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장하는 러시아 화장품 시장

kimswed 2019.10.21 06:12 조회 수 : 105

extra_vars1  
extra_vars2  

한국무역협회는 지난 10월 8일부터 11일까지 러시아 모스크바와 폴란드 바르샤바로 ‘유라시아 무역사절단’을 파견했다. 사절단에는 국내 수출기업 18개사가 참가했다. 그중 15개사는 화장품 업체였다.

러시아에서는 현지 바이어 50여 업체와 국내 기업 간 135건의 1대1 상담을 진행하고, 현지에서 활동 중인 법률·회계·물류·뷰티 등 분야별 전문가 9명을 초청해 사절단 참가 기업들과 네트워킹 만찬을 개최하며 러시아 시장 진출 노하우를 공유했다. 그중 전명수 블라디보스토크 국립 경제서비스대학교 교수를 만나 이야기를 들었다.

전 교수의 말에 따르면 2014년부터 러시아 시장은 화장품 업계의 새로운 수출시장으로 부상하고 있다. 현재 러시아 화장품 시장은 전 세계의 2%를 차지하고 있으며, 소비자들은 소득의 10%를 화장품을 구매하는 데 사용한다. 다른 국가들에 비해 소득수준 대비 화장품 구매비중이 높은 편이다.

또한 전체 시장의 70%를 수입산이 차지하고 있는데, 보통 유럽산 화장품이 고급제품으로, 아시아산이 중고가 제품으로 포지셔닝돼있다. 그러나 서방의 대러제재가 지속되며 유럽산의 지명도가 낮아지는 추세며, 대체 제품으로 대만, 일본, 한국산이 지속적으로 유입되고 있다.

한국 화장품업계의 꾸준한 마케팅 활동 전개로 러시아 소비자들에게 한국 화장품은 품질이 우수하면서도 가격경쟁력이 높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미 진출한 업체에겐 시장에서 자리 잡을 수 있는 기회가, 신규 진출 업체에게는 틈새시장을 노려 진출할 기회가 찾아온 셈이다.

러시아에서 화장품 시장은 가장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산업 중 하나다. 연평균 5~10% 꾸준히 성장하고 있다. 또한 과거 색조화장품 중심으로 형성되던 시장은 점차 건강한 피부 관리의 중요성이 대두되며 고객이 직접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스킨케어 제품 위주로 변화했다. 피부과 화장품 등 전문화장품군의 선호도가 증가함에 따라 보급형 고급 상품 전략도 고려해볼 만하다.

유통에도 변화가 생겼다. 과거에는 수입상과 도소매상이 별도로 존재했다면, 최근에는 수입상이 소비자 니즈에 따라 소매유통까지 팔을 뻗는 모양새다. 이러한 흐름에 따라 전 교수는 향후 러시아 화장품 시장이 수입상이 직접 수입 및 도소매까지 아우르는 시장 형태로 전환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중개유통보다는 해외 직수입·온라인 거래가 확대될 것이라고도 덧붙였다.

그러나 아직까지 러시아는 국내 화장품 업계의 주요 5대 수출국에 포함되지 않는 상황이다. 주요 5대 수출국은 중국, 홍콩, 미국, 대만, 일본이다. 러시아는 최근 들어 10대 수출국으로 진입하며 존재감을 키우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전 교수는 제조와 유통마케팅이 결합한 새로운 패러다임을 러시아 사업에 적용해야 한다고 전했다. 단순 트레이딩만을 통한 대러 사업은 한계 국면에 달해 더 이상 승산이 없을 것이라는 설명이다. 시장에서 어느 정도 반응이 온다면 현지 사업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러시아로 ‘더 깊이’ 들어가야 한다.

현지 기업과 동등한 위치에서 경쟁을 하기 위해서는 단독 출자 법인 형태로 현지에 회사를 세워야 한다. 그러나 이를 거창하게 생각할 필요는 없다. 제조과정 첫 단계부터 사업 마지막 단계까지 러시아에서 이뤄져야 하는 것은 아니란 말이다. 반제품을 러시아로 수출한 후, 러시아 현지 공장에서는 고부가가치 임가공만 거치면 된다. 이럴 경우 관세 등에서 혜택을 볼 수 있게 된다.

또 한 가지 중요한 포인트는 자사만의 서비스 매뉴얼을 만들어 제조와 서비스를 연계하는 데에 있다. 제품을 ‘메이드 인 러시아’로 만드는 데에 그치는 것이 아닌, 주도적인 유통마케팅 전개로 고객 니즈 이해도를 높여야 한다. 트렌드를 읽고, CS나 연락사무소 등의 역할을 수행할 현지 회사가 필요하다.

전 교수는 “먼저 소규모 투자를 통해 사업을 직접 경험해 보는 것”을 추천했다. 러시아에서의 통관, 세무, 마케팅 등은 한국과 또 달라서 경험해보지 않고서는 알 수 없는 부분이 많기 때문이다. 이후 점진적으로 사업을 확대해도 늦지 않다.

한편, 현재 러시아의 유통 트렌드는 크게 ▷대형화 ▷전자상거래 활성화 ▷PB 등 저가 유통시장 활황 세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구매력 감소로 인해 하향 소비가 확산되고 저가제품이 유입되면서 생겨난 트렌드다.

먼저, 소규모 상점이 감소하고 대량 구매를 통해 가격을 파괴할 수 있는 대형 유통체인이 많아지고 있다. 합리적인 가격대를 찾아 온라인 쇼핑 선호도가 증가하고 있으며, 수입 유통사들도 저가시장을 노린 PB 제품 개발을 확대하고 있다.

특히 전자상거래의 경우 물류, 전자 결제 등 인프라가 발달함에 따라 성장이 계속될 것으로 예견된다. 비싼 물류비용과 배송 불확실성이 점진적으로 해소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정부차원에서도 도로 인프라 확충에 대대적인 투자를 진행하고 있다. 또, 우체국도 서비스 품질 강화 등 물류여건 개선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민간 택배서비스도 점차 활성화되는 추세다.

아직까지는 전자결제 시스템이 미흡해 상품인도결제(Cash on Delivery) 방식이 권장되지만 최근 전자결제서비스가 출시되며 직불 및 신용카드 사용도 확대되고 있다.

전자상거래 시장은 향후 5년간 연평균 18.5%의 성장세를 기록하며 2023년에는 시장규모가 2조6000억 루블에 달할 전망이다. 우리 기업들이 초기에 진출해 시장을 선점할 수 있는 가능성이 엿보인다.

 



민유정 기자 wtrade07@gmail.com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144 알렌 정의 마케팅 강의(52)] 고객 생애 가치(CLV) kimswed 156 2019.10.28
143 한국 농산물 중국 수출의 물꼬가 터졌다 kimswed 156 2020.10.29
142 한류에만 의존해 아세안 시장 공략하는 데엔 한계 kimswed 156 2019.02.22
141 서른 살 ‘지우링허우’ 대상 마케팅 포인트 kimswed 155 2019.12.09
140 FTA 활용 성공 사례] 샌드브라스트기계 kimswed 155 2020.07.16
139 대중 수출 1679품목 관세 완전 철폐 kimswed 153 2019.01.04
138 중국 식품시장에 성공적으로 진입하는 방법 kimswed 151 2019.03.08
137 GS이니마 kimswed 148 2022.02.09
136 화장품 중문 별명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하) kimswed 147 2021.06.14
135 중국 비즈니스 씨트립의 낯선 두 얼굴 kimswed 146 2019.02.02
134 현대 중국을 파악하는 키워드 kimswed 144 2018.12.30
133 중국 토지제도의 함정을 조심하라 kimswed 144 2019.07.09
132 모잠비크 시장 kimswed 141 2019.03.04
131 변화에 빠지고 개선에 美쳐라 kimswed 141 2019.09.09
130 충북기업 세계로 날다 농업회사법인 씨알에프앤씨 kimswed 141 2020.10.06
129 상기하자 ‘동아시아 국제분업구조 kimswed 141 2019.02.23
128 오스템의 ‘페인 포인트’ 전략 kimswed 140 2021.12.13
127 중국의 ‘라마’와 ‘따마’를 잡아라 kimswed 139 2020.03.05
126 중국 비즈니스 가야할 때가 언제인가 kimswed 139 2019.02.28
125 동남아에서 K-헬스제품 인기 kimswed 139 2021.12.30
124 중국 비즈니스의 정답과 해답 kimswed 137 2020.09.11
123 12월 1일 발효 중국 수출통제법 kimswed 137 2020.11.01
122 충북기업 승현기업 kimswed 136 2020.11.24
121 중국은 지역별로 통관방식과 절차가 다른가요? kimswed 132 2020.01.02
120 중국인은 흥부와 놀부를 모른다 kimswed 132 2019.12.18
119 중국 내수시장을 가위질하라(3) kimswed 130 2019.10.16
118 중국 콘텐츠 마케팅 kimswed 127 2019.10.11
117 투자장벽’ 완화… 몸 낮추는 중국 kimswed 124 2019.08.06
116 고정관념(stereotypic image)을 선점하라 kimswed 123 2019.08.10
115 ㈜리틀캣 kimswed 123 2021.03.24
114 FTA 활용 성공 사례 인스턴트커피 kimswed 121 2020.09.29
113 중국사업 리스크를 보는 방법(2) kimswed 119 2020.05.23
112 이재용 "베트남, 기업에 귀 기울이는 나라…투자·사업 확대 kimswed 118 2018.11.01
111 중국사업, 국가표준(GB)에 익숙해져야 한다(2) kimswed 118 2020.10.25
110 중국에도 지역감정이 있을까? kimswed 114 2020.05.01
109 CJ CGV 인도네시아 kimswed 114 2020.07.30
108 베트남에 화장품을 수출할 때 kimswed 112 2020.07.06
107 전파력이 강한 브랜드 별명을 지어라 kimswed 112 2021.05.17
106 어글리 슈즈’의 인기 비결 kimswed 110 2021.07.08
» 성장하는 러시아 화장품 시장 kimswed 105 2019.1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