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은행베트남

kimswed 2010.06.13 08:10 조회 수 : 1156 추천:304





우리투자증권(대표이사 황성호)은 31일 베트남 호찌민에서 합작회사인 우리CBV증권 호찌민지점 오픈 기념식을 갖고 본격적인 베트남 영업을 개시했다.

우리투자증권은 지난해 9월께 CBV증권 지분 49%를 인수, 베트남 합작증권사인 우리CBV증권을 출범한 바 있다. 우리CBV증권은 베트남 주가지수(VSI)지수를 자체 개발, 블룸버그와 로이터 등에 제공하고 있으며 베트남 국영기업 기업공개(IPO) 및 기업구조조정 수행도 담당하였다.

이번 호찌민지점 오픈으로 우리투자증권은 수도 하노이 중심의 본사영업에서 벗어나 경제중심인 호치민을 거점으로 한 베트남 전국영업을 본격적으로 시작하게 됐다.

우리투자증권 신사업전략부 관계자는 “우리CBV증권은 3년 내 베트남 5위권 증권사 진입을 목표로 하고 있다”며 “온라인 매매시스템인 머그(mug) 론칭으로 베트남 온라인 증권시장을 석권할 것”이라고 자신했다

베트남에 진출해있는 은행 지점 중 우리은행 호찌민 지점이 가장 나은 실적을 기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MT뉴스는 금융권의 말은 빌려 우리은행 호찌민 지점은 지난해 말 기준 870만 달러의 당기순이익을 거뒀다고 전했다. 시장점유율은 31%에 달했다.


그 뒤를 이은 것은 신한베트남은행. 신한베트남은행은 당기순이익 790만 달러, 시장점유율 28%, 3위는 우리은행 하노이 지점이었다. 530만 달러 순이익을 시현했고, 19%의 시장점유율을 차지했다.


금융권 관계자는 "우리은행 호찌민 지점의 경우 상대적으로 작은 규모의 지점이지만 탄탄한 영업을 통해 나쁘지 않은 실적을 거두고 있다"고 설명했다.





현지 일간신문 뚜이째는 한국의 ㈜전자랜드와 베트남의 빈증 프로덕션 트레이딩 컴퍼니의 합작법인인 푸미 조인트 스톡 컴퍼니(PMDJSC)가 남부 빈증성에 18홀 규모의 골프장 '트윈 도브스 골프 클럽 리조트'를 개장, 본격적인 영업에 들어갔다고 보도했다.


PMDJSC가 빈증성으로부터 165㏊ 부지 개발 인가를 받아 2007년 공사를 시작한 이 골프장은 내년 3월까지 27홀 규모로 확대된다. 또 2013년까지는 192채의 빌라와 1천443세대의 고급아파트, 5성급 특급호텔 및 국제학교도 함께 개발된다고 전했다.


지난해 마이너스 수출 중 유일한 효자 품목

□ 베트남 의류섬유 최대 수출품목으로 부상

’09년 베트남 의류섬유의 해외수출이 91억 달러를 기록하며 베트남 최고의 외환가득산업으로 부상했다. 특히 의류섬유 분야는 베트남 수출이 전반적으로 10% 가량 하락하며 대부분의 품목이 하락세를 보인 가운데 유일하게 전년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한 품목으로 수출효자 품목으로 부상한 것이다.

2009년은 베트남 섬유산업에 매우 특별한 성과를 보인 한 해이며 매년 최대 수출품목인 원유를 제치고 수출품목 1위를 기록했다.

베트남의 섬유의류 수출대상국 중 미국과 EU는 각각 5%, 3.5%의 수출 감소를 기록했으나, 일본은 경제자유협약을 바탕으로 15%의 높은 증가세를 보이며 신규 수출시장으로 자리매김했다. 한국이 67%, 인도가 60%로 크게 증가한 것은 물론 ASEAN 인근 국가로의 수출 또한 29%의 증가세를 보였다.

베트남 섬유산업의 수입대체 흐름도 지속돼 자국산 원자재 비율이 2008년 38%에서 2009년 44%로 크게 증가하는 등 베트남의 섬유관련 산업 경쟁력이 소폭 향상되었다. ’09년 베트남은 섬유원단 수입이 6.9% 감소, 원사와 면류가 각각 0.3% 15.3% 감소한 것으로 파악되며 전체 원부자재 수입이 50억 달러에 달하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베트남정부는 2010년 산업경쟁력 강화와 수출시장 다변화를 통해 수출목표를 전년대비 15% 증가한 105억 달러로 설정하고 산업기술 기반 확대, 베트남 생산제품 브랜드 인지도 확대, 디자이너 및 관련인력 양성 등의 정책적인 지원을 지속할 예정이다.

□ 베트남 섬유의류산업 개요

베트남 섬유의류산업은 전체 GDP의 8%를 차지하며 가공산업을 포함하면 10% 이상을 차지하는 핵심 기간산업으로 고용 면에서 전체 고용인원의 5%에 해당하는 200만 명 이상이 종사하고 있다. 전 세계 153개 수출국 중 10번째 섬유의류 수출강국으로 부상했다.

2007년 기준, 베트남의 섬유의류관련 기업 현황을 살펴보면 유통무역업체를 포함해 총 2390개 사가 영업 중이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섬유의류산업의 메카인 호치민 인근 남부지역에 전체 74%의 기업이 소재하고 하노이 인근 북부가 20.8%, 중부가 5.2%의 분포다.

섬유의류 관련 기업 총 2천390개 사 중 최대 규모인 베트남 섬유의류공사(Vinatex)를 포함한 국영기업이 0.5%, 외국인투자기업이 25%, 나머지는 민간 및 합작기업으로 추정된다.




□ 베트남정부의 최우선 육성 산업

섬유의류 산업은 베트남 경제와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큰 기간산업으로 국내소비 충족, 일자리 창출, 국가 경쟁력 제고 등 다양한 정책목표를 위한 최우선 육성산업이다. 베트남정부는 2020년까지 중장기적으로 집중 육성할 계획이다.

베트남정부는 2010년까지 150억 달러 규모의 생산과 100~120억 달러 규모의 섬유의류 수출 목표를 설정했다. 또한 베트남 섬유의류산업의 경쟁력 강화와 부가가치 확대를 위해 2010년까지 자체 원부자재 사용 비율을 50%, 부가가치 50%로 상향, 2015년까지 80% 수준으로 올릴 예정이다.

베트남정부는 2010년까지 총 30억 달러에 달하는 투자를 전망하며 직물원료 개발(1억8000만 달러), 직물염색공정(22억7000만 달러), 디자인(4억4000만 달러), 국가패션 및 연구센터(2억 달러) 등에 투자 우선순위를 부여했다.




□ 베트남 섬유의류산업의 수출 환경 급속한 개선

섬유의류산업은 2007년 1월 베트남의 WTO 신규가입에 따른 최대 수혜산업으로 지난 2005년부터 WTO 회원국 간 쿼터 폐지에 따른 비회원국의 베트남 수출제한이 해제되면서 2007년 이후 본격적으로 수출이 확대되는 등 빠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최근에는 베트남과 일본 간 경제협력협약의 발효로 일본이 새로운 수출시장으로 각광받고 있다.

베트남은 봉제 관련 기술 축적과 저렴하면서도 숙련된 노동력이 풍부하다는 점 외에도 최근 Post China에 대한 대체지로 각광받으면서 전 세계 섬유의류 기업의 현지 투자확대 및 생산기지 이전이 크게 증가하는 것은 물론, 미국, EU 등 선진국 섬유의류 바이어의 수입대체지로 선호되는 경향 또한 강화되는 추세다.

□ 시사점 및 향후전망

베트남의 섬유 및 의류 수출확대는 현지 진출 국내기업들의 수출확대로 이어지는 직접적인 효과뿐 아니라 한국 원부자재의 베트남 수출확대라는 부수적인 효과를 함께 가져오는 순기능적 효과가 클 것으로 전망된다.

베트남은 한국의 대미 섬유 및 의류 우회 수출을 위한 전진기지로 매우 중요하지만, 최근 생산원가의 급격한 상승으로 경영 환경 악화가 지속되고 있다.

베트남은 급격한 경제성장에 따른 부작용으로 연간 12~20%에 달하는 고물가와 인건비 폭등이 지속돼 섬유의류 기업의 생산원가가 크게 상승했다. 일례로 공장부지 매입비용의 경우 1년 전 ㎡당 25달러에서 최근 50~60달러 수준으로 상승했고 인건비 또한 월급여 60~70달러 수준에서 90~100달러로 크게 증가하는 것은 물론 현지 노동자 파업이 최근 자주 발생하는 상황이다.

또한 베트남은 섬유 및 의류 생산용 원부자재의 약 80%를 수입에 의존해 현지 생산 시 생산비용이 크게 상승하고, 채산성 제고에 어려운 상황임을 인지할 필요가 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 우리은행베트남 file kimswed 2010.06.13 1156
59 포스코베트남 file kimswed 2010.06.05 1257
58 베트남고속도로 file kimswed 2010.05.22 1429
57 브리지스톤타이어 file kimswed 2010.05.09 1145
56 현대제철 file kimswed 2010.05.02 1295
55 베/기업대출이자 file kimswed 2010.05.01 1272
54 태광파워홀딩스 file kimswed 2010.04.02 2291
53 외국인투자본격화 file kimswed 2010.02.20 1334
52 현대파이낸셜타워 file kimswed 2010.02.03 2199
51 태광비나 file kimswed 2010.01.20 1795
50 농약과일베트남 file kimswed 2009.06.09 1591
49 급한성격한국인 file kimswed 2009.06.07 1849
48 LS전선 file kimswed 2009.06.01 1493
47 무역협회인천지부 file kimswed 2009.05.22 1442
46 캄보디아국민은행 file kimswed 2009.05.13 1951
45 해외도피범 file kimswed 2009.05.03 1611
44 베트남도박퇴치운동2 file kimswed 2009.04.30 1216
43 베트남희림 file kimswed 2009.04.18 1439
42 베트남주택사업법 file kimswed 2009.04.02 1582
41 GS건설베트남 file kimswed 2009.03.27 1625
40 베트남투자업체악전고투 file kimswed 2009.03.14 1290
39 기업은행하노이 file kimswed 2009.02.11 1673
38 베트남정유공장 file kimswed 2009.02.10 1645
37 도박퇴치운동 file kimswed 2009.01.08 1582
36 베트남전기부족 file kimswed 2009.01.05 1641
35 베트남환율2009 file kimswed 2009.01.02 1479
34 제주항공 file kimswed 2008.12.23 1378
33 베트남은 위기 file kimswed 2008.12.12 1244
32 하노이고속도로 file kimswed 2008.12.05 1383
31 호치민봉제인력부족 file kimswed 2008.11.26 1474
30 태광발전소수주 file kimswed 2008.11.26 1563
29 수력발전소 수주 file kimswed 2008.11.25 1476
28 해외교포국내송금 file kimswed 2008.11.22 1653
27 베트남상장기업 미래 file kimswed 2008.11.20 1455
26 베트남 화교 file kimswed 2008.11.11 1942
25 베트남수출입업 file kimswed 2008.11.10 1346
24 새화비나 file kimswed 2008.11.05 1387
23 베트남임금 file kimswed 2008.11.04 1618
22 베/회사파산절차 file kimswed 2008.11.03 1709
21 부끄러움이존재 file kimswed 2008.11.01 13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