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XEDITION

WORLD I

인도 냉동식품 시장 급성장

kimswed 2025.07.17 09:07 조회 수 : 0

 


 

인도 냉동식품 시장, 급성장하며 거대한 기회 열려

 

인도 냉동식품 시장이 폭발적인 성장을 거듭하며 전 세계의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글로벌 리서치 기업 아이마크그룹에 따르면, 2023년 20억 5,860만 달러 규모였던 인도 냉동식품 시장은 2032년까지 연평균 14% 성장하여 67억 3,337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됩니다. 이는 인도 국민 소득 증가와 함께 즉석조리식품(RTE)에 대한 수요가 크게 늘고 있기 때문입니다.


 

성장 요인 및 시장 현황

 

인도 냉동식품 시장 성장의 주요 원동력은 다음과 같습니다.

  • 소득 증가와 바쁜 라이프스타일: 인도 국민의 소득 증가로 편리하고 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냉동식품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습니다. 특히 18~30세 젊은 층은 바쁜 일상과 새로운 음식에 대한 호기심으로 냉동식품을 선호합니다.

  • 콜드체인 인프라 발전: 냉각 보존 및 공급망 인프라가 함께 발전하면서 냉동식품의 접근성과 품질이 향상되고 있습니다.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 또한 콜드체인 발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 코로나19 팬데믹의 영향: 코로나19로 인해 식료품 배달 스타트업을 통한 즉석조리식품 및 냉동식품 판매가 크게 늘었습니다.

  • 다양한 제품군 인기: 냉동 채소 간식, 냉동 과일 및 채소, 냉동 육류 제품 등 다양한 냉동식품이 고루 인기를 얻고 있습니다.


 

정부의 전폭적인 지원

 

인도 정부는 냉동식품 시장 성장을 위해 다양한 정책적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습니다.

  • 관세환급제도 및 RoDTEP: 외국계 수출 기업에는 관세 환급 제도를, 인도 기업에는 '수출품의 관세·세금 면제제도(RoDTEP)'를 통해 관세 및 세금 혜택을 제공하여 수출을 장려하고 있습니다.

  • 콜드체인 및 부가가치 통합 인프라 계획 (PMKSY): 생산지부터 최종 소비자에 이르는 통합 콜드체인 인프라 구축에 대규모 투자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메가 푸드파크, 저온 유통 프로젝트 등 다양한 시설 확충을 목표로 합니다.

  • 수산물 부문 집중 투자: 특히 냉동 수산물 부문의 콜드체인 인프라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제빙 공장, 냉장 보관 시설, 냉동 및 냉장 차량 구축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SWOT 분석으로 본 인도 냉동식품 시장

 

인도 냉동식품 시장의 강점, 약점, 기회, 위협 요소를 분석해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 강점 (Strength):

    • 중산층의 편리한 포장 음식 선호.

    • 다양한 음식 취향을 만족시키는 수입 냉동식품 수요.

    • 호텔, 레스토랑, 케이터링 산업의 높은 냉동식품 의존도.

  • 약점 (Weakness):

    • 냉동식품이 신선하지 않다는 인식 (특히 중장년층).

    • 프리미엄/수입 냉동식품의 높은 가격.

    • 농촌 지역의 유통망 및 라스트마일 배송 문제.

    • 알레르기 유발 항원 및 방부제에 대한 우려.

    • 냉동 처리로 인한 맛 저하 가능성.

    • 콜드체인 인프라의 부족한 저장 용량과 비효율적인 운영.

  • 기회 (Opportunities):

    • 유기농, 글루텐프리 등 건강 지향 소비자 수요 증가.

    • 전자상거래 플랫폼 확장을 통한 시장 확대.

    • 제품 배송, 포장, 맛, 요리 기술 혁신.

    • 소매업체, 식당, 음식 서비스 제공자와의 파트너십.

    • 이국적인 과일, 채소 등 수입 냉동식품 수요 증가.

  • 위협 (Threats):

    • 라벨링 의무, 식품 안전 기준 등 규제 변화.

    • 원자재 가격 변동 및 공급망 방해 요소.

    • 일부 지역의 전력 부족 및 미비한 인프라.


 

다양한 제품군으로 세분화된 시장

 

인도 냉동식품 시장은 크게 다음과 같은 품목들로 나뉘며, 각 분야에서 다양한 브랜드들이 경쟁하고 있습니다.

  • 냉동 과일과 채소: 콩, 옥수수, 시금치, 브로콜리 등. (인기 브랜드: 맥케인, 사팔 등)

  • 냉동 육류와 해산물: 닭, 양, 돼지고기, 생선 필레 등. (인기 브랜드: 벤키즈, ITC마스터셰프 등)

  • 냉동 즉석조리식품: 피자, 햄버거, 인도 커리 등. (인기 브랜드: 맥케인, MTR푸즈 등)

  • 냉동 간식과 에피타이저: 사모사, 스프링롤, 너겟 등.

  • 냉동 디저트류와 베이커리 제품: 아이스크림, 케이크, 크루아상 등. (인기 브랜드: 아물, 바딜랄 등)

  • 냉동 아침식사: 와플, 팬케이크, 샌드위치 등.

  • 어린이 냉동 간식: 치킨너겟, 미니 피자 등.

  • 특식과 전통 음식: 다양한 인도식, 이탈리아식, 유기농/비건 대체 요리 등.

  • 얼린 수프와 소스: 수프, 육수, 소스 등.

  • 얼린 음료: 과일즙 농축물, 스무디 믹스 등.


 

주요 기업 전략 및 한국 기업 성공 사례

 

인도 냉동식품 시장에서는 맥케인, 벤키즈 등 주요 기업들이 효율적인 유통망과 브랜드 인지도를 바탕으로 시장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특히, 롯데웰푸드가 2017년 인수한 아이스크림 기업 '하브모어'는 한국 기업의 성공적인 인도 시장 진출 사례로 꼽힙니다. 하브모어는 인도의 20개 주에서 경쟁력 있는 인지도를 확보하고 있으며, 뭄바이의 냉장 보관 및 저온 물류 체인 회사와의 제휴, 이동식 냉동 카트 도입 등을 통해 소비자 접점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하브모어의 매출은 2018년 6,728만 달러에서 2022년 1억 1,447만 달러로 크게 성장했으며, 롯데웰푸드는 인도 아이스크림 시장의 성장세를 고려하여 하브모어에 5년간 700억 원을 투자해 생산량을 늘릴 계획입니다.


 

수출입 현황 및 한국 기업 시사점

 

인도는 냉동 채소 수출국으로 22위를 기록하는 등 냉동식품 수출 분야가 활발합니다. 최근 일부 냉동식품에 대한 수입 관세도 낮춰지고 있어 시장 진출 기회가 확대될 수 있습니다.

인도 냉동식품 시장 진출을 고려하는 한국 기업을 위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 타겟 고객 명확화: 직장인 여성, 미혼 남성, 대학생 등 주요 소비층을 명확히 하고, 이들의 수요에 맞는 제품을 개발해야 합니다. 패스트푸드 레스토랑, 식료품점 등 B2B 고객도 중요합니다.

  • 도심 중심의 생산 및 유통: 운송비 절감과 적정 온도 유지를 위해 도시를 중심으로 냉동식품 공장을 확보하고, 도심과 가까운 위치를 선점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품질 및 안전성 강조: 인도 소비자들은 방부제나 항생제가 없는 신선한 식품을 선호하므로, 철저한 품질 관리와 안전성 확보가 필수적입니다.

  • 현지 규제 준수: 인도 식품안전표준청(FSSAI) 등록은 필수이며, 소비자들이 건강에 관심이 많으므로 영양 성분표를 반드시 제공해야 합니다.

  • 콜드체인 인프라 이해 및 투자: 인도의 콜드체인 인프라는 아직 초기 단계이며 비효율적인 부분이 많으므로, 현지 인프라에 대한 사전 지식을 습득하고 운영 효율성을 위한 투자를 고려해야 합니다.

인도 냉동식품 시장은 거대한 성장 잠재력을 지닌 매력적인 시장입니다. 철저한 시장 분석과 현지화 전략을 통해 성공적인 진출을 모색할 수 있을 것입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 인도 냉동식품 시장 급성장 kimswed 0 2025.07.17
149 강남구, 홍보부터 투자까지 원스톱 지원 kimswed 3 2025.07.16
148 국제 전시회 성공 전략 바이어를 사로잡는 디테일 kimswed 10 2025.06.23
147 마스크팩 베트남수출 (Xuất khẩu mặt nạ gói sang Việt Nam) skoreapkk 178 2025.02.04
146 라오스 케어 틈새시장 kimswed 3515 2024.10.31
145 The US government has also jumped into ‘smart clothing’ kimswed 3576 2024.10.20
144 해외시장 개척, 유관기관 kimswed 3511 2024.10.18
143 'High-end brand' products popular for quality over price kimswed 3573 2024.10.14
142 流動人口増加によるオフライン店舗運営戦略 kimswed 3515 2024.10.14
141 금주의 무역인 이경화 바다손애 대표 kimswed 7433 2024.05.31
140 한 달에 1억 달러 ‘신화’… 라면, K-푸드 선봉 kimswed 7406 2024.05.30
139 금주의 무역인 조혜경 엘 아미고 kimswed 7423 2024.05.20
138 대한민국기계설비전 kimswed 7410 2024.05.13
137 금주의 무역인] 지종환 설아래 kimswed 7436 2024.05.11
136 금주의 무역인 조병규 갈렙이앤씨 kimswed 7425 2024.05.07
135 금주의 무역인 박병호 에이텍솔루션 kimswed 7421 2024.04.29
134 금주의 무역인] 조진형 카론바이오 대표 kimswed 7422 2024.04.22
133 흥미 커머스의 지존, 틱톡샵이 몰려온다 kimswed 7442 2024.04.16
132 금주의 무역인 서정길 뷰메드 대표 kimswed 7423 2024.04.08
131 현지에서 본 말레이시아 경제 kimswed 7415 2024.04.04
130 금주의 무역인 이삼구 239BIO 대표 kimswed 7414 2024.04.02
129 금주의 무역인 권윤정 히즈 대표 kimswed 7415 2024.03.25
128 마지막 시장’ 아프리카로 가자 kimswed 7402 2024.03.23
127 정성은 이도플래닝 대표 kimswed 7414 2024.03.20
126 금주의 무역인 박영만 브랜즈리퍼블릭 kimswed 7400 2024.03.19
125 윤정섭 대양의료기 kimswed 7403 2024.03.11
124 초보 수출기업을 위한 안전수출 가이드(1) kimswed 7409 2024.03.08
123 미얀마, 회복세 보이는 의료용품 시장 kimswed 7409 2024.03.03
122 어려운 중국시장… 기회 있는 틈새로 돌파구 kimswed 7378 2024.02.28
121 조영준 영월드씨케이씨 kimswed 7444 2024.02.27
120 아프리카, 유력한 글로벌 공급망 kimswed 7374 2024.02.25
119 인도, K-뷰티의 ‘약진’ kimswed 7406 2024.02.24
118 신영석 범일산업 대표 kimswed 7438 2024.02.19
117 남아공에서도 ‘K-뷰티’ ‘K-푸드’가 확산 kimswed 7394 2024.02.12
116 누구나 수출하는 디지털무역 시대 kimswed 7387 2024.02.08
115 박지만 스포위크 대표 kimswed 7402 2024.02.07
114 금주의 무역인 우현규 완도다 대표 kimswed 7380 2024.02.06
113 금주의 무역인 김진구 해내음 대표 kimswed 7355 2024.01.30
112 김대용 올웨이즈코퍼레이션 kimswed 7346 2024.01.22
111 신수성 지엠티에이 대표 kimswed 7364 2024.01.15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