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중외제약 | |||||
| 베트남 | 진출지역 | 호치민 | |||
| Choongwae Pharma Corp. | |||||
| Address | 3/2 St.. Ward 12. Dist.10. HCMC | ||||
| Tel | (84-8)3863-0233 | FAX | (84-8)3863-0233 | ||
| syjeon@cwp.co.kr | Home Page | ||||
| contact | 성용전 | ||||
|
| |||||
| 취급분야 | Medicine | ||||
| 2009년 부동산 시장, 여전히 암~담 |
![]() |
|
부동산 투자, 부동산 거품이 상당 부분 사라지는 2010년부터 본격적으로 투자를 시작하는 것이 바람직
전문 부동산 전문가들은 2009년 한 해를 부동산 업계 최악의 시기로 잡고 있다. 즉 부동산 시장의 회복세를 간절히 바라는 투자자들의 염원과는 정반대로 2008년에 이어 금년 한 해도 지속적으로 가격이 하락할 확률이 높다는게 대다수 견해다.
한 마디로 아직까지 부동산 거품이 완전히 거치지 않았다는 의미다. 이런 상황에서 베트남 부동산 투자적기는 2010년이 될 것이라는 주장도 만만치 않다. 베트남 계약자 협회의 윙꾸억힙 부회장은 최근 "지난해 말부터 시작된 베트남의 부동산 침체는 상당 기간이 지나야 풀릴 것이며 그 시기는 2010년 이후가 될 것"이라고 조언했다.
즉, 지난해 8월 일부 부동산회사가 도산하면서 시작된 부동산 경기침체는 올해 정부가 인플레를 잡기 위해 대출억제와 고금리정책 등 금융긴축을 강화하면서 지난 1998년 국제통화기금(IMF) 외환위기 수준으로 떨어졌다는 것. 이에 따라 올해 건설업체들은 8-10%의 은행금리를 내고 1-3%의 수익을 얻는데 그쳤다는 지적했다.
그는 2009년도 부동산 시장에 대해서도, "정부가 해외에 사는 베트남인과 일부 외국인들에 대해 부동산 취득을 허용하지만 그 수요는 그리 많지 않을 것이다. 투자가치가 없으면 집을 살 이유가 없다.
내년 말이면 다소의 회복 기미를 보이겠으나 본격적인 회복은 2010년이 돼야 할 것이다. 부동산 투자를 원하는 사람들은 내년을 기다렸다가 2010년부터 투자를 시작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며 이는 베트남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국가들이 마찬가지일 것"이라고 덧붙였다 |
댓글 0
| 번호 | 제목 | 글쓴이 | 조회 수 |
|---|---|---|---|
| 31 | 옥반식품 양파즙 | kimswed | 307 |
| 30 | 하노이 홍응옥 종합병원 | kimswed | 322 |
| 29 | 하노이 빈멕 타임즈 시티 국제병원 | kimswed | 315 |
| 28 | 한국선급 | kimswed | 20455 |
| 27 |
베/서울병원
| kimswed | 20395 |
| 26 |
ABCIS
| kimswed | 20108 |
| 25 |
영재교육베트남
| kimswed | 20099 |
| 24 |
베트남창업지원
| kimswed | 21659 |
| 23 |
벧엘치과
| kimswed | 20940 |
| 22 |
한국수출보험공사
| kimswed | 9308 |
| 21 |
한국생산성기술연구원
| kimswed | 9578 |
| 20 |
중소기업진흥공단
| kimswed | 9171 |
| 19 |
한베성형외과
| kimswed | 9077 |
| » |
중외제약
| kimswed | 9237 |
| 17 |
YE메디칼센터
| kimswed | 9050 |
| 16 |
성모안과병원
| kimswed | 9460 |
| 15 |
베트남사랑의병원
| kimswed | 9652 |
| 14 |
롱안세계로병원
| kimswed | 9574 |
| 13 |
대웅제약
| kimswed | 8948 |
| 12 |
성기철치과
| kimswed | 8976 |


독자 분이 들고 온 서류에는 그 약사라는 사람의 행실에 대하여 고발 고소를 위한 진술서와 진정서 그리고 관련 증거 자료들이 있었다. 아마도 그 약국을 운영하는 분이 다른 식당 겸 휴게소를 운영하며 특정인을 음해하여 명예를 훼손시켰다는 사건에서 본 건이 시작된 듯하다. 어째든 진정인이 들고 온 서류에는 무자격 약사라는 사람의 약사 자격증 사본도 있었는데 그 사본은 누가 봐도 진품이라고 보기 힘들 정도로 조잡하게 꾸며져 있었다. 이름과 주민증들이 인쇄되지 않고 손으로 쓰여져 있었고 관련 기관의 직인도 드러나지 않은 엉성한 사본이었다. 만약 그 사본을 내걸고 영업을 한다면 오히려 의심을 자초하는 일이 될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교민사회가 날로 커지면서 별에 별사람들이 다 들어온다. 게중에는 교민들을 상대로 부당한 이득을 위하려는 사람들도 존재한다. 교민들 서로 같은 한국인을 의심하는 풍토가 생길 판이지만, 무엇보다도 특수한 전문직업인 약국의 경우, 정식 약사 자격증을 갖고 있는 가의 여부는 확실한 사실 확인을 거쳐야 할 일이다. 한번 잘못된 약을 쓰게 되면 인명에 직접적인 피해를 줄 수 있는 중차대한 문제로 그 피해가 어떻게 확산될지 누구도 가늠하지 못할 일이기 때문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