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에서 차가 유행이다. 코로나19로 많은 이들이 건강과 천연 성분의 영양 공급에 관심을 가지면서 차 시장이 주목받고 있다. 지난해 시장은 6억7000만 유로이고 2025년에는 7억9000만 유로로 증가할 전망이다.
 
독일 연방 통계청에 따르면 독일의 2021년 차 수입액은 전년보다 16.4% 증가한 2억356만 유로, 4만7051톤이었다. 같은 기간 차 수출액은 2.7% 늘어난 2억504만 유로였으며 물량은 2만1908톤이었다. 독일의 최대 차 수입국은 인도로 1만2352톤에 달한다. 이어 중국(9554톤), 스리랑카(6970톤), 아르헨티나(3578톤), 말라위(2588톤) 순이다.
 
독일 차협회의 보고서에 따르면 2020년 독일인 1인당 홍차, 녹차, 허브 및 과일차 소비량은 약 70리터였다. 이는 전년 대비 2리터가 증가한 것으로 역대 최고치다. 통계 전문기관 스태티스타에 따르면 독일인 1인당 차 평균 매출액은 2021년 7.84유로에서 작년에는 1.7% 증가한 7.97유로, 2025년에는 9.42유로로 증가할 전망이다.
 
스태티스타의 설문조사에 따르면 2021년 차를 마시는 독일 가정의 58%가 ‘메스머’ 브랜드를 애용했으며 ‘티칸네’(52%), ‘립톤’(37%), ‘밀포드’(31%)가 뒤를 이었다. 자체 브랜드(PB) 제품은 25%로 나타났다. 현재 독일에서는 인플레이션으로 인한 식품 가격 상승으로 일반 브랜드 제품에 비해 가격이 상대적으로 저렴한 PB 제품 수요가 증가하는 추세다.
 
가장 인기 있는 차 종류로는 59%가 ‘과일차’를 꼽았고 ‘허브차’(53%), ‘홍차’(49%), ‘녹차’(47%) 순이었다.
 
독일 프랑크푸르트의 스카이라인플라자 쇼핑몰의 차 전문점 테그슈벤드너 관계자는 “차를 애용하는 고객은 연령에 무관하게 다양하다”면서도 “연령에 따라 차의 종류별 선호에는 약간의 차이가 있다”고 설명했다.
 
독일 젊은이들 사이에서는 말차와 녹차가 유행이다. 허브차의 경우 나이에 상관없이 모두 좋아하고 과일차는 여름에 얼음을 넣어 마시면 맛도 좋고 더위도 식힐 수 있어 인기다. 특히 과일차는 어린이들도 좋아해 가족이 함께 마실 수 있고 저녁 시간에 마셔도 위에 부담이 없으며 수면 방해를 받지 않아 가정에서 주로 구입한다.
 
홍차의 경우 젊은 층보다는 높은 연령대에서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차 전문점을 찾는 애호가들은 티백용 차보다는 직접 덜어서 파는 잎차를 선호하는데, 맛이 좋은 고품질 차를 원하기도 하고 지속 가능성과 친환경을 위해서이기도 하다.
 
테그슈벤드너 매장에 진열된 한국산 차는 다른 수입차에 비해 상대적으로 고급 상품으로 분류돼 품질을 인정받고 있다. 한국 차의 가장 큰 경쟁상대는 일본이다.
 
독일에서는 자연식품과 지속 가능성에 대한 인식이 높아짐에 따라 유기농 차 수요도 급증하고 있다. 글로벌 정보분석기업 닐슨에 따르면 2020년 1~4월 독일의 유기농 차 매출은 5240만 유로로 전년 동기 대비 26.1% 증가했다. 유기농 차 트렌드에 맞춰 독일의 일반 슈퍼마켓이나 드러그스토어 차 코너에는 유기농 차 제품이 다양하고 PB 제품도 늘어나고 있다.
 
KOTRA 프랑크푸르트 무역관 제공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 건강을 위해 차(茶)를 마시는 독일 사람들 kimswed 7581 2023.01.04
728 고령화로 의료시장 기회 kimswed 8029 2022.12.29
727 김문영의 인도경제, 인도상인 이야기(26) kimswed 9180 2022.12.17
726 데이터 기반 경제로 디지털 산업 미래 대비해야 kimswed 9630 2022.12.07
725 이제 인도 시장으로 가야할 때 kimswed 9747 2022.12.03
724 파키스탄, 전자상거래의 해가 뜬다 kimswed 10825 2022.11.21
723 디지털 혁신, 세상 경험 방식 파괴적 변화 초래 kimswed 10951 2022.11.16
722 1억8천만원 있으면 최대 10년 거주 kimswed 11292 2022.10.27
721 왕초보 수출기업, 수출실적 없어도 성장금융 혜택 kimswed 11367 2022.10.20
720 마켓플레이스에서 해외 소비자에 제품 팔려면 kimswed 11200 2022.10.07
719 대만, Z세대 이해하기 kimswed 11118 2022.09.24
718 시알(SIAL) 혁신상으로 본 식품산업 kimswed 11022 2022.09.23
717 말레이시아, 주목받는 ‘비건 뷰티’ kimswed 10814 2022.09.13
716 글로벌 커피산업의 다크호스, 미얀마 kimswed 10816 2022.09.01
715 글로벌 무역환경 급속도로 나빠지고 있다 kimswed 10738 2022.08.30
714 지속 가능성은 선택이 아닌 필수 kimswed 10775 2022.08.25
713 박승찬의 차이나 포커스 (1) kimswed 10264 2022.07.26
712 중국 메타버스는 기회의 땅 kimswed 10157 2022.07.21
711 일본, Z세대 참여로 활기 띠는 남성 화장품 시장 kimswed 9904 2022.07.10
710 배달만을 위한 소규모 창고형 매장 kimswed 9447 2022.06.09
709 ‘포스트 코로나’ 시대 준비(1) kimswed 8230 2022.06.01
708 FTA는 셀러·바이어 모두에 윈-윈 kimswed 8030 2022.05.13
707 바이어를 찾는 7가지 방법 kimswed 7591 2022.04.28
706 샐러리맨 30년 현직 CEO가 전하는 ‘슬기로운 직장생활 kimswed 7227 2022.04.23
705 현지 파트너사·전문가 네트워크 소개해 해외진출 돕는다 kimswed 7226 2022.04.12
704 FTA 활용 성공 디지털 도어록 kimswed 6954 2022.03.28
703 김문영의 인도경제, 인도상인 이야기(9) kimswed 7574 2022.03.14
702 FTA 활용 성공 사례 화학제품 kimswed 7387 2022.03.05
701 중국 MZ세대, ‘탕핑’을 외치다 kimswed 6336 2022.02.17
700 인도 경제, 인도 상인 이야기(6) kimswed 5771 2022.0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