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 진출 기업들의 ‘노동 고민

kimswed 2016.07.13 08:27 조회 수 : 186

노동생산성 빠르게 향상…고급인력 양성은 숙제 

12.jpg

 

 


베트남의 노동 생산성 향상은 투입자본 비율이 높은 외투기업에서의 생산성 제고 덕분이라는 말이 많다. 하지만 생산성 향상과 6%에 가까운 경제성장률은 베트남 노동자의 임금을 지속적으로 끌어올리는 요인이기도 하다. 노동 생산성 개선과 임금 상승의 대세 속에 베트남에 투자한 한국 기업들의 노동 관련 이슈는 무엇일까?

 

▶베트남 노동자 10명이 한국인 1명만 못하다? = 국제노동기구(ILO)에 따르면 베트남의 노동 생산성은 한국 대비 9.33%, 즉 1/10에 불과하고 평균 급여는 한국의 6.9% 수준이다.

 

2013년 기준 노동자의 1인당 연간 산출물 가치는 한국이 5만8298달러인 반면 베트남은 5440달러였다. 같은 기간 중 노동자의 월 평균 임금은 한국이 2624달러, 베트남 181달러였다.


이들 수치만 놓고 보면 ‘한국인 1명이 베트남인 10명분을 해낸다’는 지적이 설득력이 있어 보인다. 하지만 낮은 노동 생산성을 단순히 베트남 노동자 개인의 역량으로만 돌리기에는 무리가 있다. 그들이 종사하는 산업과 1인당 자본/장비 비율에 크게 영향 받을 수 있음을 감안해야 한다.


▶쓸 만한 관리직 직원은 돈을 많이 줘도 못 구한다? = 고급 및 기술 인력 양성은 베트남의 숙제다. 현지에 진출한 많은 한국 기업들도 쓸 만한 관리직 직원은 급여를 많이 줘도 구하기 어렵다고 호소한다.


이는 곧 고급 및 기술 인력은 임금이 올라도 단기간에 공급되지 않는 노동시장의 특성을 정확히 반영한다. 베트남이 글로벌 경제에 편입된 게 길어야 20년에 불과한 상황에서 시장과 기업을 이해하는 숙련된 인력은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베트남의 대학 진학률은 과거에 비해 많이 올라갔지만 고등교육 시스템의 비효율성 때문에 기업이나 사회가 원하는 인력을 제대로 공급하지 못하고 있다. 유네스코에 따르면 베트남의 대학 진학률은 2000년 10%에서 2013년 25%로 급증했다.

 

그러나 베트남 대졸자와 노동시장의 니즈 간 미스매칭이 커서 자신의 전공분야에서 직업을 찾는 경우는 절반에 불과하다. 현실이 이렇다 보니 기업은 필요 인력을 교육, 훈련을 통해 양성해야 하는 실정이다.


베트남의 경제성장은 고급 인력 수요를 지속적으로 증가시킬 것이며 고급 인력은 산업의 고도화를 이끌 주요 동력이기에 이들을 어떻게 공급할 것인지가 베트남의 어렵고도 중요한 숙제다.


참고로 베트남의 해외 유학생은 급증하고 있다. 2006년 2만3334명이던 것이 2012년에는 5만3802명으로 2배 이상 늘었다. 베트남 교육체계가 제공하지 못하는 고등교육에 대한 니즈가 해외유학으로 연결됐기 때문이다.


▶최저임금의 지속적인 인상 때문에 불안하다? = 베트남뿐만 아니라 많은 아세안 국가들이 최저임금 제도를 운영하고 있으며 최저임금 제도는 외투기업 생산직 직원의 급여산정의 기초가 되고 있다. 최저임금 제도는 단체협상을 통한 임금책정이 불가능하거나 부재한 아세안 국가에서 임금을 설정하는 주요 메커니즘으로 작동하고 있다. 노사 간 결정사항에 사실상 국가가 개입해 기준점을 제시해주는 것이다.


최저임금은 최저 생계비와 물가 상승률 등을 기준으로 산출되며 지역을 구분해 단계별로 산정된다.


임금은 경제성장의 과실을 노동자에게 돌려주는 가장 중요한 채널이기 때문에 베트남의 경제성장이 지속되는 한 최저임금은 지속적으로 상승할 수밖에 없다. 이 과정에서 완만하고 예측 가능한 임금 상승은 기업에게 대처할 수 있는 시간을 준다. 기업의 선택지로는 생산시설의 현대화를 통한 생산성 제고, 직업교육 활성화 등이 있고 공장이나 회사의 이전 역시 가능하다.


참고로 인도네시아와 필리핀은 최저임금 결정구조를 분권화함으로써 한 국가 안에서도 지역별로 최저임금이 2배 이상 차이가 난다. 반면 베트남은 결정구조가 중앙정부에 집중돼 있어 지역 간 노동환경 격차를 반영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하지만 이를 뒤집어 보면 특정 산업이나 지역, 특히 대도시 인근 지역에서의 급격한 임금 상승 역시 완화시키는 역할을 한다는 사실도 부정할 수 없다.


<주간무역> 제공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208 베트남, 7월부터 중고기계 수입에 ‘사유서’ 필요 file kimswed 258 2016.07.09
207 베트남유아용 식품 시장 유망 file kimswed 255 2016.08.05
206 베트남 하이테크 농업 file kimswed 251 2016.07.22
205 베트남소매유통전문점 kimswed 250 2017.11.25
204 베트남 색조 화장품 유통, 이렇게 한다 kimswed 250 2019.03.02
203 베트남을 이해하는 키워드 ‘채식 kimswed 250 2019.04.17
202 베트남 대형 유통업체와 연 50만 달러 거래 협의 kimswed 250 2021.08.30
201 베트남유아용품시장 file kimswed 249 2016.07.20
200 강소기업의 솔루션! SCM경영의 핵심 kimswed 249 2019.08.17
199 베트남 통신(247) 근로자 부족 kimswed 249 2021.09.09
198 베트남 의국영기업 민영화 file kimswed 247 2016.10.05
197 매력적인 베트남 식품시장 file kimswed 247 2016.07.21
196 신기산업(주) kimswed 246 2021.06.19
195 베트남인프라구축협력 file kimswed 245 2017.03.28
194 베트남 구매패턴 변화 kimswed 244 2021.11.26
193 베트남 한류상품 kimswed 243 2019.03.08
192 베트남의 최근 임금동향 file kimswed 241 2016.07.20
191 베트남에도 드디어 도시철도 시대 file kimswed 239 2016.07.16
190 수입 식음료 찾는 베트남인들 file kimswed 236 2016.07.26
189 베트남 시장, 이머징마켓 kimswed 235 2019.02.17
188 베트남 노리는 사이비 이단 kimswed 234 2019.10.01
187 하반기 대베트남 수출 file kimswed 233 2016.09.03
186 베트남 프리미엄 비용 kimswed 231 2019.07.31
185 베트남 수출 회복 kimswed 230 2023.11.19
184 베트남의 국가선호도 및 마케팅 file kimswed 229 2016.07.13
183 베트남펀드 kimswed 229 2019.02.21
182 베트남하이테크농업 file kimswed 228 2017.03.28
181 베트남 부동산 시장과 한국기업진출 file kimswed 228 2016.07.15
180 기업 가치혁신을 위한 합리적인 경영혁신 기법 kimswed 228 2019.08.22
179 베트남의 외식업 프랜차이즈 file kimswed 227 2016.07.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