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CB인도진출장비산업

kimswed 2014.11.24 09:51 조회 수 : 3250 추천:63

extra_vars1 ||||||||||||||||||||| 
extra_vars2 ||||||||||||checked||||||||||||||||||||||||||||||||||||||||||||||||||||||||||||||||||||| 


영국 건설장비기업 J C Bamford Excavators(JCB), 인도 시장 선점

     

 ○ JCB 회장 Mr. JCB Anthony Bamford는 1979년 당시 인도 건설장비산업이 작은 시장규모에도 불구하고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음을 감지하여 인도 기업 Escorts와 합작투자를 통해 과감히 투자를 실행함.

  - 당시 Caterpillar, Komatsu, Volvo, Case New Holland 등 타 경쟁 글로벌 기업들은 인도 건설장비산업에 대한 확신을 가지지 못해 투자를 망설이고 있을 때 공격적으로 시장에 진출하여 시장을 선점함.

  - JCB는 현재 인도 건설장비산업 시장 점유율 1위를 기록하고 있으며, JCB라는 브랜드 네임은 인도 건설장비업계의 상징이 됨.

     

 ○ JCB는 잦은 현장 방문을 통해 인도의 건설 사업은 대부분 규모가 작고 투자금이 부족하며 계약자들 대부분이 건설장비를 구매해본 경험이 적고 수십 년 동안 수작업을 통한 공사에 의존하고 있다는 점을 파악함.

  - 인도에서 필요한 모델은 비싸고 정교하며 최첨단 기능을 갖춘 굴삭기가 아니라 단순하고 저렴하면서도 다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특화 모델이 필요하다는 점을 인식하여 제조공정을 인도에서 진행함. 이로써 가격 경쟁력도 확보함.

  - 쇼핑몰, 복합 상업공간, 주택 등 전국에서 공사를 진행하고 있었고 정부는 대형 국도 프로젝트에 박차를 가하는 등 인도에 건설 붐이 일어나기 시작한 적절한 시기에 공략함.

     

□ JCB의 인도 시장 진출 성공전략

     

 ○ 현장 방문을 통한 시장흐름 파악 및 과감한 투자

  - JCB는 인도 시장을 이해하기 위해 CEO, 최고경영진 등 주요 인사들이 직접 현장을 방문하여 현지 시장을 조사함.

  - 이를 통해 JCB는 인도 건설장비 시장이 점유율 기준 세계 30위에 달한다는 것을 파악하고 경쟁사들이 대인도 투자를 망설이고 있는 시점에 선도적으로 대인도 투자를 시작해야 한다는 결론을 내림.     

  - JCB는 2008년 미국발 글로벌 금융위기가 발생한 여파로 대부분 기업들이 대인도 투자를 축소할 때에도 인도 제조업 및 설비자본 투자 프로그램에 1억 불 규모의 과감한 투자를 감행하여 수요가 회복되었을 때 업계 리더로서의 자리를 공고히 할 수 있었음.

     

 ○ 인도 시장 맞춤형 제품 확대

  - 경쟁사들이 최첨단 모델 도입에 집중한 반면 JCB는 인도인들의 입맛에 맞춰 다목적으로 쓸 수 있는 굴착기 개발에 집중함.

  - 또한 인도의 굴삭기 운전기사들의 보수가 시간별로 주어진다는 점에 착안하여 ‘Economy’와 ‘Power’모드를 탑재함. 굴삭기 운전사이 연료 효율성을 높여 일을 할 것인지 생산성을 높여 일을 할 것인지 고를 수 있게 하는 등 인도 시장 맞춤형 모델 21개를 출시하며 시장 장악함.

     

 ○ 인도 현지 제조 및 제조 역량에 따른 현실적인 목표 설정

  - JCB는 인도 시장이 가격에 민감함을 파악하고 가격경쟁력 제고를 위해 1980년 Ballabgrah 지역에 첫 인도 현지 공장을 설립하고 국내 제조를 실시함.     

  - JCB는 인도 제조 역량을 파악하기 위해 Honda, Tata 및 LG와 같은 대규모 공장을 집중적으로 방문조사하였으며 인도의 제조 역량이 영국보다 더 뛰어나다는 것을 발견함.

  - 이에 따라 2006년 JCB는 기존 하루 15대 생산량을 50대로 확장시키는 “Project 50"를 실행한 후 긍정적인 시장 반응을 토대로 프로젝트 수행 8개월 만에 하루 생산량을 100대로 확장시키는 ”Project 100"을 연이어 완수시키는 등 생산량을 확대함.

     

 ○ 판매 네트워크 및 브랜드 이미지 구축

  - JCB는 잘 만든 제품은 성공의 반이며 나머지 절반은 판매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한 고객 서비스에 있다는 강한 신념이 있었음.

  - JCB는 인도 전역에 총 대리점 57개, 서비스센터 430개를 구축하고 숙련된 글로벌 서비스 엔지니어들을 유치하여 판매 네트워크를 구축하기 위해 노력하였으며 연간 100여 건의 고객만족 행사 및 홍보행사를 개최함.

  - 또한 JCB는 타 경쟁사들과 다르게 고객만족 행사와 홍보행사 이외에 언론 채널을 통한 브랜드 이미지 구축 등 마케팅에도 투자하여 JCB 제품을 구매하는 것이 하나의 ‘열망’이 되도록 유도함.

     

JCB 및 경쟁사 인도 네트워크 비교

 

JCB

Caterpillar

Komatsu

Volvo

대리점 (개)

57

2

25

12

서비스센터 (개)

430

112

54

30

 

 ○ 합작투자 및 전략적 파트너십을 통한 시장 진출

  - JCB는 초기 인도 기업 Escorts와의 합작투자로 40%의 지분을 가지고 인도 시장에 진출했으며 이는 JCB의 현지화에 크게 기여함.

  - 시간이 지나면서 양사의 전략적 목표가 불일치하고 인도의 투자법규가 완화되자 JCB사는 Escorts사의 주식을 모두 사들여 100% 자회사로 인수하였고 인수 후에도 Escorts사에 자율권을 부여함.

     

 ○ 자율 리더십 강화

  - JCB는 ‘기업가 리더십 팀’을 만들고 그들에게 지역적 감각에 기초하여 경영활동을 하도록 자율권 부여함.

  - 인도법인 CEO Sondhi는 강력한 지역 자체 책임제 하에 인도 사업에 대한 모든 책임을 지고 글로벌 CEO Blake에게 직접 보고하며 영업 의사결정의 70%를 지역기반으로 결정함.

     

 ○ 인도를 글로벌 제품, 서비스, 인력 양성을 위한 전초기지로 양성

  - JCB는 노동력이 싼 인도를 부품 및 장비의 제조, 수출기지로 삼으면서 상당한 글로벌 비용 우위를 점하고 있으며 대규모 엔지니어링 센터를 건립하여 글로벌 리더 및 젊은 핵심인재를 양성 및 배출함.

     

□ 시사점 및 전망

     

 ○ JCB가 인도 시장 선점 효과를 통해 메이저 글로벌 기업들을 제치고 업계 1위를 달리고 있음.

  - 이와 유사한 사례로 일본 전자제품 기업들이 90년대 중반 대인도 시장을 소홀히 할 당시 우리 기업인 삼성전자와 LG전자는 인도 시장을 성공적으로 공략함.

  - 일본 전자제품 기업들은 인도 시장 권토중래를 위해 공격적으로 투자를 확대하고 있으나 아직까지는 우리 기업들끼리 점유율 1, 2위를 다투고 있음.

     

 ○ 주요 글로벌 기업들이 인도에 앞다퉈 R&D센터를 건립하고 인도 특화 모델을 지속적으로 개발하고 있음. 단순히 수출에 의존하기보다 현지화를 위한 투자를 병행하는 것이 권고됨.

     

 ○ 마이크로소프트(MS)와 미국 엔진업체 커민스의 인도법인 회장을 지낸 Ravi Venkatesan는 저서 “Conquering the Chaos”를 통해 다국적 기업들조차 무질서하고 까다롭다고 불평하는 인도 시장에서 현지화에 성공한 전략이라면 어떤 신흥시장에서도 통할 수 있다며 ‘인도에서 승리하면 어디서나 이긴다.’라고 함.

  - 인도 시장이 결코 만만치 않지만 인도 시장에서도 성공할 정도의 훌륭한 전략을 수행하여 이를 글로벌 시장에서도 동시에 활용할 수 있는 부가 효과도 발생할 수 있음.

     

     

자료원 : Ravi Venkatesan의 “Conquering the Chaos”, 뉴델리무역관 의견 종합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425 인도네시아산림자원 file kimswed 34617 2014.11.24
424 말레이시아세탁서비스업 file kimswed 12269 2014.11.24
423 김문영의 인도경제, 인도상인 이야기(22) kimswed 7661 2022.10.15
422 FTA 활용 성공 사례 동충하초 kimswed 7659 2022.07.26
421 김문영의 인도경제, 인도상인 이야기(23) kimswed 7611 2022.10.28
420 김문영의 인도경제, 인도상인 이야기(21) kimswed 7605 2022.10.01
419 중국 소비시장의 돌파구, 야간경제 kimswed 7601 2022.10.08
418 김문영의 인도경제, 인도상인 이야기(20) kimswed 7593 2022.09.16
417 김문영의 인도경제, 인도상인 이야기(17) kimswed 7581 2022.08.06
416 박승찬의 차이나 포커스] (3) kimswed 7572 2022.10.13
415 김문영의 인도경제, 인도상인 이야기(19) kimswed 7560 2022.09.02
414 김문영의 인도경제, 인도상인 이야기(16) kimswed 7548 2022.07.04
413 김문영의 인도경제, 인도상인 이야기(18) kimswed 7534 2022.08.20
412 현직 CEO가 전하는 ‘슬기로운 직장생활’ (14) kimswed 7527 2022.07.21
411 김문영의 인도경제, 인도상인 이야기(14] kimswed 7502 2022.06.07
410 중국 유니콘 이야기 제1화 더우인 kimswed 7497 2022.06.04
409 급변하는 중국 3대 서비스 시장 kimswed 7488 2022.09.16
408 김문영의 인도경제, 인도상인 이야기(24) kimswed 7468 2022.11.12
407 현직 CEO가 전하는 ‘슬기로운 직장생활’(12) kimswed 7465 2022.07.02
406 김문영의 인도경제, 인도상인 이야기(15 kimswed 7463 2022.06.17
405 현직 CEO가 전하는 ‘슬기로운 직장생활’] (11) kimswed 7456 2022.06.29
404 중국 Z세대의 소비트렌드와 대응전략 kimswed 7452 2022.05.30
403 김문영의 인도경제, 인도상인 이야기(13] kimswed 7451 2022.05.21
402 B/L 발급 지연, 언제까지 이대로 둘 것인가 kimswed 7419 2022.11.10
401 샐러리맨 30년 현직 CEO가 전하는 ‘슬기로운 직장생활’ (4) kimswed 7333 2022.05.09
400 샐러리맨 30년 현직 ‘슬기로운 직장생활’] (6) kimswed 7327 2022.05.20
399 샐러리맨 30년 현직 CEO가 전하는 ‘슬기로운 직장생활’] (5) kimswed 7318 2022.05.16
398 김문영의 인도경제, 인도상인 이야기(12 kimswed 7208 2022.05.07
397 현직 CEO가 전하는 ‘슬기로운 직장생활’ (3) kimswed 6989 2022.04.30
396 박승찬의 차이나 포커스(6) kimswed 6734 2022.11.27
395 김문영의 인도경제, 인도상인 이야기(25) kimswed 6364 2022.12.03
394 호치민코트라 file kimswed 6341 2009.01.05
393 김문영의 인도경제, 인도상인 이야기(11) kimswed 6163 2022.04.23
392 박승찬의 차이나 포커스(7) kimswed 5973 2022.12.13
391 정병도 웰마크 사장의 글로벌 비즈니스 비망록(9) kimswed 5680 2022.04.09
390 KCTC / 주월대사 file kimswed 4922 2009.01.09
389 글로벌 인플레이션 상승 압력, 추가 원화 약세 kimswed 4909 2022.04.06
388 롯데베트남 file kimswed 4777 2009.01.04
387 박승찬의 차이나 포커스(8) kimswed 4750 2022.12.28
386 로고스법무법인 file kimswed 4701 2009.0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