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입절차

 

images (3).jpg

 

 

 

답변:


LED조명 및 디스플레이 개발 및 생산기업 B사는 미국 현지 에이전트를 통해 LED 튜브 제품 및 구매입찰에 참가해 1차로 선정이 됐다. 미국 본사에서 직접 B사를 방문해 상담이 진행되면서 바이어측에서 최종 ‘제조물책임보험’ 가입을 전제로 입찰에 응찰할 수 있다는 조건이었다. ‘제조물책임보험’이 생소한 B사는 한국무역협회 Trade SOS에 도움을 요청했다.


제조물 책임은 제품의 결함으로 발생하는 인적·물적·정신적 피해까지 공급자가 부담하는 손해배상제도이다. 제품을 사용하다 피해를 입은 경우 제조자의 고의나 과실유무를 고객(소비자)이 입증을 해야만 배상을 받을 수 있었으나 PL법이 제정된 후부터는 제조자의 고의나 과실이라는 사실을 피해자(소비자)가 입증할 필요가 없으며 오직 제품이 결함이 있었다는 객관적인 사실만 입증되면 배상을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B사가 공급한 LED 튜브가 폭발사고로 피해를 배상 받으려면 소비자가 제조업자의 과실을 입증해야 하지만, 제조물 책임에서는 제조물의 결함만 입증되면 B사가 무거운 배상책임을 지게된다. 다시 말해 메이커에서 결함상품을 만들지 못하게 무거운 책임을 요구하는 것이다. PL법이 제정될 경우 기업은 새로운 법적인 요구사항을 충족시켜야만 한다.


외국의 경우 제조물책임에 관한 소송의 경우 당해상품의 제조자 뿐만 아니라 수출업자, 판매업자 등 관계자 전원을 피고로 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현지생산의 경우는 물론 수출거래의 경우에도 특히 미국에 대한 수출에 있어서는 PL보험은 적하보험과 마찬가지로 필수적인 제도라고 할 수 있다.


수출상품에 관한 PL보험은 우리나라에서 인수될 때에도 통상 영문증권이 발행되지만 이 보험은 소비자가 그 제품의 사용, 소비에 있어서 입은 생명, 신체 및 재산상의 손해에 관해 피보험자가 법적 배상책임을 부담해 입은 손해를 전보함과 아울러 피보험자에 대해 제기된 소송에 대한 방어기능을 갖는 책임보험의 일종이다.


이 보험의 피보험자는 수출제품에 있어서는 우리나라의 메이커, 수출업자이고 이들이 보험증권상의 기명피보험자가 된다. 그밖에 현지의 딜러, 디스트리뷰터, 소매점 등 이른바 벤더가 추가피보험자가 되는 경우가 많다. 특히 미국에서는 이들 벤더가 자국에 수입되는 제품을 취급함에 있어서 메이커나 수출업자에 대해 당해제품에 관한 PL보험의 부보와 스스로를 그 보험계약의 추가피보험자로 할 것을 요구함이 상례이다. 또 외국에 현지법인이 있는 경우 보험가입에 관한 규제가 따르고 세법상으로도 관련될 뿐만 아니라 당해 현지법인이 반드시 우리나라 친회사의 제품만을 취급하는데 그치지 않고 다른 생산자의 제품도 거래할 수 있기 때문에 이 현지법인도 원칙상 해외에서 보험에 가입할 필요가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그러한 준비과정은 짧고 기업측의 인식도 부족한 사항이기 때문에 PL법 제정과 시행에 대응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대기업의 경우 수출품에 대해 이미 외국의 PL법 내용을 파악하고 이에 대응해 제품을 생산하고 있기 때문에 큰 무리는 없으나 내수를 중심으로 하는 대부분의 중소기업은 그 내용도, 필요성도 인식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B사는 제조물책임보험에 대한 이해와 동시에 바이어가 요구하는 PL 요청에 신속히 대응할 수 있게 되어 현재 입찰에 성공해 계약을 추진 중에 있다.

 

강동우 전문위원
<주간무역> 제공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1 ‘Escalation Clause (물가 연동 조항)’이 왜 필요한가 kimswed 2021.12.14 6783
20 미국과 일본시장 진출 때 필요한 자전거용 헬멧 kimswed 2021.11.09 6794
19 무역사기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확인해 볼 3가지 kimswed 2022.01.19 6805
18 기능성 샴푸를 사우디에 수출할 때 kimswed 2021.11.28 6812
17 싱가포르에 압력용기를 수출할 때 MOM Certificate kimswed 2021.11.05 6832
16 사례로 보는 터키발 무역 사기 kimswed 2022.01.19 6836
15 합성목재 제품을 미국으로 수출할 때 kimswed 2021.11.15 6838
14 인도네시아 조인트벤처(JV) 설립계약서 작성할 때 주의 kimswed 2022.01.01 6880
13 국내 보세구역에 납품했을 때 수출실적 인정 kimswed 2021.12.06 6882
12 의료기기를 러시아에 수출할 때 kimswed 2022.02.07 6899
11 신용장 조건에 국제 금융제재 관련 불합리한 문구 kimswed 2022.01.23 6916
10 수입사의 선수금 반환보증서(AP Bond) 발행 능력 부족 kimswed 2021.11.01 6938
9 해외지사에서 본사 수출대금을 수령할 수 있나 kimswed 2022.02.02 7006
8 관세와 관련해 초보무역인이 알아야 할 것 kimswed 2022.05.14 7016
7 국제계약서 작성 시 준거법 및 관할권 설정 kimswed 2021.11.02 7060
6 왕초보 무역 해상운송에서의 수입물류 프로세스 kimswed 2022.04.18 7124
5 중개무역 관련 계약서 작성 요령과 유의사항 kimswed 2022.01.30 7238
4 브렉시트에 따른 영국인증 UKCA kimswed 2022.02.15 7396
3 신용장 거래 시 발생한 하자 및 지급거절(unpaid) kimswed 2022.02.21 7546
2 금 수입절차 및 유의점에 대해 알려달라 kimswed 2021.09.07 8307
1 위탁판매방식으로 화장품을 수출 kimswed 2016.11.10 117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