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셜미디어 엑스(X·옛 트위터)

kimswed 2023.12.04 07:12 조회 수 : 2620

광고중단 사태 치명적…매출 중 광고비중 90% 위기
구조조정·이자협상 모두 난망…신사업도 글쎄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이끄는 소셜미디어 엑스(X·옛 트위터)가 최근 광고 중단 사태로 파산할 수도 있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X의 매출에서 광고의 비중이 절대적이지만, 광고주와의 갈등에 오히려 기름을 끼얹는 머스크로 인한 리스크는 단기간에 해결될 전망이 보이지 않는다는 것이다.
 
영국 BBC 방송은 2일(현지시간) 최근 계속되는 글로벌 거대 기업들의 X 광고 중단 사태와 관련해 "지난해 머스크가 440억 달러(약 57조 원)에 인수한 회사의 파산은 상상할 수 없는 것처럼 들리지만 가능한 일"이라고 분석했다.
 
X는 지난해 10월 머스크에 인수된 이후 혐오 표현이 증가했다는 논란이 불거졌고, 최근에는 머스크가 반유대주의 음모 주장을 지지하는 글을 직접 올리면서 광고주 이탈이 본격화했다.
 
머스크는 지난달 27일 이스라엘을 찾아 하마스 섬멸을 지지하는 등 논란 진화에 나서는 듯했으나, 이틀 뒤 뉴욕타임스(NYT)의 공개 대담에서 광고주 이탈에 대해 거친 욕설로 비난하면서 문제를 더욱 키웠다.
 
이미 IBM과 애플, 월트디즈니, 월마트 등 거대 광고주들이 잇따라 X에서의 광고 중단을 선언했다.
 
BBC는 이런 광고주 이탈 사태와 관련, 지난해 X 매출의 광고 의존도가 90%에 달하는 상황에서 회사의 존폐를 위협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지난해 트위터의 광고 매출은 약 40억 달러(약 5조2천억 원)지만, 올해는 약 19억 달러(약 2조5천억 원) 수준으로 '반토막' 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마케팅 컨설팅 기업 이비퀴티의 최고고객책임자 마크 게이는 "자금이 빠져나왔고 아무도 그곳에 재투자할 계획을 세우고 있지 않다"고 말했다.
 
머스크 역시 NYT 대담 당시 "회사가 망한다면 광고 불매 운동 탓일 것"이라고 직접 파산 가능성을 거론했다.
 
매출 감소에 대응할 자구책도 마땅치 않은 형편이다.
 
이미 머스크는 지난해 X 인수 직후 전체 인력의 절반이 넘는 3천700명을 해고하는 유례 없는 구조조정을 단행했다.
 
X 인수를 위해 빌린 대출금 130억 달러(약 16조9천억 원)를 갚음으로써 연간 12억 달러(약 1조6천억 원)에 달하는 이자 부담을 줄일 수 있겠지만 머스크로선 X에 대한 추가 투자를 꺼릴 것이라고 BBC는 짚었다.
 
이자 지급과 관련해 은행과 협상을 추진할 수 있으나 이마저 실패할 경우 X의 파산이 현실이 될 수 있다.
 
확실한 해결책은 신사업 발굴로, X의 여러 시도도 잠재력을 인정받고 있다.
 
X는 최근 음성·영상 통화 서비스를 시작했고, 머스크가 직접 게임을 즐기는 장면을 온라인 생중계하기도 했다.
 
결제사업 매출은 올해 1천500만 달러(약 190억 원)에서 2028년 13억 달러(약 1조7천억 원)로 성장할 것으로 X는 기대하고 있다.
 
다만, 이들 사업 중 어떤 것도 당장의 광고 매출 결손을 채울 대안이 될 수는 없는 것이 현실이다.
 
그런데도 머스크는 오히려 공격적인 태도로 광고주와의 갈등을 키우고 있다.
 
그는 NYT 공개 대담 당시 X를 부정적으로 평가한 밥 아이거 월트디즈니 CEO를 겨냥해 "안녕, 밥. 청중석에 당신이 있다면 그게 내가 느끼는 기분"이라고 직격했다.
 
시장조사기관 인사이더 인텔리전스의 수석 분석가 재스민 엔버그는 "소셜 미디어 전문가가 아니더라도 X에 돈을 내는 광고주를 사감을 담아 공개적으로 공격하는 게 사업에 좋지 않다는 것을 알 것"이라고 지적했다.
 

 

마케팅 컨설팅 업체 AJL 어드버서리의 루 파스칼리스는 "나로선 말이 되는 시나리오가 하나도 없다"며 "아마 머스크의 머리에는 내가 모르는 수익 모델이 있는 것 같다"고 꼬집었다.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264 화장품 소재 시장을 흔들다 kimswed 2634 2023.12.12
» 소셜미디어 엑스(X·옛 트위터) kimswed 2620 2023.12.04
262 슬기로운 직장생활 kimswed 2633 2023.11.26
261 뷰티, 취미, 헬스 순... 베트남이 최대 시장 kimswed 2623 2023.11.24
260 신간 / 사우디는 지금 kimswed 2598 2023.11.23
259 앱으로 마이스 내방객 정보 실시간 확인 실현 kimswed 2630 2023.11.22
258 태권도 선수에서 무역인 변신… 1000만 달러 수출 kimswed 2609 2023.11.21
257 슬기로운 직장생활 kimswed 2583 2023.11.18
256 미국 이어 중동서도 K-냉동김밥 kimswed 1397 2023.11.17
255 K-컬처 교육플랫폼 사업가 kimswed 1385 2023.11.14
254 회사가 원하는 좋은 인재 kimswed 1387 2023.11.12
253 에어비앤비·위워크는 어쩌다가 kimswed 503 2023.11.09
252 품질·디자인 앞세워 세계로 가는 키즈 목욕용품 kimswed 58 2023.11.06
251 슬픈 퇴직과 직업 리모델링 kimswed 51 2023.11.05
250 대륙의 메신저 ‘위챗’ kimswed 67 2023.10.28
249 월급과 경쟁력 kimswed 44 2023.10.27
248 마이스 경쟁력 남주호 엔플러스 kimswed 82 2023.10.26
247 박진현 프리미어플랜 대표 kimswed 64 2023.10.20
246 금주의 무역인 이용광 스톨존바이오 kimswed 76 2023.10.10
245 슬기로운 직장생활 kimswed 48 2023.10.09
244 차이나 ‘국경절 플러스’ 소비를 잡아라 kimswed 71 2023.10.07
243 중국 메타버스 산업의 향후 3대 발전 방향 kimswed 53 2023.09.27
242 K-식음료의 글로벌시장 진출 kimswed 47 2023.09.25
241 베트남 이어 몽골 가는 유통업계 kimswed 57 2023.09.20
240 샐러리맨 30년 현직 CEO가 전하는 ‘슬기로운 직장 kimswed 66 2023.09.15
239 국내 유일 유로믹 회원사로서 DMC 비즈니스 kimswed 80 2023.09.11
238 CEO가 되는 방법 kimswed 94 2023.09.08
237 베트남의 결혼 풍습 kimswed 74 2023.09.07
236 금주의 무역인 정병재 바이코즈 kimswed 70 2023.09.04
235 새로운 근무형태가 사내복지 kimswed 52 2023.09.02
234 인도네시아 시민권을 취득할 때 절차 kimswed 111 2023.09.01
233 차세대 성장원 ‘K-마이스’ 리더들] 이봉순 리컨벤션 kimswed 75 2023.08.29
232 험담은 사실이어도 하지 말아야 kimswed 44 2023.08.26
231 석재민 인터컴 대표 kimswed 52 2023.08.21
230 (66) 회사는 시스템이다 kimswed 71 2023.08.19
229 금주의 무역인 김은실 오셰르 대표 kimswed 56 2023.08.15
228 해외마케팅 성공스토리(6)] (주)케이인터내셔날 kimswed 66 2023.07.27
227 전서윤 블루오리진 대표 kimswed 79 2023.07.25
226 금주의 무역인 박경양 하렉스인포텍 kimswed 70 2023.07.24
225 금주의 무역인 신지웅 EAN테크놀로지 kimswed 78 2023.07.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