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사는 식물원료 추출물(HS 1302.19호)과 디퓨져 베이스로서 에탄올(HS 2922호), 증류수(HS 2201호) 등을 ‘배합’하여 방향제 액(HS 3307.49호)을 생산하고 있다. 이 경우 원산지 판정과 관련하여 이 ‘배합’이 ‘단순한 혼합’에 해당하는지가 궁금했다. 한국무역협회 Trade SOS에 이에 대해 문의했다.

 

먼저 원산지 결정의 목적이 무엇인지 알아야 한다. 국내 판매 목적(원산지표시 문제)인지, 수출 목적(FTA 특혜 원산지 문제)인지 여부에 따라 ‘답’이 다르기 때문이다.

 

만일 국내 판매 목적이라면 이는 ‘원산지 표시’ 관련 대외무역관리규정이 적용되며, 수출이 목적이라면 이는 우리나라와 해당 국가간 체결된 FTA 협정의 원산지결정기준이 적용된다.


국내 판매 목적의 경우 대외무역관리 규정 제85조 제8항은 다음과 같이 ‘한국산(역내산)’으로 인정하지 않는 단순한 가공 활동 가운데 ‘단순 혼합’을 포함하고 있다.

 

<대외무역관리규정 제85조(수입물품의 원산지판정기준)>
⑧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를 영 제61조제1항제3호에 규정된 “단순한 가공활동”으로 보며, 단순한 가공활동을 수행하는 국가에는 원산지를 부여하지 아니한다.(하략)
5. 제조·가공결과 HS 6단위가 변경되는 경우라도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되는 가공과 이들이 결합되는 가공은 단순한 가공활동의 범위에 포함된다.(하략)
카. 각피(husking), 탈각(shelling or unshelling), 씨제거 및 신선 또는 냉장육류의 냉동, 단순 절단 및 단순 혼합 수출이 목적일 경우 각 FTA 협정상 불인정 공정을 확인해야 한다.

 

우리나라가 체결한 각 FTA 협정별로 기술하는 방식은 차이가 있으나 거의 대부분 ‘불인정 공정(단순 공정)’이라는 조항을 두어 1) ‘단순혼합(Simple Mixing)’ 및 2) ‘물 또는 그 밖의 수성, 이온, 염화용액에 의한 희석(Dilution)’은 원산지 상품으로 간주하지 아니한다고 기술하고 있다. 여기서 대외무역관리규정이든, FTA 협정이든 ‘단순한 혼합(Simple Mixing)’이 무엇인지, 그 인정 범위는 어디까지인지 해석이 중요하다. 가장 확실한 방법은 권한 있는 국가기관(관세청)에 G사의 제조공정 내용을 정리하여 단순 가공활동 해당 여부에 대한 유권해석을 받는 것이다.


FTA 협정의 불인정 공정 조항에서는 다음과 같이 ‘단순한(Simple)’의 용어와 ‘단순한 혼합의 범위’를 주석을 통해 해석하고 있다(한-인도, 한-콜롬비아, 한-EFTA 등).


① ‘단순한’이란 특별한 기술 또는 그 활동을 수행하기 위해 특별히 생산되거나 설치된 기계, 기기 또는 장비를 필요로 하지 아니하는 활동을 말한다.


② ‘단순한 혼합’은 화학반응을 포함하지 아니한다.


③ ‘화학반응’이란 생화학 가공을 포함하여 분자 내 결합의 파괴 및 새로운 분자 내 결합의 생성, 또는 분자 내 원자의 공간배열 변경을 통하여 새로운 구조를 가진 분자를 만들어내는 가공을 말한다. 화학반응에는 ‘물 또는 그 밖의 용제에 용해, 용매물을 포함한 용제의 제거, 결정수의 첨가 또는 제거’를 포함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G사가 향유(HS 1302.19호)와 디퓨져 베이스로서 에탄올(HS 2922호), 증류수(HS 2201호) 등을 ‘배합’하여 방향제 액(HS 3307.49호)을 생산하는 과정에서 해당 ‘배합’이 다음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한다면 G사의 생산물품은 단순 가공활동에 포함되지 않는 역내산 원산지물품으로 볼 가능성이 높다고 사료된다.


① 귀사가 보유한 특별한 노하우 및 기술에 근거한 Recipe(배합비율 통제 등)에 의한 것, 또는 ② 해당 배합의 결과 기존의 원료·구성요소인 향유와 디퓨져 베이스의 특성이 없어지고 새로운 분자구조를 가진 완제품 방향제 액이 제조되었음이 확인 가능하고 단순히 물에 ‘희석’하는 수준이 아님을 소명 가능함


한국무역협회 회원서비스실 제공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6 바이어의 수출대금 송금 확인 file kimswed 2016.07.16 237
55 농산물에 대한 원산지확인서 발급 file kimswed 2016.07.16 370
54 환변동보험 청약 file kimswed 2016.07.16 100
53 베트남에서의 법인 설립 절차 file kimswed 2016.07.15 545
52 컨테이너 체화료 문제해결은 file kimswed 2016.07.15 183
51 무역 생초보가 수출을 완료한 비결 file kimswed 2016.07.15 139
50 중국에 회사를 설립할때 kimswed 2016.07.15 116
49 영사관의 계약서 확인이 필요한 이유 file kimswed 2016.07.13 268
48 하자로 인한 반품 시 상계처리는 file kimswed 2016.07.13 4718
47 초보기업을 위한 수출절차는? file kimswed 2016.07.13 358
46 중재를 통한 성공적인 무역분쟁 해결사례 file kimswed 2016.07.12 1757
45 VMI거래가 무엇인가요? file kimswed 2016.07.12 813
44 신용장 결제조건시 유의사항은? file kimswed 2016.07.12 557
43 선하증권발행시 세금계산서발행? file kimswed 2016.07.12 280
42 운송업체가 OBL 분실? file kimswed 2016.07.12 1227
41 품목분류가 상이한 경우에도 원산지증명서 file kimswed 2016.07.11 191
40 보세구역에 반입한 제품, 선하증권 양도 방식 file kimswed 2016.07.11 561
39 바이어의 해외 지사로 대금결제 할 경우 제3자 지급? file kimswed 2016.07.11 490
38 태국서 제조하는 용기의 구매비용 처리는? file kimswed 2016.07.11 3233
37 세라믹 코팅 와이어 품목분류는? file kimswed 2016.07.11 306
36 통신자재 수입시 관세 절감법은? file kimswed 2016.07.09 198
35 재수입 시 관세 추징 후 재수입 면세 가능? file kimswed 2016.07.09 902
34 수입통관에 어려움을? file kimswed 2016.07.09 562
33 미생물 수출하기 위한 절차와 인증은 file kimswed 2016.07.07 127
32 바이어 LDP 거래조건을 제시하는데 file kimswed 2016.07.07 693
31 특혜원산지증명서 발급을 위한 인증수출자 취득절차는 file kimswed 2016.07.07 243
30 중국 위안화로도 수출대금을 수령할 수 있나요? file kimswed 2016.07.07 141
29 해외로부터 도입한 설계 기술의 세금은? file kimswed 2016.07.07 163
28 이온화수처리기의 HS분류는 file kimswed 2016.07.07 206
27 원재료의 통관지연으로 생산일정에 문제 file kimswed 2016.07.06 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