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토지제도의 함정을 조심하라

kimswed 2019.07.09 16:04 조회 수 : 144

extra_vars1  
extra_vars2  

중국 중앙정부가 집체토지 반환을 시작한 지도 15년이 흘렀다. 지방정부의 경제개발구에 대한 대대적인 정리 작업은 아직도 진행형이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반드시 경제개발구에 대한 등급을 꼭 확인해야 한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국가급, 성(省)급, 시(市)급을 반드시 확인해야 하고, 성급 이하는 투자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시급 이하의 경제개발구인데도 “토지를 무상으로 제공하겠다”와 같은 달콤한 말을 한다면 절대 믿으면 안 된다. 사전에 반드시 토지대장을 통해 확인해야 한다. 한편, 집체토지라고 무조건 외국기업이 사용할 수 없는 것은 아니다.

 

중국 <토지법> 제35조 5항에 의하면, “국무원이 기본농지의 보호 의무를 부과하면서 각 성, 자치구, 직할시에도 관할 행정구획 내 토지의 80% 이상을 농지로 보호할 것을 의무화해야 한다”고 설명하고 있다. 즉, 집체토지의 80%는 반드시 농용토지로 보호해야 하지만, 나머지 20%는 지방정부가 지역발전의 필요에 따라 사용할 수 있다는 애기다. 단, 반드시 건물을 올린 후 매각‧양도‧임대 등을 할 수 있으며 사용권의 소유자가 변동되었다는 것을 현지 지방정부의 허가비준을 받아야만 사용할 수 있다.

 

셋째, 미지정 토지는 산야, 사막, 구릉 등과 같이 바로 개발하기 어려운 토지를 말한다. 용도가 지정되어 있지 않아서 ‘미지정 토지’라고 부르며, 엄격히 말하면 ‘미지정 토지’도 국유토지에 포함된다고 이해하면 된다.

 

 

일반적으로 정부와 양도계약을 체결한 1차 사용권자가 개발이용 기한 1년이 넘도록 사업에 착수하지 않으면, 토지 유휴비(평균 양도금액의 20% 이하)를 징수당하고, 2년이 넘도록 사업에 착공하지 않으면 토지 사용권을 무상으로 몰수당할 수도 있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사진은 상하이시. [사진=뉴시스]

 


이처럼 복잡한 중국 토지제도를 이해하기란 결코 쉽지 않다. 하지만 필자가 설명한 내용을 토대로 정리하면 큰 어려움은 없을 것이다. 그렇다면, 중국 사업에 있어 토지 사용권 관련 몇 가지 주의사항을 살펴보자.

 

첫 번째, 출양(出讓)과 전양(轉讓)의 차이점을 명확히 이해해야 한다. 사실 비즈니스 중국어에서 두 단어는 상황에 따라 모두 ‘양도’라고 번역되기도 한다. 그러나 토지 사용권에 있어 ‘출양’과 ‘전양’은 엄연한 차이가 있다. 먼저 출양(出讓)은 계약의 주체가 국가와 토지 사용권자 간의 계약을 말하고, 흔히 1급 거래라고 부르는 ‘양도계약’의 개념이다. 그러나 전양(轉讓)은 국가로부터 토지를 양도받은 1차 사용권자가 다시 2차 사용권자에게 토지를 재양도하는 일종의 ‘기업 간 전매계약’으로, 흔히 2급 거래라고 부른다. 따라서 법률 성격상 출양은 행정행위이고, 전양은 민사행위라고 볼 수 있다.

 

특히, 1급 거래인 양도계약은 규정된 개발이용기한을 잘 지켜야 한다. 일반적으로 정부와 양도계약을 체결한 1차 사용권자가 개발이용 기한 1년이 넘도록 사업에 착수하지 않으면, 토지 유휴비(평균 양도금액의 20% 이하)를 징수당하고, 2년이 넘도록 사업에 착공하지 않으면 토지 사용권을 무상으로 몰수당할 수도 있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또한, 2급 거래인 토지전매 계약의 경우 지방별로 허가를 안 내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 

 

두 번째는 토지 사용권을 현물출자로 진행할 경우의 주의사항이다. 일반적으로 중국기업과 조인트 벤처기업 설립 시 중국기업이 토지를 현물 출자하는 경우가 많다. 토지 사용권은 중국측 출자자가 유상양도를 받은 출양토지를 현물로 출자하는 것이 원칙이다. 그러나 유상양도 자금이 없거나 무상 할당된 획발토지를 출양토지 사용권과 같은 방식으로 합자기업에 현물 출자하려고 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사전에 반드시 확인이 필요하다.

 

무상 할당된 토지사용권의 경우는 유상 사용권과 달리 양도‧임대‧담보 설정이 불가능하고, 사용 기간이 규정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언제라도 지방정부가 필요에 따라 토지를 강제로 몰수할 수도 있음을 숙지해야 한다. 과거 우리 기업들이 중국에 투자하여 공장을 설립하여 운영하다 갑자기 도시개발이나 고속도로 건설계획에 해당 공장 부지가 포함되어 어떤 보상도 받지 못하고 쫓겨 나온 사례가 종종 있었다. 또 하나는 중국 측이 할당받은 토지를 현물출자로 인정하는 경우 출자액 평가 시 이런 위험성이 크다는 것을 중국 측 파트너에게 상세히 설명해 가능한 낮은 평가금액(투자금액)으로 책정되도록 협상하는 지혜도 필요하다.


세 번째로 토지 사용권의 유동성과 감가성에 주의해야 한다. 출양토지 사용권의 경우 전매‧임대‧담보를 설정할 수 있으나, 토지 자체를 상품으로서 양도할 수는 없다. 반드시 이용목적에 맞는 사업이거나 관련성이 있어야 하기에 그 유동성과 시장성 측면에서 다소 제약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사용권을 양도하거나 담보를 설정하는 경우는 남아 있는 토지사용 잔존 기간에 따라 감가 상각된다. 중국 회계규정에서도 토지사용 연수에 따라 정액을 감가상각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다. 토지 잔존연수가 길게 남으면 높게 평가하고, 낮게 남으면 거의 실질가치를 인정하지 않는 경우도 있으니 잘 활용할 필요가 있다.


네 번째는 지난 호에서 강조했던 것처럼 토지와 지상 건축물은 불가분의 관계라는 것이다. 토지와 그 위에 세워진 지상 건축물의 소유권과 관련해 국가가 토지 소유권을 보유하고 있고, 지상 건축물은 법인 및 자연인이 소유할 수 있는 분리소유의 방식이다. 건물 소유주는 일반적으로 건물과 부착된 토지의 사용권을 보유하며, 토지와 그 위의 건축물은 양도 및 저당권 설정이 동시에 진행된다. 요약하면, 건물 소유권에 대한 저당권 및 양도는 당연히 해당 건물에 할당된 토지 사용권에 대한 저당 및 양도로 이어진다는 의미이다.

 

최근 들어, 중국에서도 토지 사용권 기한 만기가 도래하면서 이에 대한 의견이 분분하다. 2016년 11월 중국 정부는 ‘재산권 보호 제도의 개선 및 법률에 따른 재산권 보호에 관한 의견’을 발표하면서, ‘토지 사용권 만기가 도래한 토지에 대해 자동으로 기한을 연장하고, 별도의 비용도 받지 않는다’고 발표한 바 있다. 출양토지의 합법적인 토지에 합법적인 계약을 진행했다면 걱정할 필요 없다. 문제는 획발토지 혹은 집체토지가 포함된 비즈니스다. 꼼꼼히 체크하고 대응을 준비해야 한다. 토지는 중국 사업의 기본이기 때문이다.

박승찬

중국 칭화대에서 경영학 박사를 취득했다. 대한민국 주중국대사관에서 중소벤처기업지원센터 소장을 5년간 역임하며 3000개가 넘는 기업을 지원했다. 현재 중국경영연구소 소장과 용인대학교 중국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144 알렌 정의 마케팅 강의(52)] 고객 생애 가치(CLV) kimswed 156 2019.10.28
143 한국 농산물 중국 수출의 물꼬가 터졌다 kimswed 156 2020.10.29
142 한류에만 의존해 아세안 시장 공략하는 데엔 한계 kimswed 156 2019.02.22
141 서른 살 ‘지우링허우’ 대상 마케팅 포인트 kimswed 155 2019.12.09
140 FTA 활용 성공 사례] 샌드브라스트기계 kimswed 155 2020.07.16
139 대중 수출 1679품목 관세 완전 철폐 kimswed 153 2019.01.04
138 중국 식품시장에 성공적으로 진입하는 방법 kimswed 151 2019.03.08
137 GS이니마 kimswed 148 2022.02.09
136 화장품 중문 별명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하) kimswed 147 2021.06.14
135 중국 비즈니스 씨트립의 낯선 두 얼굴 kimswed 146 2019.02.02
134 현대 중국을 파악하는 키워드 kimswed 144 2018.12.30
» 중국 토지제도의 함정을 조심하라 kimswed 144 2019.07.09
132 모잠비크 시장 kimswed 141 2019.03.04
131 변화에 빠지고 개선에 美쳐라 kimswed 141 2019.09.09
130 충북기업 세계로 날다 농업회사법인 씨알에프앤씨 kimswed 141 2020.10.06
129 상기하자 ‘동아시아 국제분업구조 kimswed 141 2019.02.23
128 오스템의 ‘페인 포인트’ 전략 kimswed 140 2021.12.13
127 중국의 ‘라마’와 ‘따마’를 잡아라 kimswed 139 2020.03.05
126 중국 비즈니스 가야할 때가 언제인가 kimswed 139 2019.02.28
125 동남아에서 K-헬스제품 인기 kimswed 139 2021.12.30
124 중국 비즈니스의 정답과 해답 kimswed 137 2020.09.11
123 12월 1일 발효 중국 수출통제법 kimswed 137 2020.11.01
122 충북기업 승현기업 kimswed 136 2020.11.24
121 중국은 지역별로 통관방식과 절차가 다른가요? kimswed 132 2020.01.02
120 중국인은 흥부와 놀부를 모른다 kimswed 132 2019.12.18
119 중국 내수시장을 가위질하라(3) kimswed 130 2019.10.16
118 중국 콘텐츠 마케팅 kimswed 127 2019.10.11
117 투자장벽’ 완화… 몸 낮추는 중국 kimswed 124 2019.08.06
116 고정관념(stereotypic image)을 선점하라 kimswed 123 2019.08.10
115 ㈜리틀캣 kimswed 123 2021.03.24
114 FTA 활용 성공 사례 인스턴트커피 kimswed 121 2020.09.29
113 중국사업 리스크를 보는 방법(2) kimswed 119 2020.05.23
112 이재용 "베트남, 기업에 귀 기울이는 나라…투자·사업 확대 kimswed 118 2018.11.01
111 중국사업, 국가표준(GB)에 익숙해져야 한다(2) kimswed 118 2020.10.25
110 중국에도 지역감정이 있을까? kimswed 114 2020.05.01
109 CJ CGV 인도네시아 kimswed 114 2020.07.30
108 베트남에 화장품을 수출할 때 kimswed 112 2020.07.06
107 전파력이 강한 브랜드 별명을 지어라 kimswed 112 2021.05.17
106 어글리 슈즈’의 인기 비결 kimswed 110 2021.07.08
105 성장하는 러시아 화장품 시장 kimswed 105 2019.1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