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 9한국산 구매경험 있음’&‘계속 구매할 것

“화장품·식품·전자제품 등 앞으로도 베트남 수출 유망“

 

우리나라의 3위 수출국인 베트남 시장에서 한국 상품의 가장 큰 경쟁상대는 일본인 것으로 나타났다. 2018년까지 1위 경쟁국이었던 중국은 3위로 밀려났다.

 

베트남 소비자의 소득수준이 높아진 가운데 코로나19를 거치며 한국의 국가 브랜드 파워가 강해져 저가의 중국·대만 제품보다 부가가치가 높은 일본·미국 제품과의 경합도가 높아진 것으로 풀이됐다.

 

한국무역협회 호치민지부가 지난 5월 베트남 바이어 및 일반 소비자 956명을 대상으로 한국 및 한국 상품에 대한 인식조사를 실시한 결과응답자의 80.3%가 한국 상품의 경쟁력이 강해지고 있다고 평가했다.

 

한국 상품을 대체할 경쟁국으로는 일본(70%, 복수응답)을 가장 많이 지목했고미국(26%)과 중국(20.7%)이 뒤를 이었다. 2018년 조사에서 경쟁국 1위에 올랐던 중국은 당시 2위였던 일본은 물론미국에도 밀리며 올해는 3위로 내려앉았다당시 경쟁 대상 3위였던 대만도 올해 조사에서는 6위로 밀려났다.

 

보고서는 베트남의 소득수준이 높아지면서 가격보다 품질을 보고 제품을 구매하는 소비자들이 늘어난 데다저가 중국 상품에 대한 불신이 확산된 것이 주요 원인이라고 분석했다.

 

한국이라는 국가 브랜드 파워에 대해서는 팬데믹 이후 브랜드 파워가 강화됐다(52.4%)’는 응답이 절반을 넘었다반면, ‘약화됐다는 응답은 6.2%에 불과했다국가 브랜드가 한국 상품 구매에도 영향을 미쳤다는 응답이 절대다수(93.8%)를 차지해이 또한 긍정적인 영향(89.3%)을 미친 것으로 분석됐다.

 

국가 브랜드 파워의 강화 요인으로는 ‘K-콘텐츠의 확산(46.3%)’을 가장 많이 꼽았고다음으로 방역 및 신뢰 이미지 강화(17.8%)’, ‘한국 기업의 발전(15.4%)’ 순으로 응답했다.

 

한편베트남인 10명 중 9(92.9%)이 최근 1년 내 한국 상품 구매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앞으로도 한국 상품을 계속 구매할 것이라는 응답도 93.8%에 달했다한국산 구매 의사는 남성보다 여성이 강했으며소비자의 연령이 어릴수록 강했다.

 

구매 사유로는 한국제품의 품질(59.9%)’을 지목했다소비자의 87.3%, 바이어의 67.3%가 한국 상품의 경쟁력이 강해지고 있다고 답변했다.

 

주요 구매채널은 ‘SNS, 인터넷직구홈쇼핑 등’ 온라인 채널이 72.9%(복수응답), ‘마트 및 편의점의 오프라인 채널이 71.8%로 나타나코로나19 팬데믹에도 불구하고 오프라인 구매를 온라인과 거의 비슷하게 활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베트남 유망 수출품목으로 현지 소비자들은 화장품·식품·전자제품바이어는 전자제품·건강식품·화장품을 꼽았다보고서는 우리 기업들의 베트남 수출 주력 품목인 화장품·식품·전자제품 등은 앞으로도 전망이 밝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동원 한국무역협회 호치민지부장은 베트남에서 한국의 브랜드 파워는 나날이 좋아지고 있으며우수한 품질과 세련된 디자인을 바탕으로 한국 상품의 경쟁력도 계속 강화되고 있다면서 우리 기업들은 유망 품목을 중심으로 일본 상품과의 차별화 전략가격 경쟁력 강화 등을 통해 베트남 시장을 공략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김영채  weeklyctrade@kita.net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328 베트남, 작년과 비교되는 올해 소비 트렌드 kimswed 85 2023.06.26
327 K-스낵 '현지화 전략'해외서 더 잘 나간다 kimswed 86 2023.10.06
326 리스크 커지는 베트남 시장, 우리 기업 체크포인트 kimswed 86 2021.05.14
325 베트남 새로운 수요 kimswed 88 2021.03.10
324 베트남 변화하는 수요 kimswed 89 2021.06.19
323 K웹툰, 베트남 시장 정조준 kimswed 90 2020.07.28
322 베트남 프로모션 필요성 kimswed 91 2020.07.02
321 베트남 건강에 대한 관심 kimswed 92 2020.07.17
320 베트남 통신(291) 시장 수요 kimswed 93 2023.07.25
319 베트남 식품시장 트렌드는 ‘안전’과 ‘건강 kimswed 94 2020.07.18
318 사례로 보는 베트남 소매시장 진출 전략 kimswed 94 2020.05.08
317 베트남 건강식품 수요 kimswed 95 2021.02.15
316 탈중국 기업 모십니다" 유치 경쟁... 베트남 선두 kimswed 95 2020.06.17
315 베트남 소비시장의 핫 트렌드 ‘4’ kimswed 95 2020.06.27
314 베트남 유통시장 환경의 변화 kimswed 95 2019.12.02
313 베트남 소비패턴의 변화 kimswed 95 2020.03.12
312 베트남 (287) 구매 우선순위 kimswed 95 2023.05.13
311 베트남 수요 회복 kimswed 97 2021.01.28
310 베트남 통신(290) 다중 유통채널 kimswed 98 2023.07.04
309 베트남 경제 회복 가속화 kimswed 99 2020.11.10
308 베트남 통신(285) 내수 경제 kimswed 99 2023.04.13
307 베트남 유통채널의 융합 kimswed 100 2021.06.03
306 베트남 수요 회복 탄력성 kimswed 100 2020.04.09
305 베트남 통신(292) 소비자 신뢰도 kimswed 100 2023.07.25
304 베트남, '건강한 소비' kimswed 101 2020.08.29
303 베트남 FTA 효과 kimswed 101 2023.04.28
302 베트남 : 비즈니스 알쓸신잡 kimswed 102 2020.10.17
301 베트남 마케팅 비용 kimswed 102 2023.10.29
300 베트남 시장 환경 변화 kimswed 107 2020.10.22
299 베트남 지출 우선순위 kimswed 107 2020.05.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