팬시제품 유럽수출 때 CE 인증

kimswed 2021.06.23 06:41 조회 수 : 77

 

“문구 팬시 제품에 해당하는 다이어리나 노트 그 외 달력 등을 유럽으로 수출하려고 합니다. 유럽 수출시 CE 인증을 받아야 한다고 하는데 어떻게 인증을 받아야 하는지 문의 드립니다. 또한 포장재에 대해서도 CE를 받아야 한다고 하는데 그게 맞는 건가요?” S사가 한국무역협회 Trade SOS에 문의한 내용이다.

 

 


 


문구용품은 유아용이나 특수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제품이 아닌 이상, EU 회원국에서는 대부분 소비자 제품 즉, 공산품 등에 대해 요구되는 특정한 의무사항의 강제 인증이 없다.

 

하지만 일반 소비자 제품으로 판매할 경우에 적용되는 일반제품의 경우 별도 자율 규정이 있다. 그것을 GPSD(General Produt Safety Directive)라고 한다.


일반제품 안전규제는 국가별로 관할기관에서 시장 감시가 이루어진다. 이때 당국으로부터 제품에 대해 위반한 사항이 있어 적발될 경우 처벌이 엄격하게 이루어지므로 ‘사후(Post) 인증’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수출업체는 제품에 내재된 소재로 인한 위험성에 대한 안전규격을 검토하고 관련 규격 시험 성적서를 항시 보유하도록 권장하고 있다.


한편, 유럽연합에서는 식품, 화장품, 의료기기, 의약품에 대해서는 CE 규정이 별도로 존재한다.


컨설팅 내용을 요약하면, 소비자가 사용하는 제품이기는 하지만 사용 목적 등이 섭취하거나 치료 등의 성격과 다른 품목 등에 대해서는 모든 소비자 제품의 제조자 및 수입자가 그 제품에 대한 안전성을 보증해야 할 의무를 자율적으로 부여하고 있다.

 

다른 규정과 달리 이러한 제품들은 CE 인증마크가 제품에 반드시 부착되지 않아도 되며 DoC(Declaration of Conformity) 자가선언서 인증을 취득하거나 또는 부품이나 소재 등에 대해서 3자 시험소에서의 시험도 요구되지 않으며 자체 평가가 가능하다.


유럽연합에서는 시장 감시 프로그램을 통해 시중에 유통되는 제품들 중 안전성에 문제가 있는 제품을 적발 및 관리하고 있다. 제조자에게는 안전한 제품을 시판해야 할 의무가 있으며 유럽 내 업체가 아닌 경우 EU 내에 지정된 대리점 또는 수입업자에게 이 의무가 적용되므로 수출시 유럽 내에 RP(Representative Person) 대리자를 지정해야 한다.


또한 당국으로부터 시장 감시 프로그램을 통해 만일 안전성에 문제가 있다고 확인된 제품을 생산하는 제조업체 또는 현지 유통업체는 당국에 제조유통공정에 대한 추적관리제도를 신고해야하며 제품에 대해 위해한 사항이 있는지의 여부 등에 대해 관련 시험성적서 등을 제출하여 소명해야 한다.

 

*Reference: European Commission > General Product Safety Directive(GPSD)
https://ec.europa.eu/info/business-economy-euro/product-safety-and-requirements/product-safety/product-safety-rules_en
*Reference: 일반제품안전지침 (Directive 2001/95/EC)

 

S사가 문의한 문구 팬시제품에 해당하는 다이어리나 노트 그 외 달력 등은 아기자기한 디자인과 색감 소재 등이 유럽 내에서 인기가 높은 만큼 수출이 많다.

 

수출 시 특별히 요구되는 인증은 없지만 일반제품안전지침(GPSD)을 준수하기 위해 제조자는 테스트를 통해 제품과 관련한 위험성 평가 문서 및 제품의 안전성을 확인할 수 있는 시험성적서를 매 생산 로트마다 보유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국내 문구 팬시 시장이 중국산 값싼 제품으로 가격경쟁력을 많이 잃었지만 유럽 내에서는 Made in Korea 제품을 특히 선호하는 경향이 있으며 한류 등의 영향으로 제품을 요구하는 현지 유럽인들이 많다. 별도 식품이나 화장품 또는 의료기기, 의약품처럼 까다로운 인증이 없는 만큼 자율적인 규제 안에서 안전하게 수출이 많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한국무역협회 회원서비스실 제공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2 바이어 LDP 거래조건을 제시하는데 file kimswed 2016.07.07 690
51 인도수출 때 바이어가 요구하는 FORM 10F와 TRC kimswed 2021.02.06 741
50 중국 선물문화와 비즈니스 kimswed 2018.12.21 796
49 VMI거래가 무엇인가요? file kimswed 2016.07.12 805
48 수입품 원산지증명서 상 HS 코드가 실제와 다른데 kimswed 2018.08.11 810
47 현지 해외 업체와 클레임 금액을 상계처리 kimswed 2016.11.09 867
46 재수입 시 관세 추징 후 재수입 면세 가능? file kimswed 2016.07.09 899
45 계약서에 분쟁해결 관할지와 준거법 kimswed 2018.10.13 1078
44 수출을 했는데 실적을 인정받지 못하고 file kimswed 2018.06.17 1138
43 중계무역을 하는 경우 절차 및 서류작성방법 kimswed 2019.10.21 1202
42 운송업체가 OBL 분실? file kimswed 2016.07.12 1219
41 기업이 자사 수출실적 정보 조회·관리·전송 kimswed 2023.03.11 1287
40 BWT 조건 방식으로 수출 kimswed 2016.11.17 1298
39 관세청 신고 선기적일과 BL kimswed 2018.07.01 1574
38 중재를 통한 성공적인 무역분쟁 해결사례 file kimswed 2016.07.12 1708
37 이메일․금품수수 등 무역사기 수법 kimswed 2023.02.28 1808
36 무역사기 주요 패턴으로 알아보는 피해방지법 kimswed 2023.03.07 1819
35 코로나19 장기화에 비대면 무역 사기 기승 kimswed 2021.08.04 2273
34 태국서 제조하는 용기의 구매비용 처리는? file kimswed 2016.07.11 3219
33 과도한 규제와 인허가 절차, 글로벌 기준으로 개선 kimswed 2023.01.21 3488
32 한-중 FTA 원산지증명서 발급 절차와 소요기간은? kimswed 2021.08.14 3919
31 하자로 인한 반품 시 상계처리는 file kimswed 2016.07.13 4688
30 B/L 등 무역서류 실시간 공유 kimswed 2022.12.22 4977
29 바이어가 한-중 FTA 원산지증명서 정정 발급을 요청 kimswed 2021.08.14 5288
28 개정된 베트남 수출입 세법에서 주의 kimswed 2021.09.03 5631
27 선진국과 거래할 때도 무역사기 주의해야 kimswed 2021.08.20 5852
26 한-아세안 FTA에서 ‘민감품목 kimswed 2021.09.03 6327
25 중소기업, 바이어 명의도용 무역 사기 kimswed 2021.10.15 6606
24 인도에서 OEM 제조해 벨라루스로 수출할 때 kimswed 2021.09.23 6651
23 베트남 바이어가 VMI(공급자 주도형 재고관리) 시스템을 요구 kimswed 2021.09.22 67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