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식품업체들이 글로벌 온라인 식품 시장 성장에 주목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온라인 식품 시장에 대한 거부감이 줄어들어 글로벌 온라인 식품 시장 규모가 폭발적인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관측됨에 따라 선제적으로 시장 점유율을 높여야 한다는 의견이다.

9일 미래에셋대우 리서치센터에 따르면 국내 온라인 업체들의 식품 시장 침투율(이미 형성되있는 시장에서 경쟁자의 소비자를 빼앗는 비율)은 2018년 12.3%에서 지난해 15.2%로 증가했다.

올해의 경우 코로나19 여파로 19.6%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2021년에는 23.6%, 2022년에는 27.2%까지 침투율이 증가할 것으로 관측된다.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대형마트와 백화점에서 구매하던 식품을 쿠팡, 마켓컬리 등을 통해 구매하는 소비자가 크게 증가했고 이 같은 추세는 내년 이후에도 증가할 수 있다는 전망으로 풀이할 수 있다. 

미국의 경우 전체 시장 규모 대비 온라인 업체들 식품 시장 침투율이 국내 시장 대비 현저하게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향후 성장 가능성은 매우 높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미국 내 온라인 업체들의 식품 시장 침투율은 2018년 2.3%, 2019년 2.4% 수준에 불과했지만 올해 3.2%로 성장이 예상되고 2021년과 2022년에는 각각 3.9%, 4.9% 수준까지 올라갈 것으로 예상된다.

온라인 업체를 통한 식품 판매율이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일 수 있는 가장 큰 이유는 물류 기술의 발달과 빠른 배송 서비스 강화 등에 기인한다.

"품질을 신뢰할 수 없어서", "배송 이후 교환 또는 반품이 어려워서", "배송 과정 중 상품 파손 및 품질 저하 우려가 높아서" 등의 소비자 불만이 배송 기술의 발달로 줄어들 수록 온라인 식품 시장이 커질 수 있다는 것이다.

이를 고려할 때 국내 시장과는 달리 아직 온라인 시장이 자리잡지 않은 미국을 비롯해 유럽 주요국가 등 글로벌 온라인 시장의 고성장은 아직 나타나지 않았을 뿐이지 필연적으로 나타날 수 있는 현상으로 볼 여지가 많다.

 
associate_pic4



이 같은 흐름을 미리 감지한 국내 식품 기업 중 일부 기업들은 현지화 전략 또는 K푸드 전략 등을 통해 벌써부터 해외 시장 확장 드라이브를 거는 모습이다.

먼저 농심은 해외 사업 성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중국·미국 현지공장에서 신라면 등 인지도가 높은 제품을 다수 생산해 현지 온오프라인 채널에 공급을 집중한다는 계획이다.

대상의 경우 올해 미국 내 공장을 설립한다는 계획이 코로나19 여파로 무기한 연기됐지만 사태가 진정된 이후 미국을 비롯해 해외 주요 국가에 공장을 짓고 김치의 해외 사업 부문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CJ제일제당은 비비고 만두를 앞세워 해외 시장을 공략하고 있으며 건강을 콘셉트로 출시될 예정인 더비비고를 앞세워 미국 시장은 물론, 중국·베트남 등 해외 사업 부문 강화에 나선다.

주류 시장에서는 하이트진로의 해외 시장 공략이 주목된다. 진로이즈백출시 1주년을 맞아 일본, 미국, 중국 등 7개국에 수출을 시작했으며 미국에서 진로의 TV 광고를 처음으로 선보였다.

김명주 미래에셋대우 연구원은 "글로벌 온라인 식품 시장의 고성장을 예상한다"며 "코로나19에 따른 소비자의 온라인 채널 의존도 심화와 온오프라인 유통사의 배송 서비스가 다양해졌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김 연구원은 "온라인 식품 시장 성장은 우리나라보다 미국에서 더 유효하다"며 "미국은 온라인 식품 침투율과 소비자 인지도가 낮은 초창기 시장이기 때문"이라고 의견을 제시했다.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67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중국 소비시장은 kimswed 5030 2023.02.03
66 중소기업에 몽골 진출 길잡이 kimswed 4987 2023.02.10
65 몽골, ‘건강 먹거리’ 한국 김 인기 급상승 kimswed 5226 2023.02.10
64 김문영의 인도경제, 인도상인 이야기(29) kimswed 5401 2023.02.11
63 제조 소기업에 5000만 원까지 지원 kimswed 4398 2023.02.21
62 김문영의 인도경제, 인도상인 이야기(30) kimswed 4275 2023.02.25
61 김문영의 인도경제, 인도상인 이야기(31) kimswed 2251 2023.03.14
60 네덜란드는 어떻게 반도체 기술 강국이 됐나 kimswed 1627 2023.03.20
59 차세대 성장원 'K-마이스' 리더들 kimswed 1052 2023.03.25
58 알제리, 한국 위상 높아지는 의료시장 kimswed 847 2023.03.27
57 미얀마, 한국 라면의 활로는? kimswed 40 2023.04.10
56 김문영의 인도경제, 인도상인 이야기(33) kimswed 44 2023.04.11
55 네덜란드, 확산하는 ‘그린 커머스 kimswed 50 2023.04.13
54 브래키팅(Bracketing)’을 줄이려는 노력들 kimswed 41 2023.04.19
53 김문영의 인도경제, 인도상인 이야기(34) kimswed 43 2023.04.24
52 중국, 주목할 만한 소비 트렌드 kimswed 46 2023.04.26
51 중국, Z세대가 만든 보양간식 열풍 kimswed 56 2023.04.27
50 일본, ‘하늘을 나는 자동차’ 본격 시동 kimswed 48 2023.05.01
49 김문영의 인도경제, 인도상인 이야기(35) kimswed 52 2023.05.09
48 “사우디로 가자” kimswed 50 2023.05.13
47 조원표 메쎄이상 대표 kimswed 67 2023.05.15
46 정신·뇌 건강 겨냥한 식이보조제·명상 앱 등 활발 kimswed 57 2023.05.22
45 링크드인을 알면 수출기업 해외마케팅 kimswed 62 2023.05.27
44 한재필 인터페어스 대표 kimswed 83 2023.05.29
43 김문영의 인도경제, 인도상인 이야기(36) kimswed 64 2023.06.07
42 일본, 저출산에도 성장하는 육아용품 kimswed 63 2023.06.12
41 김문영의 인도경제, 인도상인 이야기(37) kimswed 60 2023.06.16
40 인도, ‘14억 인구 대국’이 누리는 각종 효과 kimswed 70 2023.06.17
39 ‘재생농업’에 눈 돌리는 글로벌 패션·식품 기업 kimswed 60 2023.07.11
38 김문영의 인도경제, 인도상인 이야기(39) kimswed 63 2023.07.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