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사는 중국 바이어로부터 FTA 적용을 위한 원산지증명서 발급을 요청받았다. 그러나 이미 제품을 선적한 지 1개월가량 지난 때여서 사후에 발급을 받을 수 있는지, 받을 수 있다면 어디에서 어떻게 발급신청을 하는지 한국무역협회 Trade SOS에 문의했다.

 



‘원산지(Country of Origin)’란 수출입 물품의 국적을 의미한다. 해당물품이 성장했거나 생산·제조·가공되었거나, 2개국 이상에 걸쳐 생산·가공 또는 제조된 경우에는 그 물품의 본질적 특성을 부여하기에 충분한 정도의 실질적인 생산·가공·제조 과정이 최종적으로 수행된 나라를 말한다.

 


‘FTA 원산지증명서(Certificate of Origin, 이하 ’FTA C/O’)’란 법, 조약, 협정 등에 따라 원산지 확인이 필요한 물품을 수입하는 자가 해당 물품의 원산지를 증명하기 위해 제출하는 서류를 말한다.


중국으로 수출할 때 발행할 수 있는 원산지증명서(C/O)는 세 종류가 있다. 특혜 C/O는 협정 관세를 적용받기 위하여 발행하는 것으로 FTA 원산지증명서와 APTA(아시아태평양무역협정) 원산지증명서가 있으며, 비특혜 C/O(일반 C/O)는 특혜관세 적용의 혜택은 없으나 한국에서 제조·생산 되었다는 근거로서 발행되고 수입국 현지의 통관자료로 활용된다.<표 참조>

 

[현행 관세법상 발행(적용)되는 원산지증명서]

*GATT 원산지증명서(GATT 개발도상국간 관세양허협정, 세계 무역기구 협정 등에 의한 양허관세), GSTP 원산지증명서(유엔무역개발회의(UNCTAD) 개발도상국 간에 특혜 무역을 제공하는 양허관세), GSP 원산지증명서(최빈개발도상국에 대한 특혜관세, 일반특혜관세) 생략


FTA C/O는 원칙적으로 선적 전, 선적 시 또는 선적일 후 7근무일 이내에 발급한다. 하지만 A사처럼 이 때 발급받지 못한 경우 ‘소급발급’ 신청이 가능하다. 소급 발급 원산지증명서는 “선적일로부터 1년” 이내에 신청하여 발급받아야 하며, 증명서의 제5란에 “ISSUED RETROACTIVELY”라는 문구가 기재되어 출력된다.


이 문구가 기재되는 경우, 중국 수입자가 FTA를 적용하는데 불리하지는 않을까 걱정하는 사람들이 있는데 전혀 그렇지 않다. 이 문구는 원산지증명서의 발급 시기를 확인하기 위하여 기재되는 것으로 수입자가 FTA C/O를 적용받는데 불리함은 없다. 다만, 중국 수입 시 사후적용을 위해 수입통관 시 보충신고서를 작성한 후 사후적용을 하여야 한다.


참고로 수출 진행 전 원산지증명서를 발급받고자 하는 업체들이 있는데, 원산지증명서는 수출 과정 중 언제 신청하여야 할까. 앞서 말한 대로 FTA C/O의 발급시기는 ‘선적전, 선적시, 선직일 후 7일 이내’이며 사후발급도 ‘선적일로부터 1년 이내’로 “선적일”이 기준이 된다. 따라서 선적서류(B/L 및 수출신고필증)가 발행되지 않으면 원산지증명서 신청이 불가능하다. 절차는 ‘수출신고필증 및 B/L 발급→원산지증명서 신청 및 발급’ 순이다.


한편, 중국으로부터 수입할 때 FTA 적용세율보다 기본세율(MFN 세율)을 적용하는 것이 유리한 경우도 있으므로, FTA C/O를 발행하기 전 FTA 실익을 검토한다. 예를 들어 칫솔(HS 9603.21)을 중국에서 수입할 때 기본세율은 8%인데 FTA 세율은 17.5%다. 기본관세가 FTA 협정세율보다 낮으므로, 이 경우는 FTA C/O 발행 실익이 없다. 따라서 일반 수입으로 진행하며 원산지증명서는 발행하지 않는다.

 

 

 

한국무역협회 회원서비스실 제공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3 베트남에서의 법인 설립 절차 file kimswed 2016.07.15 545
52 컨테이너 체화료 문제해결은 file kimswed 2016.07.15 183
51 무역 생초보가 수출을 완료한 비결 file kimswed 2016.07.15 139
50 중국에 회사를 설립할때 kimswed 2016.07.15 116
49 영사관의 계약서 확인이 필요한 이유 file kimswed 2016.07.13 268
48 하자로 인한 반품 시 상계처리는 file kimswed 2016.07.13 4689
47 초보기업을 위한 수출절차는? file kimswed 2016.07.13 357
46 중재를 통한 성공적인 무역분쟁 해결사례 file kimswed 2016.07.12 1727
45 VMI거래가 무엇인가요? file kimswed 2016.07.12 806
44 신용장 결제조건시 유의사항은? file kimswed 2016.07.12 557
43 선하증권발행시 세금계산서발행? file kimswed 2016.07.12 280
42 운송업체가 OBL 분실? file kimswed 2016.07.12 1219
41 품목분류가 상이한 경우에도 원산지증명서 file kimswed 2016.07.11 191
40 보세구역에 반입한 제품, 선하증권 양도 방식 file kimswed 2016.07.11 561
39 바이어의 해외 지사로 대금결제 할 경우 제3자 지급? file kimswed 2016.07.11 488
38 태국서 제조하는 용기의 구매비용 처리는? file kimswed 2016.07.11 3219
37 세라믹 코팅 와이어 품목분류는? file kimswed 2016.07.11 306
36 통신자재 수입시 관세 절감법은? file kimswed 2016.07.09 198
35 재수입 시 관세 추징 후 재수입 면세 가능? file kimswed 2016.07.09 899
34 수입통관에 어려움을? file kimswed 2016.07.09 556
33 미생물 수출하기 위한 절차와 인증은 file kimswed 2016.07.07 126
32 바이어 LDP 거래조건을 제시하는데 file kimswed 2016.07.07 691
31 특혜원산지증명서 발급을 위한 인증수출자 취득절차는 file kimswed 2016.07.07 243
30 중국 위안화로도 수출대금을 수령할 수 있나요? file kimswed 2016.07.07 138
29 해외로부터 도입한 설계 기술의 세금은? file kimswed 2016.07.07 160
28 이온화수처리기의 HS분류는 file kimswed 2016.07.07 206
27 원재료의 통관지연으로 생산일정에 문제 file kimswed 2016.07.06 119
26 방사기 HS 품목분류 및 수입관세율? file kimswed 2016.07.06 331
25 중국 화장품 인증 절차는? file kimswed 2016.07.06 152
24 숯 수입시 품질 기준은? file kimswed 2016.07.06 5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