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소비자들이 지갑을 여는 대신 짠돌이로 변해 소비 활성화를 기대하는 정부의 근심거리가 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11일(현지시간) 뉴욕타임스(NYT)에 따르면 온라인 할인 쇼핑몰 핀둬둬는 올해 상반기 매출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63% 늘었다고 밝혔다.
 
중국 온라인 쇼핑몰의 양대산맥인 알리바바와 징둥닷컴을 뛰어넘는 수치다.
 
핀둬둬와 미국 자매 쇼핑앱 테무를 창업한 콜린 황의 순자산은 작년 190억달러에서 올해 310억달러(약 41조5천억원)로 급증했다.
 
또 지난달 중국판 X(옛 트위터)인 웨이보에서는 '낮아진 지출' 해시태그가 유행 중 하나였다.
 
경제적 불확실성에 중국인들은 지출을 줄이는 대신 더 많이 저축하고 있다.
 
지난 7월 중국 중앙은행 자료에 의하면 올해 상반기 중국 가계의 은행 예금 증가 규모는 10년 만에 가장 큰 1조6천억달러에 달했다.
 
커피 전문점의 가격 경쟁을 통해 중국인들의 근검절약을 가장 체감할 수 있다.
 
루이싱커피는 스타벅스보다 낮은 가격을 앞세워 1만800개의 매장을 내며 중국에서 가장 인기 있는 커피 체인이 됐지만 최근 새로운 강자가 나타났다.
 
쿠디 커피가 같은 음료 가격을 경쟁사보다 1위안(약 183원) 적게 책정하는 전략으로 매장 수를 창업 1년도 안 돼 5천800개 이상으로 확대한 것이다.
 
남편의 수입이 3분의 2로 줄었다는 후베이성의 한 대학 근무자 천시시(33) 씨는 "스타벅스에서 사는 대신 루이싱과 쿠디 가운데 더 싼 쪽에서 산다"고 말했다.
 
천씨는 "경제적 모멘텀이 분명히 약화했다"면서 "무엇을 위해 돈을 모으고 싶은지는 모르지만, 돈이 있으면 더 안정감을 느낄 수 있을 것 같다"고 털어놨다.
 
이런 현상은 소비자들이 더 많은 돈을 쓰기를 바라는 중국 지도자들에게 걱정스러운 신호라고 NYT는 지적했다.
 
정부는 호황과 불황을 오가는 인프라 지출 및 부동산 투자의 대안으로 국내 소비 증가에 기대를 걸고 있다.
 
중국의 '위드 코로나' 전환 후 처음 맞은 중추절·국경절 황금연휴(9월 29일~10월 6일) 기간 소비 지출도 팬데믹(전염병의 세계적 대유행) 이전 수준을 밑돌았다고 CNBC방송은 전했다.
 
중국 상무부는 연휴 기간인 9월 29일~10월 5일 소매 판매가 1년 전보다 9% 증가했다고 밝혔다.
 
하지만, UBS증권의 추산에 따르면 최근 다년간의 추세는 팬데믹 시작 이후 1년 3% 미만의 성장을 가리키고 있다.
 
2022년 소매판매는 0.2% 감소했고 2019년에는 8% 성장한 것으로 집계됐었다.
 
UBS의 크리스틴 펑 책임자는 "2024년 말 소비 증가율은 5~6%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한다"면서 "가까운 미래에 소매 판매 증가율이 9%로 돌아갈 리는 없다"고 말했다.
 
HSBC에 따르면 지난달 중국인의 국내외 사치성 지출은 2019년의 약 80% 수준이었다.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240 중국 사업 리스크를 보는 방법(1) kimswed 115 2020.05.09
239 중국사업 리스크 대응은 어떻게 해야 kimswed 129 2020.06.05
238 중국 화장품 규정 바뀐다 kimswed 132 2020.05.16
237 라오스 대표 기업이 말하는 산업별 전망 kimswed 138 2020.06.15
236 중국, Z세대의 소비행태 kimswed 158 2020.11.07
235 글로벌 온라인 식품시장 고성장 예상 kimswed 164 2020.08.10
234 2020년 내수기업의 수출기업화 지원 사업 kimswed 168 2020.02.08
233 옷을 팔기 시작한 일본 편의점 kimswed 169 2020.10.06
232 [FTA 활용 성공사례] 흡수냉동기제품 kimswed 180 2020.06.01
231 FTA 활용 성공사례] 종합인쇄솔루션 kimswed 181 2020.03.26
230 경직된 한중관계 대화의 물꼬 kimswed 189 2019.03.31
229 ‘란런’ 경제 성공비결 china kimswed 190 2019.03.29
228 대중 수출, 옌타이 보세항구 이용하면 쉬워진다 kimswed 192 2019.03.01
227 중국 시장, 신소비채널과 전시회에 집중하라 kimswed 194 2019.11.09
226 인도네시아 전자상거래 시장 kimswed 196 2019.03.03
225 이메일 무역 사기 급증 kimswed 197 2020.08.28
224 작지만 강한 브랜드로 전 세계 줄 세우려면 kimswed 197 2019.05.31
223 동남아 가전시장 트렌드 공략하라 kimswed 198 2020.07.07
222 5대 유망소비재에 무역보험 8조 지원 kimswed 198 2019.06.15
221 인공지능이 무역하는 시대 kimswed 198 2019.10.01
220 따라가지 않는다, 따라오게 만든다 kimswed 202 2019.06.03
219 박승찬의 차이나는 차이나 비즈니스(30)] 중국 서남지역시장의 키워드 kimswed 204 2019.11.29
218 만만치 않은 베트남 제약시장 진출 kimswed 209 2019.06.20
217 알렌 정의 마케팅 강의(62)] 효율성과 효과성의 차이 kimswed 209 2020.01.13
216 베트남 부동산시장의 전망 kimswed 210 2019.05.15
215 제품 홍보엔 광고보다 SNS 마케팅이 효과적 kimswed 211 2019.10.11
214 중국 전자상거래 시장에서 성공하고 싶다면 kimswed 211 2019.12.18
213 전북대학교 GTEP 시작이 반이다 kimswed 212 2019.03.21
212 중국사업, 전문 기업사냥꾼을 조심 kimswed 213 2019.04.28
211 중동 뷰티시장 kimswed 213 2019.05.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