캄/투자신고서

kimswed 2014.03.15 08:35 조회 수 : 598 추천:128



해외직접 투자 신고 이후에 청산보고를 해야 하는데 어떤 절처를 거쳐야 하는지요?



답변

정산적인 방법으로 한국에서 해외직접투자신고를 통해서 자금이 캄보디아로 송금이 된 경우에는 송금을 받은 범위 내에서는 아무런 제한이 없이 송금이 가능합니다. 단지 송금받은 금액보다 큰 경우에는 세금을 납부한 실적이 있는 경우에는 마찬가지로 별 문제가 없이 송금이 가능합니다.

다른 방법은로 송금을 하는 방법은 실제로 수입을 하고 수입 대금을 지급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는데 실제로 수입 사업이 없는 경우에는 이 방법은 어려울 것입니다. 또한 관세 절감을 위해서 실제 가격보다 낮은 가격으로 수입을 할 경우에는 당초 보내려는 금액보다 적은 금액을 보낼 수 밖에 없게 됩니다.  일부는 기존에 봉제공장 등 수출입을 하는 회사를 이용하여 송금을 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으나 실제 송금된 금액이 본인에게 전달되지 않을 경우에는 재산상 큰 손해가 있을 수 있으므로 아무에게나 부탁을 할 수 없는 입잡입니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실제 돈을 휴대하여 이동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미화 10,000불까지만 허용을 하고 있어 큰금액을 이동하는데는 좋은 방법인 될 수 없습니다.

다른 합법적인 방법은 로열티나 경영자문료의 형태로 보내는 방법이 있습니다. 금액에는 제한이 없으나 그 명목으로 송금하려는 금액의 14%를 원천징수하여 캄보디아 세무서에 납부해야 하는 부담이 있습니다. 물론 한국과의 조세협정이 체결되어 있으므로 캄보디아에서 납부한 원천징수세 납부 영수증을 받아서 한국에서 연말 세무조정계산을 할 경우에 세액공제 또는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한국에서의 수입이 해외에서 가득한 수입보다 적은 경우에는 캄보디아에서 납부한 원천징수세액을 전액 공제받을 수 없습니다.

그외의 방법으로는 캄보디아 투자위원회(CDC)로부터 사업승인을 받아서 정식으로 사업을 하면서 수입대금을 합법적으로 송금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는데, 그럴려면 CDC승인 대상이 되는 사업을 찾아서 형식적으로라도 설립을 해야함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사업승인 비용이나 사업종목 선택 등에 주의를 기울려야 하므로 전문가의 조언을 받드시 받아야 할 것입니다.

마지막으로 다름 방법으로는 해외 지사난 법인을 설립하는 방법도 있을 수 있습니다만 지사 설립을 위해서는 캄보디아 상무부(Ministry of Commerce)의 엄격한 심사를 받아야 합니다. 게다가 보내는 금액의 크기가 제한적으라 그리 좋은 방법은 아닙니다.

캄보디아는 주변 다른 국가에 비하면 비교적 외화 송수금이 자유로운 나라이라 할지라도 전문가의 도음을 얻어서 신중하게 진행을 해야 할 것입니다.

/ (세법관련질의) 우리회계법인 고동호 회계사 (dhkoh99@gmail.com)

wooriaccounting.com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210 배달만을 위한 소규모 창고형 매장 kimswed 9409 2022.06.09
209 ‘포스트 코로나’ 시대 준비(1) kimswed 8191 2022.06.01
208 FTA는 셀러·바이어 모두에 윈-윈 kimswed 7980 2022.05.13
207 바이어를 찾는 7가지 방법 kimswed 7545 2022.04.28
206 샐러리맨 30년 현직 CEO가 전하는 ‘슬기로운 직장생활 kimswed 7183 2022.04.23
205 현지 파트너사·전문가 네트워크 소개해 해외진출 돕는다 kimswed 7170 2022.04.12
204 FTA 활용 성공 디지털 도어록 kimswed 6900 2022.03.28
203 김문영의 인도경제, 인도상인 이야기(9) kimswed 7536 2022.03.14
202 FTA 활용 성공 사례 화학제품 kimswed 7336 2022.03.05
201 중국 MZ세대, ‘탕핑’을 외치다 kimswed 6298 2022.02.17
200 인도 경제, 인도 상인 이야기(6) kimswed 5722 2022.01.30
199 ‘상표브로커’로부터 내 브랜드를 지켜라 kimswed 5365 2022.01.22
198 인도가 보인다 kimswed 4178 2022.01.01
197 바이어 신용정보 480만 개 연말까지 무료공개 kimswed 2310 2021.12.18
196 인도 비즈니스가 어려워 보이는 4가지 이유(2) kimswed 1484 2021.12.06
195 최성욱 센트비 대표이사 kimswed 1573 2021.11.24
194 차이나 비즈니스 육심원의 퍼플카우 전략 kimswed 1305 2021.11.22
193 중국 식품시장 10가지 트렌드와 4개의 유망시장 kimswed 486 2021.11.12
192 3억 중국인 잠재우는 ‘수면경제’에 주목 kimswed 388 2021.11.05
191 중국 지역상방 커뮤니티를 활용하라 kimswed 374 2021.10.25
190 제주 특산물, FTA 타고 세계로 kimswed 328 2021.09.22
189 데이터 비즈니스의 기회와 함정 kimswed 298 2021.09.17
188 팬데믹 덕본 아세안 온라인 식품시장 kimswed 285 2021.09.04
187 인도네시아에서 ‘할랄 김치’가 뜬다 kimswed 398 2021.08.07
186 온라인 패션업계의 거인이 화장품 시장에 진입 kimswed 293 2021.07.08
185 주식회사 석우 kimswed 414 2021.06.21
184 준비된’ 화상상담 kimswed 282 2021.06.12
183 중국에 지사를 설치하려는데 자격요건 kimswed 273 2021.05.25
182 국내 기업과 북미 바이어 매칭에서 성과나기 어려운 이유 kimswed 223 2021.05.20
181 C-뷰티’ 대표주자 퍼펙트다이어리의 성공비결 kimswed 298 2021.05.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