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AI) 시대 주도권을 둘러싼 세계 각국의 경쟁이 새해에도 뜨겁게 달아오를 전망이다. 2022년 11월 생성형 AI 챗GPT의 등장으로 불붙은 AI 경쟁에 미국과 중국은 물론 유럽, 중동, 아시아 각국이 속속 뛰어들고 있다.
 
아랍에미리트(UAE)를 구성하는 토후국 중 하나인 아부다비는 지난해 11월 말 AI 기업 ‘ai71’을 설립했다. ai71은 생성형 AI의 기반이 되는 기술인 거대언어모델(LLM) ‘팰컨(Falcon)’을 상용화할 계획이다.
 
프랑스 AI 스타트업 미스트랄은 12월 11일 4억 달러(약 5200억 원) 규모의 대규모 투자를 유치했다고 발표했다. 창업한 지 7개월 된 이 회사의 기업 가치가 20억 달러(약 2조6000억 원) 이상이라는 평가도 나왔다.
 
지난해 말 인도에서는 AI 스타트업 사르밤이 인도어 모델 구축을 위해 4100만 달러(약 530억 원)의 투자를 받은 데 이어 또 다른 AI 스타트업 크루트림이 인도 최초의 다언어 LLM을 공개했다.
 
영국 시사주간지 이코노미스트는 1일(현지시간) AI 산업 주도권을 두고 벌어지는 각국의 경쟁을 소개하면서 ‘AI 국가주의 시대(the era of AI nationalism)’라고 명명했다. 이코노미스트는 아부다비 ai71, 프랑스 미스트랄, 인도 크루트림 등 세 회사가 각자 다른 방식으로 “AI 국가 챔피언이 되기 위해 경쟁을 벌이고 있다”고 보도했다.
 
ai71을 지원하는 아부다비 정부 기관인 첨단기술연구위원회의 파이살 알 반나이는 “ai71이 (챗GPT를 만든) 오픈AI 같은 곳들과 전 세계적으로 경쟁하기를 원한다”고 말했다. 인도 크루트림을 설립한 바비쉬 아가르왈은 챗GPT를 비롯해 영어를 우선으로 하는 LLM은 “우리의 문화와 언어, 정신을 담아낼 수 없다”고 말했다.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은 최근 미스트랄을 두고 “프랑스의 천재”라고 칭송하기도 했다.
 
이코노미스트에 따르면 AI 기술 경쟁의 중심에 있는 미국과 중국은 지난해 각각 400억∼500억 달러(약 51조8000억∼64조8000억 원)에 이르는 AI 투자를 약속한 바 있다.
 
이코노미스트는 다른 국가들도 이에 뒤처지거나 외국 기술에 종속되는 것을 원하지 않고 있다면서 “영국, 프랑스, 독일, 인도, 사우디아라비아, UAE는 AI에 총 400억 달러 규모의 지원을 약속했다”고 전했다.
 
특히 국가 주도의 접근 방식은 사우디아라비아와 UAE 등 중동 국가에서 성과를 내고 있다. ‘오일 머니’로 자금력이 풍부한 데다 사생활 침해와 일자리 대체 등 AI가 미칠 영향에 대한 유권자들의 우려를 신경 써야 하는 서방 정부들보다 추진력이 빠를 수 있다는 게 이코노미스트의 분석이다.
 
UAE의 ai71가 구축한 LLM 팰컨은 미국의 거대 IT 기업인 메타의 ‘라마(Llama)2’에 필적한다는 평가를 받기도 했다. 이코노미스트는 ai71가 보건, 교육 등 국가 데이터를 이용해 오픈소스 팰컨 모델을 개선할 계획이라면서 ai71가 활용하는 국가 데이터에 “언젠가 석유도 포함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아부다비 첨단기술연구위원회의 알 반나이는 “지난 50년 동안 석유가 국가를 이끌었지만, 지금은 데이터가 새로운 석유”라고 했다.
 
연방정부와 주정부가 공공 데이터 제공을 꺼리는 미국과 달리 인도와 일부 유럽 국가들은 AI 산업 육성을 위해 공공 데이터 제공에도 적극적인 입장이다. 미스트랄의 아서 멘쉬 최고경영자(CEO)는 공공 데이터 이용과 관련해 프랑스 정부가 적극 지원하고 있다고 말했다. 영국은 기업들이 국민보건서비스(NHS)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이코노미스트는 그러나 국가 주도의 또는 정부가 전폭적인 지원을 하는 ‘AI 국가주의’에는 위험도 따른다면서 “국민 건강과 같은 민감한 데이터를 기업에 넘기는 것은 영국, 프랑스, 독일은 말할 것도 없고 독재적 국가에서도 대중의 반발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고 지적했다. 또 미국, 유럽연합(EU) 등이 오픈소스 AI 모델 사용을 제한한다면 오픈소스 AI 모델에 대한 중동의 베팅이 실패할 수도 있다고 이코노미스트는 내다봤다.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180 대중국 화장품 수출기업이 직면한 세 가지 kimswed 309 2021.03.13
179 중국에서 등록한 상표 ‘불사용 취소신청’ kimswed 312 2021.03.08
178 제주 특산물, FTA 타고 세계로 kimswed 328 2021.09.22
177 비엔비테크 제품이 아니라 마음을 팔아라 kimswed 333 2019.04.15
176 [㈜닷 점자 스마트워치로 세계를 놀라게 하다 kimswed 337 2019.04.21
175 파키스탄, 팽창하는 중고의류 시장 kimswed 351 2020.08.15
174 중국인이 좋아 하는 중문 브랜드 kimswed 366 2021.04.17
173 중국 지역상방 커뮤니티를 활용하라 kimswed 374 2021.10.25
172 3억 중국인 잠재우는 ‘수면경제’에 주목 kimswed 388 2021.11.05
171 인도네시아에서 ‘할랄 김치’가 뜬다 kimswed 396 2021.08.07
170 주식회사 석우 kimswed 411 2021.06.21
169 바이러스, 시장 풍경을 바꾸다 kimswed 445 2021.01.27
168 한국 통조림제품 기업의 베트남시장 확장을 위한 거래제안 kimswed 457 2019.05.13
167 베/한국기업 file kimswed 479 2014.06.01
166 중국 식품시장 10가지 트렌드와 4개의 유망시장 kimswed 486 2021.11.12
165 베트남폭도주의보 file kimswed 503 2014.05.15
164 실무자 피드백이 즉각적인 역량 강화로 kimswed 505 2021.03.03
163 베/TPP협약 file kimswed 513 2014.01.24
162 베/수출산업 file kimswed 517 2014.02.04
161 베/수입통관규제 file kimswed 521 2013.11.01
160 베/특정상품관세인하 file kimswed 522 2014.02.18
159 한국어교실 file kimswed 524 2014.05.11
158 베/부동산시장 file kimswed 526 2014.03.01
157 베/농산물수출 file kimswed 529 2014.01.02
156 베/산업재해 file kimswed 529 2014.05.01
155 베/TPP협상 file kimswed 530 2014.05.11
154 베/아파트매입 file kimswed 532 2014.03.01
153 베/세제개편 file kimswed 537 2014.05.01
152 베/건설사전망 file kimswed 538 2013.12.06
151 베/FTA file kimswed 540 2014.05.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