캄보디아



캄보디아에 투자한 한국 기업의 위기 탈출 전략

캄보디아에 투자한 한국 기업들이 높은 관세(36%)로 인해 인접국인 베트남(20%)이나 인도네시아(19%)로 생산 라인을 이전하는 것을 고려해야 하는 어려운 상황에 처해 있다는 점을 이해합니다. 이러한 생산 라인 전체를 옮기는 것은 막대한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는 쉬운 결정이 아닙니다. 현재의 위기를 탈출하고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한 최선의 방법을 다각적으로 모색해야 합니다.

다음은 현재 위기를 탈출하기 위한 몇 가지 전략입니다.

1. 현지 생산 최적화 및 경쟁력 강화

생산 라인 이전을 결정하기 전에 캄보디아 내에서 현재 상황을 최대한 활용하고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합니다.

  • 생산 효율성 극대화: 생산 공정을 면밀히 분석하여 불필요한 비용을 줄이고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찾아야 합니다. 자동화 도입, 숙련된 인력 양성, 에너지 효율 개선 등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 고부가가치 제품 생산 전환: 고관세에도 불구하고 수익성을 확보할 수 있는 고부가가치 제품으로 생산 품목을 전환하는 것을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이는 기술력이나 브랜드 인지도를 활용하여 차별화된 제품을 생산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 캄보디아 내수 시장 공략 강화: 캄보디아 내수 시장의 성장 잠재력을 파악하고, 현지 소비자들의 니즈에 맞는 제품을 개발하여 내수 시장 판매를 확대하는 전략도 중요합니다. 이는 관세 부담을 직접적으로 회피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 현지 공급망 강화: 현지에서 조달 가능한 원자재나 부품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수입 의존도를 낮추고 물류 비용을 절감하는 방안을 모색해야 합니다.

2. 생산 거점 다변화 및 전략적 이전

캄보디아에서의 사업을 유지하면서 동시에 관세 부담을 줄일 수 있는 생산 거점 다변화 전략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 단계적인 생산 라인 이전: 생산 라인 전체를 한 번에 이전하는 것이 어렵다면, 핵심 공정이나 고관세 품목의 생산 라인부터 베트남이나 인도네시아로 점진적으로 이전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리스크를 분산하고 이전에 필요한 자원과 시간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 투트랙(Two-track) 전략: 캄보디아에서는 현지 시장 공략이나 특정 제품 생산을 유지하고, 관세 부담이 큰 수출용 제품 생산은 베트남이나 인도네시아와 같은 인접국으로 이전하는 투트랙 전략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 협력 및 합작 투자 모색: 베트남이나 인도네시아 현지 기업과의 협력 또는 합작 투자를 통해 생산 라인 이전에 따르는 부담을 줄이고 현지 시장 진입을 용이하게 하는 방안을 모색할 수 있습니다.

3. 정부 및 기관의 지원 활용

한국 정부, 유관 기관, 그리고 캄보디아 정부와의 협력을 통해 위기 극복을 위한 지원을 모색해야 합니다.

  • 한국 정부 및 유관 기관 지원 요청: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 한국수출입은행 등 한국 정부 및 유관 기관에 해외 투자 기업 지원 프로그램, 금융 지원, 정보 제공 등을 요청해야 합니다. 또한, 캄보디아 진출 기업들의 애로사항을 한 목소리로 전달하여 정부 차원의 외교적 노력을 이끌어내는 것도 중요합니다.

  • 캄보디아 정부와의 협상: 캄보디아 정부에 관세 인하 또는 기업 지원 정책 마련을 요청하는 등 외교적 노력을 기울일 필요가 있습니다. 현지 진출 한국 기업 협의체 등을 통해 공동의 목소리를 내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 자유무역협정(FTA) 활용: 캄보디아가 체결한 자유무역협정(FTA)이 있다면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관세 혜택을 받을 수 있는 방안을 검토해야 합니다.

4. 장기적인 관점에서의 시장 분석 및 사업 재편

단기적인 위기 대응뿐만 아니라 장기적인 관점에서 동남아시아 시장을 분석하고 사업 구조를 재편하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 동남아시아 생산 거점 전략 재수립: 동남아시아 전체를 하나의 생산 및 소비 시장으로 보고, 각 국가별 장단점(관세, 인건비, 인프라, 시장 규모 등)을 고려하여 최적의 생산 거점 전략을 재수립해야 합니다.

  • 글로벌 공급망 재편 동향 파악: 미중 무역 갈등 등 글로벌 공급망 재편 동향을 주시하며, 이에 따른 기회 요인이나 위협 요인을 파악하여 선제적으로 대응해야 합니다.

이러한 전략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기업의 상황에 맞는 최적의 해결책을 찾아야 합니다. 급작스러운 결정보다는 신중한 분석과 단계적인 접근이 중요하며, 전문가의 조언을 구하는 것도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혹시 기업의 주력 생산 품목이나 현재 규모에 대한 정보를 알려주실 수 있으신가요? 좀 더 구체적인 조언을 드릴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 캄보디아에 투자한 한국 기업의 위기 탈출 전략 admin 0
80 캄보디아 36%관세 한국투자기업의 예상진로 admin 1
79 캄보디아 성씨계보 kimswed 101
78 캄보디아 관세폭탄 49% admin 55
77 캄보디아 투자진출 유망 kimswed 7102
76 캄보디아, 한국 기업이 꼽은 미래 아세안 협력국 3위 kimswed 7072
75 캄보디아, ‘포스트코로나 경제’ kimswed 7087
74 캄보디아의 향기로운 꽃나무 kimswed 14127
73 캄농회, 제주 보롬왓 이종인 대표 초청 강연 kimswed 18398
72 내 손안의 작은 비서! 캄보디아 필수 어플 kimswed 18469
71 캄보디아, 확장하는 냉장·냉동 가공식품 트렌드 kimswed 18235
70 소셜미디어로 들여다보는 캄보디아 kimswed 18411
69 시하누크빌 중국인 복합단지 급습 kimswed 18293
68 코로나 걸리면 한국 못가 kimswed 18237
67 캄보디아, 식품·외식시장 발전 kimswed 18280
66 이색 레스토랑 kimswed 18171
65 캄보디아 출입국관리법 kimswed 18372
64 캄보디아, 코로나19로 직격탄 맞은 관광산업 kimswed 18145
63 캄보디아, 해외투자자 등에 코로나19 격리 면제 kimswed 18102
62 캄보디아인들의 못 말리는 페이스북 사랑 kimswed 18618
61 캄보디아, 가깝고 편리한 편의점이 뜬다 kimswed 18131
60 명랑핫도그 프놈펜점 kimswed 18320
59 CLMVT’ 진출 성공 최고 비결은 참을성 kimswed 18131
58 한국어능력시험의 모든 것 kimswed 19048
57 프놈펜 헤브론병원 kimswed 18909
56 캄보디아 스떵뜨라엥 여행기 kimswed 18288
55 메콩강 물 밑으로 떠나는 캠핑 kimswed 18151
54 캄보디아에서 안전하게 살기 위한 팁 kimswed 16697
53 아세안의 기대주, 캄보디아에서 찾는 수출 기회 kimswed 12285
52 브렉시트 불똥’ 튄 캄보디아 kimswed 122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