 결혼. 직장 부서 혹은 관련 단체가 주관하여 진행한다. 몇 쌍 또는 수십 쌍의 신랑과 신부가 동시에 결혼 예식을 진행한다. 기념품을 주고 노래를 부르고 춤을 추며 친목을 다진다.



중국인들의 결혼관은 각 시대적 환경에 따라서 그 배우자를 선택하는 기준도 각기 변하고 있음을 알수 있다. 즉 신중국 건립이후의 50년대와 대약진과 문화혁명이 있었던 60-70년대, 개혁개방이 시작된 80년대의 배우자감은 당시의 시대적 상황과 비교적 정확하게 일치하고 있으며, 90년대의 비유가 말해주는것은 현재의 배우자감은 특정한 정형이 있다기 보다는 보다 높은 수입, 학력, 신분 등을 요구하고 있다는 것을 암시한다.



당대 중국의 청춘 남녀들이 결혼 상대를 선택하는 표준은 무엇인가? 일반적으로 감정 상의 수요를 제외하고 주로 외모·직업·학력·성격·수입·가정을 고려한다. 남자 쪽의 요구는 여자의 외모가 예쁘고 단정한가, 성격이 부드러운가, 사람들을 친근하게 대하는가 등을 중점적으로 보고, 키는 자신보다 작고 나이가 자기보다 적기를 원한다. 여자 쪽의 요구는 남자의 직업이 좋은가, 키가 비교적 큰가, 비교적 높거나 일정한 학력이 있는가, 경제적인 수입이 비교적 많은가, 올바른 사상을 가지고 있는가, 신체가 건강한가, 사업에 대한 성취동기가 강한가 등을 본다.



1990년대 들어 일어나기 시작한 중국의 "결혼사진 붐"은 요원의 불길처럼 신속히 번져가고 있다. 도회지, 지방 가릴 것 없이 각지에서 사진관이 성업중이다. 스튜디오에 거금을 지불하고, 하루일정으로 신부의 모습을 촬영한다. 이는 벌써 결혼 전의 한 행사로 자리 매김 되었다. 사진은 고급 앨범에 담겨져, 나중에 몇 번이고 반복해서 볼 수 있다. 또한 결혼 당시 이루지 못했던 꿈을 이루기 위해 뒤늦게 결혼 사진을 찍으러 오는 노부부도 적지 않다.





사진관은 고객의 다양한 기호에 맞추어, 각자의 동경의 세계를 만들어 내고 있다. 마치 조그만 "꿈의 공장"을 보는 듯 하다.서구의 생활을 동경하는 고객에게는 바로크 빅토리아 왕조 시대의 호화로운 분위기의 셋트를 장치한다.







혼례(婚禮)



혼례의 혼을 고대에는 昏(어두울 혼)을 썼다. 이는 혼례의 마지막 단계인 친영(親迎)이 황혼 무렵에 거행되었기 때문이다. 혼례는 중국에서 상례와 함께 중시되던 예속으로 단순한 성인 남녀의 결합이 아닌 씨족과 씨족과의 연계이며 결속을 나타내는 문화이며 정치적 성격을 갖은것이다. 고대에는 일부 다처제가 생겨 진·한대 이후 계속되었으나 이는 빈부 격차와 신분 고하에 의해 특정인에게만 해당되는 것이다. 혼인의 절차는 매우 복잡하였다. 혼인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부모의 말과 중매자의 말"이었다. 또한 문당호대(門堂戶對-서로 집안의 수준이 맞음)를 가장 많이 따졌다. 혼인의 절차는 주(周)나라 때부터 엄격히 지키기 시작했으며 漢나라때 六禮가 확정되었다. 六禮라 하면 결혼식이 이루어지기까지의 전 과정인 納采, 問名, 納吉, 納徵, 請期, 親迎이 여섯 과정이다.



1. 納采



納은 받아들이다, 采는 선택 하다의 뜻으로, 즉 구혼 절차를 말하는 것이다. 신랑 측에서 신부 측에 매인(媒人)을 보내어 청혼 의사를 밝히고, 여자 측에서 허락이 주어지면 보내는 기러기 선물을 納采라고 부른 데서 유래하였다. 이 선물을 안지(雁贄)라고도 하는데 신랑이 보내는 정식 구혼 선물인 것이다. 구혼 선물로 기러기를 보낸 데는 몇 가지 이유가 있다.



① 음양론(陰陽論)

기러기는 철새로 음, 양의 변화로 형성된 절기를 따라 이동하는데 이는 태양을 따르는 의미로 해석되며 여자는 陰, 남자는 陽을 나타내어 "여자가 남자를 따른다"는 의미를 가진다.



② 기러기의 습성

기러기는 한번 암, 수가 짝을 지으면 혹시 짝을 잃더라도 혼자 지내는 동물로 순정이 상징이다.



③ 고대 예물 습속의 변화로 보는 관점

주(周)시대에는 지례(贄禮-폐백 선물)가 여러 등급으로 나누어져 있었다. "천자는 창(울창주), 제후는 규(圭), 경은 새끼 양, 대부는 기러기, 선비는 꿩, 서인은 필로 한다."는 말이 있었다. 그런데 옷감 등으로 예물을 삼던 서인들이 대부들의 습속을 흉내내어 기러기를 선물하는 풍습이 보편화되었다. 그 후 기러기는 구하기 쉬운 닭, 거위, 혹은 순결을 상징하는 고양(羔羊), 화합을 상징하는 합찬목(合歡木)이나 가화(嘉禾 벼)로 대체 되었다. 納采가 이루어지면 "여자가 시집갈 것을 허락하면 영을 했다"라는 「곡례」의 표현대로 여자는 머리를 묶고 비단 끈으로 묶어 올렸는데 이를 계영( 纓)이라 한다.



영(纓)은 혼례 마지막 단계인 초야에 신랑이 손수 풀어 주어야 하는데 이를 탈영(脫纓)이라 하고 계영과 탈영의 과정을 결발(結髮)이라 한다. 결발 의식은 부부 사이를 연결하는 하나의 신물(信物)로 당대 이후에는 남녀가 각자의 머리카락을 조금씩 잘라 함께 묶는 것으로 바뀌었고 이를 합계(合啓)라고 한다. 합계할 때 신방에 남녀가 먼저 맞절하고 침대에 올라 남자는 왼쪽 여자는 오른쪽에 앉아 가위와 나무빗으로 머리카락을 함께 묶었다.



2. 問名



신랑 측이 신부의 부모, 조부, 증조부 등의 근친의 이름과 관직, 재산 상황, 신부 이름, 그리고 배행(排行) 및 생년월일을 묻는 것을 말한다. 이 자료를 바탕으로 남자 측은 점을 쳐서 (반드시 祀堂에서 행한다) 혼사의 길흉, 양가의 정치, 재정적 균형을 살폈다. 門名에 중요한 부분 중에 하나가 나이 차 이이다. 일반적으로 남자가 여자보다 나이가 많아야 한다. 그리고 나이 차이에 있어 3, 6, 9살 차이는 피한다. 남편이 죄로 일찍 죽을 수도 있다는 믿음 때문이다. 나이와 더불어 서로의 띠를 묻고 조화 여부를 따진다. 여자의 띠가 남자의 띠보다 강한 속성의 동물일 때 길하지 않은 것으로 여겨 혼인을 꺼렸다.



3. 納吉



점의 결과가 좋을 경우 그 결과를 중매쟁이를 통해 신부 측에 통보하고 정식으로 청혼을 선포하는 것을 말한다. 환첩(煥帖), 정친(定親), 전경(傳庚)이라고 부르기도 하였다. 모두 붉은 색을 사용하여 맨 윗단의 글자 수가 홀수인 경우 남자는 建, 여자는 端자를 추가하여 짝수로 했고 재혼을 연상시키는 중(重), 재(再)등의 글자는 쓰지 않았다. 예물은 짝수로 하였는데 홀수는 상우(喪偶)를 뜻했기 때문이다.



4. 納徵



신랑, 신부가 서로에게 보내는 채례(采禮)를 말한다. 신랑은 신부에게 재물을 보냈으며 신부는 신랑 측에 혼수를 보냈는데 대빙(大聘)이라고도 한다. 납징은 신랑이 재력을 보여줄 수 있는 기회로 폭죽을 터뜨리거나 악대를 고용하여 음악을 연주하며 골목을 돌기도 하였다. 납징때 신랑이 꺼리는 예물은 신발이었다. 신부가 신고 달아난다고 믿었기 때문이다. 신부는 납징의 예물 중 식품류는 돌려보냈다. 신부의 혼수 중에는 이불도 있었는데 이불은 항상 10월에 만들었다. 10은 滿數로써 십자(열 아들)를 상징했다.



5. 請期



정혼 후 신랑 측이 길일을 택하여 혼례 일자를 정하고 신부 측에 알린다. 신부가 신변상에 문제가 있을 경우 취소하고 다시 정할 수 있다.



6. 親迎



결혼 당일 신랑이 친히 중매인과 함께 예물을 가지고 신부집을 방문하는 것을 말한다. 신랑이 먼저 신부의 부모에게 절을 올리고 다시 신부 측 조상의 사당을 배알하며 예물을 올린다. 그런 다음 신부를 가마(花轎나 官轎. 집안의 경제력에 따라 한 대 이상)에 태우고 돌아간다. 신랑이 먼저 내려 문밖에서 신부가 가마에서 내리기를 기다렸다가 방으로 함께 든다. 먼저 天地에 절을 올리고 부모님, 그리고 부부 순으로 절을 한다. 절이 끝나면 신부는 신랑의 옆자리에 앉되 신랑의 왼쪽 소매를 신부의 오른쪽 소매에 올려놓는다. (座帳: 남자가 여자를 거느린다) 그런 다음 신랑이 붉은 보자기로 싼 저울대로 신부 머리의 빨간 덮개를 들춰내고 깔고 앉는다. (여자의 악기를 없앤다) 다음 만두(餃子: 신부집에서 만들어 신랑집에서 익힌 것)와 장수면(신랑집에서 준비)을 먹는다. 저녁이 되면 喜宴을 열어 손님 접대를 하고 합방을 한다. 합방 전 미혼 남녀들은 이 부부와 장난을 치며 놀기도 한다. 다음날(3일째, 5일째) 신부집으로 가서 신부 측의 친구들과 인사를 나눈다. 이때 신부의 친구들이 신랑에게 장난을 치기도 한다.





근대 결혼식의 절차





고대 결혼식은 의식 결혼 중심이어서 절차가 복잡하고 형식이 많았지만 근대의 결혼식은 법률 결혼 중심으로 법적인 결혼 수속을 먼저 거쳐야 한다.



1. 결혼할 남녀들은 반드시 해당 지의 관청에 가서 혼인 등록을 해야 한다.



2. 혼인 의식



①연회를 연다.

음식점이나 집에 술상을 차려 놓고 친척들과 친구들을 청해 식사를 하고 결혼을 기념하는 술(喜酒)을 마신다. 연회에서 간단한 혼인 의식이 거행되고 신랑과 신부의 행복을 위해 축배를 한다. 연회의 순서와 규모는 일정치 않다. 사회적인 여론이 근검절약을 제창하여 허례허식과 낭비 풍조에 반대하는 분위기이다. 이런 형식은 노동자와 농민들 사이에서 많이 행해진다.



②다과회

혼인시 연회는 열지 않는다. 단지 친구, 동료들과 함께 모여 사탕, 과일, 담배들을 사서 간단히 혼례 의식을 거행한다. 모두 시끌벅적하게 축하의 뜻을 표현한다. 예를 들어 신랑, 신부로 하여금 연애 과정을 얘기하게 하거나 장기 자랑을 하기도 하였다.(노래나 춤따위)

이런 형식은 비교적 간단하고 편리하여 공무원 지식인들 사이에서 주로 행해진다.



③합동결혼식

단위나 관련된 군중 단체에서 주관하는 결혼식이다. 몇 쌍, 십 몇 쌍, 수십 쌍의 신랑, 신부가 동시에 혼례 의식을 거행 해고 기념품을 나누어주고 노래, 춤을 진행하기도 하였다. 의식이 간단하고 비용이 되고 분위기가 장중하지만 비교적 횟수가 적다.



④여행 결혼

신혼부부가 결혼 휴가를 이용해 외지에 여행가는 것으로 여행에서 돌아오면 결혼으로 인정하는 것이다. 어떤 이는 여행전 간단한 혼례를 거행하거나 혹은 혼례를 하지 않기도 한다. 여행후 친척, 친구, 이웃 동료에게 결혼 기념 사탕(喜糖)을 나눠준다. 이것은 최근 몇 년간 유행하기 시작한 간단한 결혼 방식이다.







현대 중국의 결혼 풍습



중국인의 혼인 풍습은 다양한 변화를 거쳐 변화 발달하여 왔는데, 현대에 화서도 역시 생활양식의 변화와 새로운 가치관, 사상의 유입 등으로 많은 변화가 생겨나기 시작했다. 먼저, 당사자의 혼인 결정권이 확대되었고, 전통 혼례보다는 서양의 혼례를 모방한 서구적인 형태의 결혼 풍습이 젊은 지식인을 중심으로 확산되기 시작했다. 그리고 여자에게도 이혼을 요구할 수 있는 다소 파격적인 풍속도 나타났다.



1950년대에 들어 혼인 법이 반포되면서 혼인에 대한 관념이 달라졌다. 새로운 중국의 결혼 풍습은 매우 자주적이며 격식과 비용이 절감된 형태로 변모하였다. 절차라 하여도 부부가 모택동 주석 초상을 행하여 결례를 한 후 서로 맞경례를 하고, 하객들에게 인사를 한 다음, 축사가 있은 후 식이 끝나는 것이 고작이다. 또 배우자의 조건과 평가 기준도 달라졌는데 한 마디로 하자면, "키가 크고, 월급이 많으며 학력이 높아야 한다."는 이른바 3고의 조건을 젊은이들이 논하기 시작했다. 국제 결혼의 형태도 많아져 상해 법원의 보도를 보면 상해의 국제 혼인은 연평균 25%증가한다고 한다.



이처럼 변화하고 있는 중국의 결혼 형태를 잘 반영하여 주는 것 중 하나가 바로 '계약 결혼'이다. 결혼관이 지극히 서구화되어 있는 지금 중국의 젊은 층은 재산 관리, 이혼을 할 경우 양육권 문제, 설거지 문제에 이르기까지 세세한 항목을 계약서로 작성해 결혼하는 결혼이 유행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 형태의 결혼은 물질적이고 개인주의적 면모가 많이 들어 나며 서구 사상에 대한 무분별한 유입이 아닌가 하는 의구심을 자아낸다. 실제로 이런 계약 결혼이 불화의 빈도를 높이고 있고 이혼율이 높아지는데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가장 명확한 증거가 약 20만 명에 달하는 유랑 아동의 숫자인데, 이들의 대부분이 가정 불화와 부모의 이혼으로 인한 것이라는 조사이다. 또한 현재 가정을 꾸리고 있는 부부를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 10명중 2.3명 꼴로 이혼을 심각하게 고려하고 있다고 한다. 젊은이들이 서구적으로 깨어 가고 잇는 것은 사실이나 이런 부정적인 요소들이 결혼 문화를 통해 심각한 사회 문제가 되어 가고 있는 것이다.







현대 중국인들의 결혼



최근 2만 명의 성인을 조사한 결과, 대개 남자는 17세 , 여자는 15세부터 이성 교제를 시작하고 있었으며, 남성은 8할, 여성은 9할이 넘게 배우자의 과거를 문제 삼지 않을 것이라고 대답했다. 등소평 시대가 개막된 1981년에 새로 개정된 혼인 법에는 종전의 남자 20세, 여자 18세이전 법정 결혼 연령을 높여 남자는 22세, 여자는 20세가 되어야 혼인이 가능하다고 규정해 놓고 있다. 그러나 실제로는 남녀의 연령을 합쳐 50세 이상이 되지 않으면 결혼은 허가되지 않는다. 소속 근무처에서 허가 서를 갖고 두 사람이 결혼 등기소에 가서 결혼 등록을 하면 비로소 축복 받는 신혼 가정이 탄생한다.



1993년 통계에 따르면 중국의 평균 초혼 연령은 남자가 26.9세이며 여자가 23.7세이다. 신 중국 40여 년 간 여성들의 배우자 선택은 몇 가지의 단계적인 경향을 보여 주고 있다. 50년대에는 당 조직의 소개에 의하여 결혼하였고, 60년대에는 노동자와 병사 출신, 70년대에는 지식 분자들(지식 분야에서 공헌하는 이들)이 인기가 있었으며, 80년대에는 경제적 조건, 90년대에 와서는 외국인과 결혼하는 것이 유행하고 있다고 한다.

총체적으로 보면 가정은 안정 상태에 있으며, 최근에 이르러 이혼율이 상승세를 보이기는 하지만 그 상승은 완만한 편이다.







결혼의 다양한 유형



1. 형매혼(兄妹婚)

말 그대로 자매간의 결혼을 말한다. 이는 중국의 신화(神話)와 복희(伏羲)와 여와 남매의 신화를 인간이 생각해 냈다는 것은 이와 비슷한 형태의 결혼이 있었다는 이야기이다. 즉, 혈연혼이 있었다는 것을 반영한다.



2.대우혼(對偶婚)

이것도 형매혼과 비슷하게 중국의 신화에 나오는 이야기이다. 黃帝의 결혼 이야기가 그 예이다. 이는 모계사회(母系社會)의 반영이기도 한다. 쌍방의 동의하에 남자가 여자의 집으로 가서 하루밤을 보내는 것이다.



3.전방제(轉房制)

지아비가 죽으면 아내는 죽은 자의 형제나 당형제등 그 피붙이에게 시집가는 형식이다.



4. 영첩제(迎妾制)

한 여자가 죽으면 출가할 때 같은 성을 가진 여자 동생과 노비가 함께 시집가는 형태. 영첩은 정부인과 첩의 중간의 위치에 해당한다.







중국인들의 연애



중국 여성은 23세 남성은 25세 이상이어야 결혼 할 수 있다. 중국에서 인기 있는 남성은 해외 화교, 특히 미국에 있는 사람이나 미국에 유학, 이민 가는 사람, 기타 해외에 나아갈 수 있는 사람이 인기이다. 그 다음으로 외국에 친척이 있는 사람이나 외국인 회사나 무역 회사에 근무하는 사람이다. 이는 중국인들이 외국에 나가고 싶어하기 때문인데 중국인들은 외국에 나아가기 위해서 외국인과 정략 결혼을 하기도 하고 기혼자가 이혼하고 다시 결혼하기도 한다. 따라서 요즘 중국에서는 결손가정이 늘고 이혼율도 높다.



예를 들어, 한 여성이 미국에 먼저가 있는 남편과 이혼하고 미국인과 계약 결혼하여 일단 미국에 간 후 미국인과 이혼하고 전 남편과 다시 결합하는 경우가 있다. 중국인들은 해외에 나아가기 위해 몇 년간의 독수공방 이혼도 두려워하지 않는다. 그리하여 이렇게 외국에 나가고 싶어하는 중국인들에게 외국과 관련 있는 일에 종사하는 사람들은 인기가 있을 수 잇는 것이다.



-한국의 짝사랑, 中國중에서-

[여자는 이기고 남자는 참아야 하는 연애 법칙]

두 연인이 데이트를 할 때 여자가 약속 시간보다 반시간 정도 늦게 가는 건 매우 당연한 일로 여자들은 일부러 늦게 간다. 심지어는 약속 장소에서 좀 떨어진 곳에서 숨어서 남자 친구를 관찰하는 여자들도 있다. 안달하면서 자신을 기다리는 남자 친구를 보며 사랑을 확인하고 남자의 참을성을 시험하기 위한 것이라고 한다.

공원, 백화점이나 거리에서 여자 친구한테 욕먹고 꾸지람을 받는 남자 친구들을 볼 수 있다. 남자들은 여자들의 가방까지 들고 있다. 하지만 남자들은 참아야 한다. 매우 복잡한 버스에서 남자 친구가 남보다 빨리 올라타서 좌석을 잡아야 하는데 좌석을 잡을 경우에는 자신을 위해서 체면 가리지 않고 좌석을 잡아 준 남자 친구에 대해서 감격하지만 그렇지 못할 경우에는 한바탕 욕을 먹게 된다. 키스나 섹스도 여자의 동의를 얻고 해야지 그렇지 않으면 호되게 당한다.



▶ 결혼할 신랑의 7가지 필수 요건

1. 돌봐 줄 부모 친척이 없을 것

2. 건강, 호남

3. 결혼 후의 방 마련

4. 급료가 한달 평균 700원 이상

5. 팔방미인, 대인관계 원만

6, 음주, 흡연하지 않는다

7. 順風耳 - 처의 말을 잘 들음



중국인의 결혼 연령은 1950년 실시된 혼인 법에 따라 남자는 20세, 여자는 18세 이상으로 정해져 있다. 그러나 여자는 23세 또는 25세 이전에, 남자는 28세 아니면 30세 이전에 결혼하지 않도록 강력하게 장려하고 있다. 이것은 출생률을 저하시키기 위한 목적과 젊은 성인이 가능한 한 창조적인 정치 기관에서 활동하거나 활력 있는 경제활동을 하기 바라기 때문이다.



옛날의 일부다처, 축첩, 어린 여다 아이를 아들의 신부로 할 작정으로 양녀 결연을 하는 따위의 오랜 습관은 이젠 거의 사라졌다. 청춘 남녀의 배우자의 선택은 원칙적으로는 완전히 자유이다. 그러나 중국에서는 이성과의 사회적으로 접촉하는 기회가 제한되어 있으며, 성교육도 그렇게 많이 보급되어 있지 않다. 이것은 과거의 유교 유산이기도 하다.



현재 중국의 젊은이들은 결혼 상대자를 고를 때 좀 더 현실적인 선택을 한다. 여성은 남편 감을 고를 때 부담 없는 가정, 멋진 직업, 경제력, 마지막으로 육체적인 매력을 고려한다. 아내를 고를 때는 미인, 고등학교 정도의 교육을 받은 사람, 그리고 그다지 정치의식을 갖고 있지 않은 사람 등의 조건을 갖출 것을 바란다. 또한 문당호대가 오늘날에도 결혼의 모범으로 되어 있어 고급 간부와 일반 노동자의 자녀가 결혼하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



중국 남자들은 대체로 남자 측 부담이 많아 괴로워한다. 결혼 난과 주택난과 생활난이 현실적으로 직면한 과제이다. '신부를 산다'고 하는 매매 혼의 풍습도 남아 잇기 때문에 약혼과 결혼 비용은 대체로 월급의 50개월 분에 해당한다. 그리고 필요한 조건도 갖추어야만 한다. 예를 들면 앞에서 언급했던 것처럼 시부모임의 어느 쪽도 부담이 없을 것, 돌보아야 할 가난한 친척이 없을 것, 전적으로 아내가 말하는 것을 귀담아 잘 들어야 할 것 등이다.



그리고 내 집을 갖는 것이 제일 중요하다. 중국의 주택 부족이 도시에서는 심각한 문제가 되고 있다. 내 집을 마련하지 못한 이유로 혼담이 깨진 경우는 자주 있는 일이며 약혼한 채로 수년간이다 결혼을 기다리는 커플이 상당히 많다. 중국인들의 결혼식 습관 중 한가지 재미있는 것이 있다. 결혼식 날 아침 신랑은 버스 한 대 섞이지 않은 수십 대의 검정 색 승용차 행렬을 이끌고는 백마의 기사처럼 신부와 하객들을 모시고 식장으로 떠난다. 이 승용차들은 모두 벤츠나 아우디 캐딜락 등의 고급 세단으로 신랑 측 집안에서는 이를 통해 집안의 부와 지위를 과시하는 것이라고 한다. 그런데 사실 이 차들은 모두 시간당 한 대에 1∼2백원(한화 1∼2만원)씩의 임대료를 지불하고 사용하는 일종의 렌트카 들로 중국인 특유의 허례허식을 엿볼 수 있는 한 토막이다. 만일 중국의 거리를 지나 다가 수십 대의 검정 색 벤츠가 길다란 행렬을 이루고 지나가는 것을 보면 긴장할 필요가 없다. 가만히 봐서 경찰의 에스코트가 없다면 그냥 누군가 장가가는구나 하며 마음속으로 축하나 보내 주면 그만인 것이다.



최근에는 고학력 층을 위주로 생각 있는 젊은이들 사이에서 결혼 비용을 최소화하고 검소한 신혼 생활을 꾸려 나아가고자 하는 바람이 조용히 불고 있기도 하다.





漢族의 혼인



1. 성인의 예



한족은 남자가 20세 여자가 15세가 되면 성인례를 행한다. 성인례란 성인이 된다는 것을 표시하는 예로서 남자는 관례, 여자는 계례라고도 한다. 관례와 계례는 송대 까지 계속 이어 내려오다가 원대에 자취를 감추었으나 명대에 다시 회복되어 청나라 말기까지 계속 행해진다. 그러나 청말 서양 풍속이 몰려오면서 관례와 계례는 점차 사라지게 되었다. 옛날 미성년자들은 색깔이 있는 채의를 입었다. 성인례 후에야 이 채의를 벗어버리고 성인의 옷을 입혀 주고 冠(모자)을 씌워 준다. 또한 각각 다른 장소에서 입을 옷을 세벌을 입혀 주고 세 가지 모자를 씌워 주면서 연장자가 축사를 한다. 처음 채의를 벗기고 심의(성인들이 입는 옷)를 입혀 주고 모자를 씌워 주는 것을 시가라 하는데 이때 연장자는 지난날의 동심을 버리고 성인의 생각과 표준에 따라 생각하라고 격려한다. 연장자는 재가때 당사자에게 몸가짐을 단정하게 하고 위의를 갖추라고 말하고 삼가 때 건강하게 장수하라고 한다. 성인 의식이 끝나면 연장자는 그에게 자를 지어 준다.



2. 혼례의 유래



결혼식을 혼례라고 하는데 옛날에는 계집녀 변이 없는 저물 혼자를 썼다. 그것은 아내를 황혼에 맞이했기 때문이다. 민속학적으로 인류 원초의 혼인 방식은 약탈혼이어서 신랑이 친구들을 데리고 신부 감을 빼앗아 왔다. 황혼때 땅거미가 깃들면 신부 감을 뺐기에 가장 적절한 시간이었으므로 저녁 昏자를 쓰다가 후에 계집 女변을 가하여 오늘날과 같이 혼인할 婚자를 쓰게 되었다.



3. 사주 교환



남자 집과 여자 집에서 혼인 당사자의 성명과 생년월일시를 붉은 종이에 적어 중매인을 통하여 상대방에게 준다. 이 사주를 적은 붉은 종이를 조상 위패 앞에 올려놓아 둔다. 만약 3일 내에 집안에 별고가 없으면 조상이 그들의 약혼을 묵인한 것으로 인정한다. 남자 집에서는 다시 두 사람의 사주를 가지고 궁합을 본다. 조상을 통하는 것은 혼인 대사를 가장이나 혹은 당사자가 마음대로 결정할 수 없다는 것을 말한다. 점쟁이까지 궁합을 보는 것은 더욱 신중하게 함으로써 혼인의 책임감을 느끼게 하는 구실을 한다.



4. 영친



예컨대 중국 흑룡강성 길림성 요녕성 지방에서 유행되는 한족 혼인 풍속을 말한다. 이 지방에서는 신랑이 친구들과 같이 직접 여자 집에 가서 신부를 맞아 온다. 신부를 맞아 오는 의식을 영친이라고 하는데 점쟁이를 찾아 길일을 택한 후에야 진행된다. 결혼 날짜는 남자 측에서 정하고 여자 측의 동의를 얻은 후 정식으로 정해진다. 신랑은 어깨에 붉은 띠를 두르고 모자에 꽃을 꽂고 말을 타거나 가마에 앉아서 여자 집으로가 신부를 맞아 온다. 남자 집이 여자 집에서 10여 里 혹은 30∼40里 이상 떨어져 있으며 신랑은 전날에 신부집에서 자고 이튿날 아침에 신부를 데려간다. 거리가 가까우면 전날에 말을 타거나 가마에 앉아서 거리를 한 바퀴 도는데 이것을 양교라고 한다. 이튿날 아침에 여자 집에 가서 신부를 맞아온다. 만약 돌아오는 도중에 다른 신혼 대오를 만나면 신랑은 반드시 가마에서 내려 선물을 교환한 후 다시 길에 오른다. 우물, 무덤, 사창가를 만나면 붉은 담요로 시선을 가린 채 간다. 신랑은 말을 타고 가면 8사람이 말을 타고 앞장서서 길을 안내하고, 가마에 앉아 가면 신랑이 앉은 검은 가마가 앞에 서고 신부를 맞이할 꽃가마가 뒤를 따르는데 가마 안에 "어린애"가 앉고 신부를 영접하는 아주머니가 마차에 앉아서 간다. 신부집에 도착하면 그 "어린애"에게 돈을 줘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가마에서 내리지 않는다. 여자 집에서는 사위를 방안으로 안내하고 사위와 상객에게 상을 올린다. 그 상에는 네 접시의 떡과 네 접시의 과일 그리고 술과 안주, 젓가락이 놓인다. 식사도중 상객은 다른 사람이 보지 않게 젓가락 두모를 훔쳐 품속에 감추었다가 집에 돌아와 신방에 놓는다. 젓가락은 중국말로 쾌자( 子)로서 그 음은 빠를 쾌(快)와 마찬가지로 빨리 아들을 낳으라는 뜻이다. 신부가 가마에 앉기 전에 개검식(開瞼式)을 거행한다. 다시 말하여 얼굴과 이마의 솜털을 뽑아주는 의식이다. 개검식이 끝나면 머리를 얹고 비녀를 꽂아준 후 푸른 바지에 붉은 웃을 받쳐 입힌다. 그리고 액막이를 한다는 뜻으로 품속에 구리 거울을 품어준다. 다음d[ 수줍어하는 얼굴을 가린다는 뜻으로 머리에 붉은 수건을 덮어준다. 이런 모든 준비가 끝나면 신부가 담요 위에 앉고 오빠가 가마 위에 올려 놓는다. 이것을 포교(抱轎)라고 한다. 돌아올 때 꽃가마가 앞에 서고 신랑이 앉은 검은 가마가 뒤에 선다. 꽃가마가 신랑집에 이르면 남자 측은 일부러 대문을 늦게 연다. 그러면 결혼 후 신부의 마음이 온화해 진다고 한다. 신부가 집을 떠날 때 어머니가 동전 한 사발을 침대위에 뿌려놓고 딸더러 줍게 한다. 이것을 민간 풍속에서 "복을 줍는 것"이라고 한다. 딸이 많이 집으면 시집에 마음이 쏠려 복을 시집으로 가져간다고 하고 적게 집으면 본가에 마음이 쏠려 복을 본가에 두고 간다고 한다.



5. 꽃가마를 막아서다.



꽃가마를 막아서는 것은 하남석 단성 일대의 한족들 가운데서 유행되는 독특한 혼인 풍습이다. 잔치 손님들이 꽃가마를 막아서는 것은 첫째로 신부의 예쁜 모습을 보려는데 있다. 둘째로 교군꾼들의 快板-두개의 竹板으로 박자를 치며 노래하는 중국 예능의 한 가지-을 들으려는데 있다. 잔치 날 남자 집에서 가져온 꽃가마에 신부가 화장하고 오르면 가마를 큰길가에 내다놓고 문을 열어 사람들이 구경하게 한다. 이때 교군꾼들은 快板으로 "꽃가마 찬송가"를 멋들어지게 부른다. 노래가 끝나면 교군꾼들은 가마를 메고 서서히 길에 오른다. 그러면 구경꾼들은 가마가 가지 못하게 길가에 장애물을 설치한다. 교군꾼들은 잔치손님이 설치한 장애물을 보고 즉흥 가사를 읊으며 길을 비켜 달라고 快板조로 노래 부른다.





만족의 혼인



1. 고대 혼인 풍속



'팔기인'이라고도 하는 만족의 고대 혼인 풍속은 특이하다. 〈진서·열전67(晉書 列傳六十七)〉에는 "숙신씨(肅愼氏- 여진, 말갈의 전신)는 혼인 때 총각이 처녀의 머리에 깃털을 꽂아주며…… 결혼한 후에는 부인은 정조를 지키나 처녀는 방탕하였으며……"라고 하였다. 〈위서·열전 88(魏書·列傳八十八)〉에는 "첫날 저녁에 남자가 여자 집에 가서 여자의 젖을 만지면 부부가 된다."고 하였다. 남자가 여자의 머리에 깃털을 꽂는 법, 여자의 젖을 만지는 방법은 예스러우면서도 아주 특이한 풍속이다. '부인은 정조를 지키고 처녀는 방탕하였다.'는 말에서 우리는 그 시절에 젊은 사람들이 연애를 자유롭게 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금사·본기(金史·本記)〉에 "세종때 발해 사람들은 여자를 도둑질하는 것을 금지하며 만약 도둑질하는 자가 있으면 간음으로 취급한다." 여기서 '여자를 도둑질한다.'는 말은 약탈혼을 가르킨다. 〈삼조북맹회편(三朝北盟會編)〉에는 처녀, 총각들이 시집갈 연령이 되면 사랑노래를 불러 서로의 사랑을 속삭이었다고 한다.



2. 현대인의 혼인 풍속



고대 뿐만 아니라 현대에도 만족의 혼인 풍속은 민족적 특징을 띄고 있다. 옛날부터 만족은 한족과 결혼하지 않았고 성씨가 같아도 결혼 할 수 없었으며 젊은 남녀들 간에 연애의 자유가 없었으며 혼인도 부모의 의사에 의하여 결정되었다.



3. 약혼식



우선 쌍방의 부모가 중매인을 통하여 상대방을 이해한 후, 먼저 총각이 처녀 집에 가서 선을 보이고 처녀와 대면한다. 서로 뜻이 맞으면 정식으로 약혼한다. 약혼식 때 총각은 여자 집에 돼지 한 마리 술 한말뿐 아니라 처녀가 사시사철 입을 옷가지와 장신구를 가져간다.



4. 택일과 결혼 준비



중매인의 주선에 의하여 양가에서는 결혼 날짜를 정하고 예식을 거행할 때 남자 집에서는 또 담배, 술, 사탕, 차 등 네 가지 예물을 가져간다. 예식이 끝나면 결혼 준비를 한다. 꽃가마는 말이 끌기 때문에 꽃가마를 수레에 올려놓고 떠러지지 않도록 붙들어 맨다. 가마는 붉은 비단으로 장식한다. 신부를 데리러 갈 어린애와 할머니는 8∼9세 되는 남아와 남편이 살아있고 아들 딸이 많은 사람으로 결정한다.



5. 친영(親迎)



모든 준비가 다 끝나면 친영 행렬은 결혼 전날에 떠난다. 親迎행렬 앞에는 깃발 든 가람, 징을 치는 사람 등(燈)을 든 사람 吹樂과 鼓手등이 서고 그 뒤에 12쌍의 말이 따른다. 젊은 영준한 신랑 들러리가 말을 타고 그 뒤에는 신랑이 따른다. 그리고 신부의 가마에 따르는데 거기에는 신부를 데려올 할머니가 앉는다. 친영 행렬은 도중에 친척과 친구들의 집에 들린다. 거기서 여러 가지 물품들을 받고 처가로 간다. 신랑은 처가에 도착하면 곧바로 말 등에서 내리지 않는다. 처남이 신랑의 말고삐를 끌고 장인 앞으로 가면 장인은 신랑에게 돈을 준다. 돈 액수는 형편에 따라 다르다. 어떤 장인은 신랑에게 금가락지를 끼워주기도 한다. 이 절차가 끝나면 신부집에 갖다 놓는다. 그러면 신랑이 걸상에 딛고 말 등에서 내린다. 처가 집에서는 손님들을 성대한 연회장으로 초대하며 신랑을 안방으로 안내한다. 신랑은 신부를 대면하지 못한다. 일반적으로 이날 밤중에야 신부가 가마에 오른다. 가마를 탈 때 오빠나 삼촌이 안아 올린다. 신부가 가마에 오르면 수레가 떠난다. 친영 행렬은 대체로 오전에 신랑집에 도착한다. 만약 신랑집이 멀면 우선 신랑이 사는 마을의 친척집에 신부를 데려다 두었다가 결혼 당일 데려온다.



기타 소수 민족의 혼인



중국 남방 지역의 까오산족은 일부 다처제로 한 명의 추장이 30여명의 부인을 데리고 산다. 그러나 대부분의 소수 민족은 일부 일처제의 결혼 풍속을 유지하고 있다. 결혼은 당사자의 의사보다 대개 양측 부모 의사에 따라 결정되는 경우가 많다. 결혼 적령기의 아들을 두고 있는 부모는 중매쟁이를 통해 며느리 감을 물색하는데, 여자 측 부모와 우선 교섭을 가지고 나서 중매인과 합의가 이뤄진 후, 양측이 결혼 승낙을 하는 방법이 대부분이 선호하는 결혼 방법이다.



배우자 선택 기준은 주로 생활 정도와 신분 관계 등이 우선 고려된다. 예나 지금이나 생활 정도가 낮은 가난한 집안과 부자 집안과의 혼사는 거의 드물다. 특히 티벳족의 경우는 전통적으로 지켜져 내려오는 신부 내혼제를 내세워 귀족 출신은 지금도 평민과의 혼사를 할 수 없게 되어 있다. 또한 환경과 신분이 다른 집안과의 혼사뿐만 아니라 피부색이 다른 민족과의 결혼도 금기시 되어 있으며, 만약 이를 어겨서 당사자간의 연애 결혼으로 혼인된 사실이 알려지면 동네 사람들이 일방적으로 처치해 버리는 관습이 아직도 남아 있다.

서남 지역의 칭뽀족 역시 신분 내혼제를 고집하고 있어 관리는 관리 집안끼리, 상인은 상인끼리, 농민은 농민 자녀끼리 혼사를 하고 있다. 만약 농민의 아들이 관리의 딸을 아내로 맞아들이고 싶으면 딸을 갖은 부모가 요구하는 모든 조건을 받아들여야 결혼을 할 수 있다.



같은 서남 지역에 사는 라족은 마을 어귀의 한적한 곳에 '팡쑤'란 원두막 같은 방갈로를 여러 개 설치하여 결혼 적령기에 이른 아가씨들을 그곳에서 살도록 하고 있다. 혼기에 있는 총각들은 자기가 점찍어 둔 아가씨가 어느 팡쑤에 있는지 찾아가 팡쑤 문 앞에서 전통적인 긴 코피리(피리를 콧구멍에 대고 분다)를 불고 난 뒤 바로 노래를 부르면서 구애를 한다. 팡쑤 속의 아가씨가 피리와 노랫소리를 듣고 마음에 들면 팡쑤의 문을 열어 주고 결혼을 약속하게 된다.



역시 같은 서남 지역에 거주하는 지노족, 푸랑족, 창뽀족, 수이족은 미혼 남녀가 자연스럽게 구혼할 수 있도록 마을에 별도의 장소를 마련하는데, 여기서 임신이 되면 사위 될 사람과 함께 여자 측 부모에게 찾아가 두 손을 머리에 얹고 꿇어앉아 인사만 하면 혼인이 끝난다.



광동성 북부 지역에 사는 야오족은 '방녀출란'이란 풍습을 지니고 있다. 이는 매년 음력 대보름날부터 3일 동안 미혼 남녀들이 함께 모여 즐기는 축제일로서 서로 마음에 드는 사람과 짝을 지어 산기슭이나 논밭의 언덕 밑에서 노래를 부른 뒤 사랑을 나누는 풍습이다. 대부분 짝짓기 축제일인 '방녀출란'때에 배우자를 선택하게 된다.

미아오족 등 일부 소수 민족은 '혼세 교차제'를 전통적으로 지키고 있다. 즉 아버지 자매 측의 처녀를 어머니 형제 측의 총각과 결혼을 시키는 풍습이다. 총각측에서 친척을 통해 처녀를 아내로 맞이하고 싶다고 하면 딸을 가진 친척은 절대 다른 곳에 시집 보낼 수가 없다. 만약 어머니 형제 중에서 마땅한 총각이 없을 경우에는 다른 집안과 혼사가 가능하다.



이와는 반대로 뚱족이나 칭뽀족은 인척간의 혼인을 절대 금지하고 있다. 이들 민족은 어머니 형제나 아버지 형제를 같은 씨족으로 생각하기 때문에 혼인을 절대 못하도록 하고 있다.



중국 대륙 서남 지역의 러빠족은 혼세 교차제(婚歲 交差制)의 혼인을 유달리 장려하고 있는 민족이다. 이 민족은 인척간의 통혼이야말로 '금화하고도 바꿀 수 없는 혼인'이라고 여기고 있다. 가령 남편이 사망하면 그 부인은 남편의 형제와 재혼해야 한다. 반대로 부인이 먼저 사망하면 남편은 결혼하지 않은 부인의 자매와 재혼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비슷한 풍습을 가진 민족이 서북 지역의 하사크족과 원크족인데, 이들 근친 결혼을 '차윤팡'이라 부르고 법으로 "남편이 먼저 사망했을 경우 죽은 남편의 형제와 재혼해야 하며, 그 권리와 의무를 지켜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대부분 친인철 끼리만 결혼해야 되므로 이들이 집단으로 살고 있는 곳을 가보면 모두가 가까운 친척들이다.



대륙의 청해성 몽골족. 하사크족 거주 지역에 들렸더니 70여 가구 전부가 가까운 친척들이었다. 어느 한 집은 친사촌과 결혼하여 두 딸과 아들 하나를 두었는데 위의 두 딸중 하나는 이모네 집으로 또 하나는 고모네 집으로 시집을 보냈고, 아들은 삼촌 집 막내딸과 결혼하기로 결정되었다고 설명하였다.



두룽족의 경우는 부인과 사별했을 경우 부인의 자매와 결혼을 하게 되었는데, 나이가 어리면 적령이 될 때까지 기다려야 한다. 이때 남자는 미리 칼, 삼베, 소, 돼지 등을 사전에 혼약의 표시로 여자의 집에 갖다 주어야 한다.



이마오족과 위구르족 역시 부인이 사망하면 부인의 자매와 재혼하는 오랜 풍습이 있다.

타벳족 가운데 청해성에 거주하는 황남 티벳족 자치 지구에서는 '형제 일처혼'이란 세계에서 기이한 풍습이유일하게 남아 있는 곳이다. 이것은 옛날부터 장원가(莊園家)에서 해온 결혼 풍습으로, 즉 장남이 결혼하면 그 집 형제 모두가 동시에 결혼하는 것이며, 한 명의 여자를 공동의 아내로 공유하는 풍습이다. 어린아이가 태어나면 연장자인 맏형만이 아버지가 되며, 동생들은 전부 '리로이'로만 부르게 하고 있다. 운남성의 리장 유역에 살고 있는 나씨족은 '아주혼(阿州婚)'이란 결혼 풍속을 갖고 있다. 이 풍속은 남자가 밤에 처갓집에 가서 노동에 종사하는 생활 풍속이다. 그래서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일이 끝난 뒤인 밤 시간 이외에는 처갓집에 함부로 찾아갈 수 없다.



운남성 린창지역의 와족 자치 지역인 푸롱 지구, 쓰마오 지구의 와족과 라후족은 모계 가족제를 유지하고 있다. 모든 재산은 여자에게만 상속되며, 결혼한 남자는 자기의 생활 용구와 옷가지 등을 모두 처가에 두고 살아야 하는 풍속이다. 만약 이혼을 하게 되면 남자는 자신의 생활 용구와 옷가지만 가지고 나가야 하며, 자녀들이 있을 경우, 모두 여자 측에서 맡도록 되어 있다. 아이들의 성은 어머니의 성을 따른다.

대륙의 남방 지역에 사는 뚱족, 푸이족, 야오족, 칭뽀족등도 다소 차이는 잇지만 결혼후 여자는 아이가 둘이 될 때까지 시댁에 가지 않고 친정에서 생활한다, 이 가운데 뚱족은 제삿날에만 자기 아내를 잠시 시댁에 데리고 올 뿐 대부분 처갓집에서 생활한다.



푸이족은 결혼 당일 신부가 신랑집에 가서 인사만 하고 돌아온 후 계속 친정에서만 생활한다. 또 신랑집에 특별한 일이 생겨 들리게 되어도 절대 같은 방을 쓰지 않는다. 미아오족, 칭뽀족, 나씨족 거주 지역에는 '약탈혼'이란 것이 아직 남아 있다. 중국의 옛 기록을 보면 1,000여년 전 "북방의 말갈족은 신부 감을 약탈하는 혼인 풍습이 있다"고 기술되어 있다. 바로 이러한 약톨혼 풍습이 남방지역 민족에게도 남아 있다. 남녀가 서로 좋아하면 부모의 동의를 구하는 것이 아니라 남자 친구들과 함께 처녀가 있는 집에 몰래 가서 여자를 납치해 와 결혼해 사는 풍습이다. 딸을 가진 부모는 자기의 딸이 납치된 것을 알고 신랑감으로서 마음에 들면 중개인을 통해 결혼 승낙을 뜻하는 오색 끈을 보내는데, 이때 사위가 될 남자는 여자집 부모에게 술 두잔을 따라 들이면 된다. 만약 부모가 결혼을 동의할 수 없으면 창을 들고 끝까지 추적하고, 그래도 딸을 찾을 수 없으면 중간에 사람을 넣어 담판을 한다. 남자 측에서 적극적인 구혼 요청을 하면 대게 원만하게 타결된다. 그러나 도저히 타협이 불가능하게 되면 남자 측에 처녀를 돌려보내고 돼지 두 마리를 잡아 받치고 용서를 빌면 된다. 중국 대륙 서남 지역에 거주하는 두룽족은 신부를 맞아들이는 것을 '푸마'라고 부르는데, 이 말은 여자를 사 온다는 의미이다. 여자의 값은 솥, 냄비 1개, 화로 1개, 돼지 2마리나 소 1마리 값으로 환산하여 여자 측 부모에게 주면 된다. 그러나 린창 지역의 누족, 이족, 수이족, 와족은 여자의 값을 신체 조건과 용모에 따라 차등을 둔다. 이들 민족이 말하는 가장 아름다운 신체 조건이 좋은 여자는, 첫째 손과 발이 커야 하고, 발목이 가늘며, 엉덩이가 큰 여자이다. 이유는 손발이 큰 여자는 일을 잘하고, 발목이 가는 여자는 성에 비교적 약하며, 엉덩이가 크며 아이를 잘 낳기 때문이라고 이 곳의 안내자는 설명한다. 남자는 이러한 조건이 갖추어진 여자에게 소 10마리의 값으로 환산해 돈을 주든지, 아니면 암소 9마리에 황소 1마리를 여자 측 부모에게 받쳐야 한다.



티벳 자치구의 와족은 남자는 소만 있으면 여자를 얼마든지 살수가 있다. 이들은 자기 집에 소가 몇 마리 있는지를 자랑하는데 소가 세 마리 이상 되면 아주 잘 사는 부잣집에 속한다.



중국 대룍의 대다수 소수 민족은 부모의 뜻에 따라 혼인을 결정하지만 상당수의 소수 민족은 지금도 고가 품의 예물을 제공하고 결혼을 한다. 특히 1978년부터 개혁과 개방화 바람이 이 지역에서도 거세게 불어 문명의 四神器 가운데 어느것 하나만 있어도 쉽게 장가를 갈 수 있다. 어떤 누족의 젊은 청년은 광쩌우 개발 특구에서 6개월 동안 노동하여 번 돈으로 선풍기, 흑백TV, '영웅'마크의 세탁기를 들고 와 3명의 부인과 살고있다고 한다.



개방화 이후 이들 지역의 젊은이들은 본인의 희망대로 혼사가 이루어지지 않아 부모와 자식간에 많은 갈등을 겪고 있다고 한다. 소 한 마리도 갖지 못한 가난한 젊은이들은 옛날이나 지금이나 장가도 못 가고 평생 홀아비로 살아야 하기 때문이다. 이들 민족은 목매어 죽은 곳에 허수아비처럼 만든 큰 인형을 1년동안 달아 두는데, 이 지역을 여행하다 보면 곳곳에 허수아비 인형이 매달려 있는 것을 목격하게 된다. 안내자의 말에 의하면 젊은이들의 상당수가 결혼이 바라는 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자살을 선택한다고 한다. 나씨족은 부모가 결혼을 반대하면 비밀리에 도망을 가거나 최후의 수단으로 아이를 낳아 돌아오는 경우가 비일비재하다.

중국의 소수 민족 가운데 위구르족의 지도층에 있는 사람은 대부분 여러 명의 첩을 두고 있다. 본처가 보아 첩 가운데 거슬리는 사람이 있을 경우, 3번 연속으로 "타라크'라고 큰 소리로 말하면 첩은 짐을 싸서 집을 떠나야 하는데, 이런 고유의 풍습이 지금까지 지켜지고 있다.



1949년 10월 1일 중화 인민 공화국이 수립되고 이듬해 새로운 혼인 법이 제정되어 "결혼은 본인의 의사를 존중하여 자주적으로 할 수 있다."고 하지만 자손 대대로 전해 내려오는 그들 고유의 오랜 관습은 깨지지 않고 오히려 유지되어 내려오고 있다. 그러나 운남성의 다이족은 1978년 개방화 이후부터 결혼 의식이 약간 바뀌었다. 결혼식은 신부집에서 하는데, 신랑 신부는 흰 면사포로 팔을 연결시키는 것을 수수한 마음이 하나로 합친다는 뜻으로 개량된 새로운 결혼의 일종이다.



이들 민족은 결혼 후 남자는 대게 3년 동안 처가에서 살다가 자기 집으로 데려갈 수 있으나 처갓집에 남자가 없다 든가 노동력이 부족하면 계속 처가살이를 해야 한다. 처가살이에서 벗어나려면 사내아이를 여러 명 낳아 그 중에서 하나를 처갓집에 주고 가는데, 이 사내아이가물동이를 들 수 있는 나이가 되어야 완전히 자기 마음대로 독립해서 살 수 있다.



중국이 개방화되면서 이상하게도 민족주의 바람이 불어 그들 고유의 언어와 풍습을 유지하려는 노력이 곳곳의 소수 민족 사회에 팽배해 정부에서 한족 부부는 한 자녀, 소수 민족은 두 자녀를 갖도록 강력하게 권장하고 있지만 대부분 한 집에 6∼7명의 자녀를 두고 있었다. 옛날보다는 많이 개선되었다고는 하지만 소수 민족 대부분이 지식수준이 낮고, 또 지식수준이 낮을 수록 그들의 옛 풍습을 지키려고 하고 있다고 한다.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234 FTA 활용 성공 사례 산업용 배관 kimswed 11345 2022.06.25
233 FTA 활용 성공 사례] 자동화설비 kimswed 11312 2022.06.18
232 FTA 활용 성공 사례 계측기 kimswed 11308 2022.07.09
231 한-인도 CEPA로 화장품 관세 20% → 0% kimswed 11303 2022.09.24
230 FTA 활용 성공 사례 공작기계 kimswed 11282 2022.03.02
229 FTA 활용 성공 사례 비수성페인트 kimswed 11274 2022.07.05
228 FTA 활용 성공 사례 자동차부품-F사 kimswed 11259 2022.06.11
227 FTA 활용 성공 사례] 전기자전거 kimswed 11249 2022.08.05
226 FTA 활용 성공 사례 바이오디젤 kimswed 11244 2022.04.23
225 FTA 활용 성공 사례 Y사-마스크 kimswed 11239 2022.04.18
224 FTA 활용 성공 사례 화장지 kimswed 11237 2022.04.09
223 FTA 활용 성공 사례 플라스틱 첨가제 kimswed 11230 2021.08.24
222 FTA 활용 성공 사례 반도체 kimswed 11230 2021.11.01
221 청년 기업가 ‘마케팅랩소디 kimswed 11225 2021.12.07
220 FTA 활용 성공 사례] 대기오염방지설비 kimswed 11224 2022.01.23
219 ㈜에스제이코레 인도네시아도 인정한 한국 떡볶이 kimswed 11220 2021.07.26
218 FTA 활용 성공 사례] 수성페인트 kimswed 11206 2022.08.18
217 FTA 활용 성공 사례 자동차부품 kimswed 11196 2022.08.28
216 FTA 활용 성공 사례 방역용품 kimswed 11196 2022.02.14
215 FTA 활용 성공 사례] 천연탄산칼슘 kimswed 9870 2022.11.27
214 FTA 활용 성공 사례 플라스틱 시트파일 kimswed 8849 2021.07.23
213 ㈜프리즘 kimswed 7469 2021.04.10
212 FTA 활용 성공 사례 자동차용 볼트.리벳 kimswed 7347 2021.05.17
211 FTA 활용 성공 사례-원격조명릴 kimswed 7334 2023.01.02
210 월딘 화상 수출상담회는 수출의 새로운 기회 kimswed 7286 2021.07.17
209 ㈜45스페이스 kimswed 7241 2021.04.15
208 충북기업 세계로 날다(02)] 마그피아 kimswed 7230 2023.01.06
207 FTA 활용 성공 사례 의료용 수술용구 kimswed 7194 2021.05.09
206 FTA 활용 성공 사례 냉온수기 kimswed 7172 2021.04.29
205 중국의섹스산업 file kimswed 7097 2008.06.11
204 ㈜하이팟 kimswed 6422 2021.03.30
203 충북기업 세계로 날다(3)] 마루온 kimswed 6238 2023.01.14
202 이혜정 file kimswed 6047 2006.10.15
201 락인컴퍼니 kimswed 5658 2021.03.23
200 중국의문화혁명 file kimswed 5434 2008.06.11
199 코마츠코리아 kimswed 5411 2021.02.27
198 운남성기행사진 file kimswed 5127 2006.10.17
» 결혼풍속의변화 file kimswed 4729 2006.10.07
196 중국입국카드작성법 file kimswed 4616 2006.09.27
195 연길시풍물사진 file kimswed 4614 2006.1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