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사는 중국으로부터 남녀 의류를 수입하는 업체다. 이번에 남성용 실크 셔츠를 수입하려고 한다. A사는 해당 물품에 대해 아·태협정(APTA)에 따른 관세가 기본세율보다 낮다는 것을 알고 중국의 수출자에게 APTA 원산지증명서를 요청했다. 그런데 중국의 수출자가 송부한 APTA 원산지증명서를 확인해보니 Tariff Item No.에 기재된 HS CODE가 실제 수입물품의 HS CODE와 다른 것을 발견했다. A사는 이처럼 원산지증명서의 HS CODE와 수입물품의 HS CODE가 다른 경우에도 APTA 양허세율의 적용이 가능한지 한국무역협회 Trade SOS에 문의했다.

 

남성용의 실크 셔츠(HS CODE 제6205.90-1000호)의 경우 기본관세가 13%이지만 아∙태협정(APTA) 양허관세는 11.5%이므로 APTA 원산지증명서를 제출하는 경우 양허관세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중국의 수출자가 제공한 APTA 원산지증명서에는 수입물품의 HS CODE인 제6205호가 아닌 다른 HS CODE가 기재되어 있었고, 기타의 내용(품명 및 포장수량, 물품수량, 상업송장 번호 및 발급일자 등)은 모두 INVOICE 및 PACKING LIST와 동일하게 정확히 기재되어 있었다. 이렇듯 원산지증명서상의 HS CODE가 수입물품의 HS CODE와 다른 경우는 HS CODE가 원산지증명서의 필수항목인지 여부에 따라 그 처리절차가 달라진다.


예컨대, 한-EU FTA, 한-EFTA FTA, 한-터키 FTA, 한-페루 FTA의 경우에는  HS CODE가 원산지증명서의 항목이 아니며, 원산지증명서상의 HS CODE와 무관하게 협정관세 적용이 가능하다. 그러나 한-아세안 FTA, 한-미 FTA 등과 같이 HS CODE가 원산지증명서의 필수항목인 경우에는 원산지증명서상의 HS CODE에 따른 원산지결정기준을 확인하여 달리 처리하게 된다.


만일, 원산지증명서의 HS CODE에 따른 원산지결정기준이 수입신고서의 HS CODE에 따른 원산지결정기준에 충족하는 경우라면 협정관세 적용이 가능하다. 반면, 원산지증명서상의 HS CODE에 따른 원산지결정기준이 수입물품의 HS CODE에 따른 원산지결정기준에 불충족하거나 충족여부를 확인할 수 없는 경우에는 통관단계에서는 특혜관세 적용하거나 또는 특혜관세 적용 처리 후 검증의뢰를 하게 된다. 이 때 처리방법에 있어 특혜관세를 적용하는지, 특혜관세 적용 후 검증의뢰를 하는지는 원산지증명서 또는 수입신고서상의 HS CODE에 따른 원산지결정기준이 무엇인지에 따라 달라지므로 자세한 것은 ‘품목분류번호 해석 상이 등에 따른 업무처리 지침’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


APTA 원산지증명의 경우 최빈개발도상국 일반특혜관세, 개발도상국간 특혜무역제도의 양허관세(GSTP), 세계무역기구협정 개발도상국간의 양허관세(TNDC)와 함께 원산지결정기준에 세번변경기준이 적용되지 않는 경우이다.


APTA 원산지증명서의 8란에는 ‘원산지결정기준’을 기재하게 되는 바, 수출참가국에서 완전히 생산되거나 획득된 물품은 ‘A’로, 비참가국에서 생산되거나 원산지가 불분명한 원료·부품 또는 제품 가격을 모두 합친 금액이 최종 생산품 또는 획득품의 본선인도가격의 100분의 55 이하이고 수출참가국의 영역 내에서 최종 제조공정이 이루어진 물품은 ‘B’로, 해당 참가국들에 의하여 생산된 총 부가가치가 최종 생산품 본선인도가격의 100분의 60 이상을 차지하는 경우 에는 ‘C‘로 기재하게 된다. 즉, APTA 원산지결정기준은 완전생산 또는 수출국에서 일정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경우 원산지로 인정하게 되며, 역내부가가치 기준에 충족하면 원산지제품에 해당하므로 비록 원산지증명서상의 HS CODE와 수입물품의 HS CODE가 다른 경우라 하더라도 특혜관세를 적용받을 수 있는 것이다.


수입자인 A사는 중국의 수출자로부터 정정된 APTA 원산지증명서를 다시 받아야 하는 경우 통관지연 및 비용 부담을 져야 했다. 하지만 수입관련 선적서류를 모두 확인하여 보니 HS CODE를 제외한 기타의 사항은 모두 상업서류의 내용과 동일하게 정확히 기재된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수출자로부터 재발급된 원산지증명서를 받지 않고 APTA 양허관세를 적용할 수 있었다.


HS CODE는 수출입 되는 품목에 대하여 관세부과 등을 목적으로 부여한 일련의 번호체계로서 HS 협약에 가입한 국가 간에는 6단위까지는 동일하게 사용한다. 6단위 이하에 대하여는 체약국에서 추가로 부여할 수 있으며 우리나라의 경우 10단위 HS CODE를 사용한다. 하나의 품목에 대하여 국가별로 다른 HS CODE를 사용하는 것은 자주 있는 일이며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관세청에서는 ‘품목분류번호 해석 상이 등에 따른 업무처리 지침‘을 마련하였으며 해당 내용을 확인하여 FTA 및 일반특혜관세와 관련하여 우리나라와 협정상대국의 HS CODE가 다른 경우에 대해 협정적용 여부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한국무역협회 Trade SOS 제공]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43 베트남에서의 법인 설립 절차 file kimswed 2016.07.15 545
142 선적기한 연장 신청 후 유효기간 이내에 서류를 제출 kimswed 2016.11.09 541
141 3자 무역에서 세금계산서, 인보이스, 수출면장 발급 kimswed 2020.10.15 504
140 인보이스, 수출면장 발급 kimswed 2020.09.12 491
139 바이어의 해외 지사로 대금결제 할 경우 제3자 지급? file kimswed 2016.07.11 488
138 내국신용장(Local L/C)에 대한 모든 것을 알려주마 kimswed 2019.11.03 481
137 수출자가 L/C에 ‘UPAS’라고 표기 kimswed 2020.10.18 481
136 베트남에 화장품 수출 kimswed 2020.11.08 472
135 위탁판매수출에서 매출인식 시점 kimswed 2021.04.28 456
134 신용장 또는 혼합결제방식 수입에서 대금결제 kimswed 2020.10.13 451
133 무역업체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송금방식 결제 kimswed 2019.06.12 437
132 OB/L 재발행 되지 않는다는데 file kimswed 2016.07.25 430
131 VAT 매입세액공제 file kimswed 2016.06.12 427
130 관세 환급을 받을 수 있는지 kimswed 2016.11.10 421
129 해외에서 원재료를 무상으로 받고 국내서 제조해 외국에 수출 kimswed 2016.11.09 420
128 임가공업체가 제조자로 수출신고하고 관세환급? file kimswed 2016.07.05 409
127 재수출면세를 받아 수입한 물품 kimswed 2018.12.30 402
126 바이어 새 계좌번호로 수출대금 송금했는데, '스피어피싱 kimswed 2023.03.28 401
125 해외수리물품의 FTA협정세율 적용되나 file kimswed 2016.06.12 396
124 호주 건축자재 수출 절차 file kimswed 2016.06.12 385
123 재화 수입할 때 부가가치세 납부유예제도 kimswed 2016.11.09 374
122 ‘Credit Note’를 통한 상계 처리는 어떻게? kimswed 2020.09.29 372
121 농산물에 대한 원산지확인서 발급 file kimswed 2016.07.16 370
120 초보기업을 위한 수출절차는? file kimswed 2016.07.13 357
119 개인사업자에서 법인사업자 전환? file kimswed 2016.07.05 355
118 해외 임가공 후 국내 반입 때 수입세금계산서 kimswed 2021.05.01 353
117 방사기 HS 품목분류 및 수입관세율? file kimswed 2016.07.06 331
116 가공식품을 태국으로 수출할 때 필요한 정보 kimswed 2021.06.23 322
115 세라믹 코팅 와이어 품목분류는? file kimswed 2016.07.11 306
114 상표권 사용료, 관세평가상 과세요건에 해당되나 kimswed 2018.05.28 3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