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 자동차 산업

kimswed 2019.02.09 06:44 조회 수 : 231

베트남 자동차제조사협회(VAMA)에 따르면 베트남의 2018년 자동차 판매는 전년 대비 5.8% 증가한 288,683대로 나타났다베트남 세관에 따르면 2018년 베트남은 72,650대를 수입했으며 이는 전년보다 거의 20%가 감소한 수치다

 

베트남에서 자동차의 판매량은 경제성장률의 증가와 비례하여 지속해서 증가하고 있으나 자동차 수입은 2015년 125,534대를 정점으로 매년 수입이 감소하고 있다특히 2018년 1분기에는 급격하게 감소했다

 

이러한 수입 감소 배경은 2018년부터 아세안(ASEAN) 국가 간 자동차 관세를 0%로 면제하는 상호 시장을 개방하게 되자 베트남 정부는 자국의 열악한 자동차 산업을 보호하기 위해 수입 자동차의 흐름을 방해하려는 기술적 장벽을 도입했기 때문이다

 

베트남의 비관세 장벽은 정부에서 발표한 Decree 116/2017/ND-CP에 따라 베트남으로 완성 자동차를 수입하려면 각종 테스트를 통과했다는 VTA(Vehicle Type Approval) 인증서를 수출국의 정부로부터 발급받아 제출하는 것이다자동차 생산국가에서 수출용 자동차에 대해서 VTA 인증서를 발급하는 경우는 드물다

 

또한, Decree 125/2017/ND-CP에 따라, 2018년부터 베트남으로 수입되는 자동차 부품에 무관세를 적용했다특혜관세 정책을 누릴 수 있는 대상자는 베트남 정부의 요건(자동차 생산조립수출입)을 충족하는 자동차 제조업체 및 조립업체라는 조건부이다

 

동남아시아 국가 중에서 자동차를 많이 생산하는 태국은 연간 200만대인도네시아는 130만대를 넘어서고 있다베트남 산업통상부에 따르면 베트남에는 자동차 부품산업에 358개의 사업체가 있지만태국에는 2500개의 사업체가 있다.

 

베트남에서 판매되는 대부분 자동차는 키트를 수입하여 베트남에서 조립한 외국 브랜드다또한산업부 자료에 따르면 베트남은 자동차 부품의 90% 이상을 수입한다현대자동차는 2018년 베트남 시장에서 전년 대비 두 배가 넘는 55924대 판매를 기록하며 사상 최초 5만 대 판매를 돌파했다시장점유율도 19.4%를 달성하며 도요타에 이어 2위를 기록하는 등 베트남에서 급격한 성장을 이어가고 있다.

 

현대자동차는 2017년 탄꽁(ThànhCông)과 생산을 위한 합작법인을 설립하여 연간 생산능력을 10만대로 증설하고 2019년 1월 23일 판매합작법인 설립하는 MOU를 체결하고 연간 10만대 판매 체제를 구축했다

 

최근 일본 자동차 제조회사 미쓰비시(Mitsubishi)는 베트남에서 본격적으로 자동차를 생산하는 목표를 세웠다단순한 자동차 조립을 넘어서서 베트남에서 부품 조달을 포함한 본격적인 생산으로 옮길 것으로 보인다.

 

최근 킴롱남(Kim Long Nam JSC)이라는 기업은 중부지방의 경제구역에서 자동차 제조 조립 단지를 개발하는 승인을 받았다. 160ha 규모의 자동차 생산 프로젝트는 연간 16000대의 버스를 생산하도록 설계되었다

 

베트남 자동차 제조업체인 타코(Thaco)는 베트남의 지원산업 발전에 기여하기 위해 베트남 중부지방에 기계센터 개발을 원한다고 발표했다이미 중부지방 추라이 (Chu Lai) 지역에서 기계복합단지를 운영하고 있으며 자동차 역학농업 기계건설 기계 및 기타 산업기계 등으로 영역을 넓히려는 계획이다

 

산업통상부 자료에 따르면 자동차의 현지화 비율은 타코(Thaco)는 개인 자동차의 경우 15~18%, 트럭은 35~45%, 버스는 60%이다. Toyota는 37%이며 동남아시아 다른 국가의 경우는 65~70%이며 태국의 경우 80%이다.

 

베트남의 최대 민간기업인 빈그룹(Vingroup)은 15억 달러를 투자해 빈패스트(Vinfast) 기업을 하이퐁 경제구역에 설립하고 전기 자동차 및 오토바이 제조를 시작했다. 2018년 11월 전기 오토바이 판매를 시작했으며 전기 자동차는 2019년 중에 판매를 계획하고 있다

 

베트남은 자동차 부품을 포함하여 산업보조 부품산업 6개 분야의 육성을 위해 지원산업개발에 대한 111/2015/NĐ-CP 시행령을 제정하여 시행하고 있다기술개발 및 인력양성에 대해 정부에서 지원을 하고 있다

 

 

산업통상부 산하 산업정책전략연구소(IPSI)는 베트남의 자동차 시장이 2025년까지 75~80만대, 2035년까지 170~185만대에 달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세계적인 불황 속에서도 베트남의 자동차 산업은 성장세가 뚜렷한 시장으로 성장하고 있다

 

김석운 베트남경제연구소장

(kswkso@hanmail.net)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530 베트남에서 전기밥솥이 잘 안 팔린 이유 kimswed 366 2019.05.10
529 베트남 확장되는 도시화 kimswed 233 2019.04.20
528 베트남 시장, 이머징마켓 kimswed 260 2019.02.17
527 베트남, 북한이 참고할 만한 경제발전 kimswed 213 2019.02.12
» 베트남 자동차 산업 kimswed 231 2019.02.09
525 베트남 온라인쇼핑 활성화 kimswed 202 2019.02.09
524 베트남 내수시장의 확대 kimswed 221 2019.02.09
523 베트남 모바일 게임시장 kimswed 33 2019.01.29
522 유통 중국 다음은 베트남 kimswed 33 2019.01.21
521 신남방정책, 베트남 수산·가공 kimswed 33 2019.01.20
520 베트남 온라인쇼핑 활성화 kimswed 32 2019.01.17
519 베트남 내수시장의 확대 kimswed 35 2019.01.02
518 베트남 중산층의 증가 kimswed 49 2018.12.20
517 베트남 쇼핑객의 구매향 변화 kimswed 53 2018.11.21
516 베트남, 절대 만만한 시장이 아니다 kimswed 52 2018.11.15
515 베트남 디지털 경제 kimswed 43 2018.11.08
514 베트남 플랫폼 활용 kimswed 54 2018.10.25
513 베트남 식품의 현지화 kimswed 89 2018.10.12
512 베트남 외식 시장 kimswed 971 2018.10.05
511 베트남 스타트업 성장 kimswed 77 2018.09.28
510 베트남 편의점 증가 kimswed 79 2018.09.14
509 베트남)브랜드 마케팅 file kimswed 88 2018.08.30
508 베트남 안전한 식품 file kimswed 83 2018.08.29
507 베트남 주택 수요 kimswed 112 2018.08.20
506 베트남 쇼핑 패턴의 변화 kimswed 112 2018.08.04
505 모바일 앱 시장 열리는 베트남 file kimswed 116 2018.07.07
504 베트남 온라인쇼핑 경쟁 file kimswed 157 2018.06.22
503 베트남 유통시장 인프라 file kimswed 137 2018.05.23
502 베트남은 ‘제2의 도이머이(Doi Moi, 개혁개방) kimswed 144 2018.05.19
501 베트남 사업규제 완화 kimswed 95 2018.05.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