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 유통시장의 경쟁 심화

kimswed 2020.01.02 06:55 조회 수 : 119

베트남 최대 민간기업인 빈그룹(Vingroup)은 핵심 전략사업인 산업 및 기술 분야에 충실하기 위해 유통 및 소매사업에서 철수할 것이라고 2019년 12월 3일 발표했다빈그룹의 유통분야 자회사인 빈커머스(VinCommerce)의 마트 및 편의점과 또 다른 자회사인 농업회사 빈에코(VinEco)를 함께 묶어 식품 대기업인 마산(Masan) 그룹과 합병하기로 했다.

 

합병되는 새로운 회사는 빈커머스가 합병 전에 구축한 50개 성에 있는 2,600개 이상의 슈퍼마켓 및 편의점을 비롯해 빈에코의 하이테크 농장 14개를 모두 마산그룹이 관리하게 된다마산그룹은 최근 베트남 최초 프리미엄 냉장 육류고기 브랜드를 개발하고 유통을 준비 중에 있었다.

 

빈그룹은 부동산 및 기술투자와 함께 유통분야를 중요한 사업분야로 보고 의욕적으로 유통 네트워크를 확장했으나 최근 막대한 투자로 인해 수억 달러의 손실을 견디지 못하고 있었다반면마산그룹은 빠르게 변화하는 소비재(FMCG)를 핵심사업으로 추진하고 있으면서 소매 네트워크의 활용이 필요했던 것으로 분석된다.

 

마산은 최근 육류가공 자회사인 마산 미트라이프(Masan MEATLife)를 비상장 주식시장(UPCoM)에 등록해 초기 자본 112000만 달러를 확보했다또한마산그룹은 유통사업을 지원할 목적으로 43000만 달러의 회사채를 발행했다.

 

빈그룹은 빈커머스의 전자상거래 사이트인 아다이로이(Adayroi)를 닫고 전자결제 기업인 빈아아디(VinID)와 통합해다른 회원사인 전자제품 소매업체 빈프로(VinPro)와의 협력을 강화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롯데베트남은 쇼핑 웹 사이트인 lotte.vn을 2020년 초부터는 더욱 인기 있는 롯데계열 웹사이트인 speedl.vn에 통합해 운영하기로 했다. 2500만 달러를 투자한 롯데의 전자상거래사이트 lotte.vn은 결국 문을 닫았다.

 

온라인 쇼핑 비교사이트인 아이플라이스(iPrice)가 발표한 2019년 3분기 베트남 전자상거래 접속 자료에 따르면 치열한 선두 경쟁으로 과도한 이벤트 행사를 진행해가던 방식을 자제하면서 접속률 상위 업체의 트래픽은 감소했다.

 

접속 상위 순위를 기록 중인 회사 중 텐센트를 모회사로 둔 쇼피(Shopee) 및 알리바바 그룹 산하 라자다(Lazada)는 치열한 선두 위치를 확보하기 위해 집행하는 마케팅 비용을 누적된 적자 속에서도 모회사로부터 추가로 투자받고 있다다른 선도기업인 티키(Tiki)는 1억 달러를 목표로 D라운드 투자모금을 진행 중이며 센도(Sendo)는 최근 C라운드 투자에서 6100만 달러를 모금했다.

 

온라인 쇼핑의 시장은 매년 30%씩 고속성장을 하고 있지만판매사업자인 벤더(Vendor)를 유치하기 위해 선도기업들은 낮은 판매수수료 및 배송비용 무료 제공 등의 정책 경쟁으로 적자의 폭은 좀처럼 줄어들지 않는 구조를 보여주고 있다.

 

전자상거래 시장의 선도기업들이 저가의 상품으로 소비자를 유치하는 정책을 추진해나가면서 온라인 쇼핑 시장에서 판매하는 제품이 재래시장보다도 저렴해야 하는 가격경쟁이 심화되고 있다.

 

온라인 쇼핑에서 판매되는 상품의 품목 중에서는 화장품 및 패션 등의 판매가 증가하는 추세이며 점유율 또한 높다그러나 수입인증 없이 유통되는 상품의 비중이 높으며 수입되는 과정에서 정상적인 통관 없이 수하물 또는 밀수와 같은 형태로 진행되는 경우도 있다이는 재래시장의 유통과 별반 다르지 않다.

 

2019년 12월 일본의 마쓰모토키요시(Matsumoto Kiyoshi Holdings Group)는 베트남의 로터스푸드(Lotus Food Group)와 전략적 계약을 맺고 베트남 시장에 공식 진출을 발표했다이 회사는 태국과 대만에서 매장을 운영 중이며 2020년 3월 말 화장품을 주축으로 하는 첫 번째 드럭스토어의 개점을 계획하고 있다.

 

베트남의 화장품 시장은 현대식 유통 채널을 통한 판매가 자리를 잡아가는 추세다슈퍼마켓하이퍼마켓 등을 통한 소비가 전체 화장품 시장의 35.4%를 차지하고뷰티 전문점과 드럭스토어가 전체 매출의 33.4%를 차지하며 성장 추세를 보이고 있다.

 

정상적인 수입을 통한 상품의 재래식 시장의 비중은 13.0% 수준이며 점차 감소 중이다또한성장 추세의 인터넷 쇼핑의 비중도 아직은 6.7% 수준이다.

 

점차 시장의 규모가 확장되는 베트남 소비재 시장에 진출하는 기업들이 지속 가능한 판매를 하려면 현대식 유통 채널을 통한 판매에 주력해야 한다단시간에 판매액을 늘리는 전략보다는 브랜드를 육성하며 우선 소비자의 신뢰를 확보하는 노력이 필요하다소비자는 저렴한 가격도 고려하지만 선택할 때는 품질을 기준으로 하기 때문이다.

 

 

 

 

김석운 베트남경제연구소장

(kswkso@hanmail.net)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329 베트남 구조조정 kimswed 85 2024.01.04
328 베트남, 작년과 비교되는 올해 소비 트렌드 kimswed 85 2023.06.26
327 K-스낵 '현지화 전략'해외서 더 잘 나간다 kimswed 86 2023.10.06
326 리스크 커지는 베트남 시장, 우리 기업 체크포인트 kimswed 86 2021.05.14
325 베트남 새로운 수요 kimswed 88 2021.03.10
324 베트남 변화하는 수요 kimswed 89 2021.06.19
323 K웹툰, 베트남 시장 정조준 kimswed 90 2020.07.28
322 베트남 프로모션 필요성 kimswed 91 2020.07.02
321 베트남 건강에 대한 관심 kimswed 92 2020.07.17
320 베트남 통신(291) 시장 수요 kimswed 93 2023.07.25
319 베트남 식품시장 트렌드는 ‘안전’과 ‘건강 kimswed 94 2020.07.18
318 사례로 보는 베트남 소매시장 진출 전략 kimswed 94 2020.05.08
317 베트남 건강식품 수요 kimswed 95 2021.02.15
316 탈중국 기업 모십니다" 유치 경쟁... 베트남 선두 kimswed 95 2020.06.17
315 베트남 소비시장의 핫 트렌드 ‘4’ kimswed 95 2020.06.27
314 베트남 유통시장 환경의 변화 kimswed 95 2019.12.02
313 베트남 소비패턴의 변화 kimswed 95 2020.03.12
312 베트남 (287) 구매 우선순위 kimswed 95 2023.05.13
311 베트남 수요 회복 kimswed 97 2021.01.28
310 베트남 통신(290) 다중 유통채널 kimswed 98 2023.07.04
309 베트남 경제 회복 가속화 kimswed 99 2020.11.10
308 베트남 유통채널의 융합 kimswed 100 2021.06.03
307 베트남 수요 회복 탄력성 kimswed 100 2020.04.09
306 베트남 통신(292) 소비자 신뢰도 kimswed 100 2023.07.25
305 베트남 통신(285) 내수 경제 kimswed 100 2023.04.13
304 베트남, '건강한 소비' kimswed 101 2020.08.29
303 베트남 FTA 효과 kimswed 101 2023.04.28
302 베트남 : 비즈니스 알쓸신잡 kimswed 102 2020.10.17
301 베트남 마케팅 비용 kimswed 103 2023.10.29
300 베트남 시장 환경 변화 kimswed 107 2020.1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