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tra_vars1  
extra_vars2  

삼성전자 휴대폰 등이 베트남 총수출의 25% 담당
직접고용만 16만명...간접고용 더하면 18만명 달해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베트남에 대한 지속적인 투자 확대 계획을 밝혔다. 

이 부회장은 지난 30일 베트남 수도 하노이를 방문, 응우옌 쑤언 푹 총리와 면담한 자리에서 "삼성이 많은 나라에 투자했지만, 베트남처럼 기업의 제안에 귀 기울이고 해결해주는 나라는 많지 않다"면서 "베트남에 대한 장기투자를 계속하고 사업을 확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앞서 푹 총리는 "삼성이 사업 규모와 범위를 계속 확대해서 베트남을 세계에서 가장 큰 생산거점일 뿐만 아니라 세계에서 가장 큰 전략거점이 될 수 있도록 해달라"며 "삼성의 부품 공급망에 참여할 수 있도록 지원해달라"고 요청했다. 

그러면서 푹 총리는 전자정부 구축 분야에 대한 지원을 요청과 함께 "삼성이 베트남에서 성공할 수 있도록 우호적인 조건 조성을 지속해 나갈 것"이라고 약속했다.

이에 이 부회장은 "한국에 돌아가면 간부 회의를 소집해 총리가 제안한 것처럼 베트남에 투자할 수 있는 다른 분야가 있는지 검토하겠다"고 화답했다. 

또 "삼성은 베트남에 생산투자에만 집중하지 않고 연구개발을 촉진하고 있으며 베트남의 지원산업 발전과 국산화 비율 증가는 삼성의 바람이기도 하다"면서 "인력, 부품 공급 분야에서 베트남 기업과 더 많이 협력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삼성은 전자정부 분야에도 경험이 있다. 베트남을 기꺼이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자리에는 이동훈 삼성디스플레이 사장, 심원환 삼성전자 베트남 복합단지장 부사장과 베트남 재무부 차관, 투자기획부 차관 등이 배석했다. 푹 총리는 비공개로 진행된 이 부회장과의 면담에서 삼성의 베트남 투자에 대한 감사와 함께 향후 투자 협력 방안에 대해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부회장이 이날 2박3일 간의 일정으로 베트남 출장길에 올랐다. 지난 2012년 10월 이후 6년 만에 다시 찾은 것이다.  부회장은 베트남 총리 면담에 이어 현지 스마트폰·TV·생활가전 공장도 방문할 계획이다. 

현재 베트남에서 삼성의 위상은 절대적이다. 이 나라 수출의 4분의 1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베트남 정부로선 삼성의 추가 투자도 고대하는 분위기이다. 

31일 베트남 관세청 등에 따르면 지난 10년새 베트남의 수출품목 중 휴대폰의 수출총액은 빠르게 증가해 1위를 기록했다. 

2013년부터 2017년까지 베트남의 휴대폰 수출총액은 약 1550억달러(176조원)이며, 이 기간 매년 두 자릿수 성장률을 유지했다. 또 2017년은 2013년에 비해 240억달러 이상 증가했다. 

이 같은 베트남의 휴대폰 수출 실적 증가는 삼성의 베트남 진출 덕분이다. 2009년 4월 박닌(Bac Ninh) 삼성 공장이 가동되고 그 해 9월부터 베트남産 휴대폰이 처음 수출되기 시작했다. 

베트남은 삼성전자의 최대 생산 기지로. 삼성전자는 2008년 이후 베트남 박닌성과 타이응우옌성에 공장 두 곳을 짓고 연간 1억5000만대에 이르는 스마트폰을 생산하고 있다. 이는 삼성 스마트폰 생산량의 절반에 달한다. 

삼성의 휴대폰∙태블릿 공장 설립으로 박닌과 타이응우옌(Thai Nguyen)은 베트남의 주요 무역 지대가 되었다. 또 휴대폰 수출 증가는 수출총액뿐만 아니라 다른 긍정적인 효과도 가져왔다.

첨단 기술 제품인 휴대폰의 성공은 베트남 정부와 현지 기업인들에게 제품의 부가가치를 높이는 기술에 투자해야 한다는 인식을 심어 주었으며, 이로 인해 베트남의 주요 수출품목을 첨단 기술 제품으로 바꾸는 데 크게 일조했다

삼성그룹은 베트남 호치민에 지난 1995년 법인을 설립한 이후 삼성전기, 삼성SDI, 삼성디스플레이 등의 계열사가 스마트폰, 생활가전 제품, 부품들을 현지 생산하고 있다. 직접 고용만 16만명으로 여기에 간접고용을 더하면 18만명이 삼성과 연관돼 있다. 

재계 관계자는 "이 부회장은 베트남 현지 스마트폰 생산공장, 모바일용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패널 모듈 생산공장 등을 방문할 것으로 보인다"면서 "베트남 총리의 요청이 이뤄지는 만큼 추가 투자가 본격화 할 것"고 말했다.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345 온라인으로 들어온 무역… 화상상담 시대 활짝 kimswed 56 2020.07.05
344 각국 대규모 경기부양책·GVC 재편, 잘 활용하면 호재 kimswed 61 2020.06.24
343 중국 REN을 최적화하라 kimswed 63 2020.09.18
342 여행 등 서비스 확대 주력해야 kimswed 71 2020.01.30
341 지금 여기, 상하이에서 kimswed 72 2023.05.27
340 중국, 인기 제품으로 보는 식품시장 kimswed 74 2021.12.09
339 알렌 정의 마케팅 강의(61)] 불만을 기회로 삼아라 kimswed 77 2019.12.20
338 한중간 조직관리 방식의 동상이몽 kimswed 79 2020.09.01
337 중국 ‘싱글 경제’ 유망품목 잡아라 kimswed 82 2021.05.06
336 중국 소비시장, ‘전자상거래 kimswed 84 2021.03.16
335 디자인 에이스(PT. Design Ace) kimswed 84 2020.07.29
334 한국 기업들의 글로벌 전시회 활용 전략 kimswed 86 2021.06.09
333 FTA 활용 성공사례 철강재 kimswed 86 2020.09.19
332 왕서방을 통해 왕서방을 잡아라 kimswed 87 2021.08.24
331 한국은 사실상 규칙 제정자 kimswed 91 2021.03.05
330 일본 기업들도 디자인 침해 함정 kimswed 92 2021.03.31
329 글로벌기업위기관리연구소 이문국 대표 kimswed 92 2020.07.24
328 중국사업, 국가표준(GB)에 익숙해져야 kimswed 93 2020.10.18
327 화장품 중문 별명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상) kimswed 95 2021.06.03
326 중국 외상투자 핵심 新규정 kimswed 97 2021.02.28
325 2억5000명 중국 탈모 시장 kimswed 98 2021.02.23
324 중국, 홈뷰티 디바이스 열풍 뜨겁다 kimswed 99 2020.10.10
323 미얀마 봉제공장 날벼락 kimswed 102 2021.03.18
322 차이나는 차이나 비즈니스 ‘왕하이 신드롬 kimswed 102 2021.08.17
321 망기스 무역상사 PT.Mulia Karunia Manggis kimswed 102 2020.08.02
320 성장하는 러시아 화장품 시장 kimswed 105 2019.10.21
319 어글리 슈즈’의 인기 비결 kimswed 110 2021.07.08
318 전파력이 강한 브랜드 별명을 지어라 kimswed 112 2021.05.17
317 베트남에 화장품을 수출할 때 kimswed 112 2020.07.06
316 중국에도 지역감정이 있을까? kimswed 114 2020.05.01
315 CJ CGV 인도네시아 kimswed 115 2020.07.30
314 중국사업, 국가표준(GB)에 익숙해져야 한다(2) kimswed 118 2020.10.25
» 이재용 "베트남, 기업에 귀 기울이는 나라…투자·사업 확대 kimswed 118 2018.11.01
312 중국사업 리스크를 보는 방법(2) kimswed 119 2020.05.23
311 FTA 활용 성공 사례 인스턴트커피 kimswed 121 2020.09.29
310 ㈜리틀캣 kimswed 123 2021.03.24
309 고정관념(stereotypic image)을 선점하라 kimswed 123 2019.08.10
308 투자장벽’ 완화… 몸 낮추는 중국 kimswed 124 2019.08.06
307 중국 콘텐츠 마케팅 kimswed 127 2019.10.11
306 중국 내수시장을 가위질하라(3) kimswed 130 2019.1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