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항만산업

kimswed 2016.05.31 09:23 조회 수 : 122

베트남 항만(Sea Port) 산업 동향

 

□ 물동량 큰 폭 증가

 

 o 항만 산업은 불경기동안에도 안정적으로 수익을 창출하는 산업분야의 하나로 안정적 투자 분야임

  - ‘14년 베트남 항만 시스템을 통한 물동량은 전년대비 14% 상승한 3억 7,030만톤이며, 이 중 컨테이너 수는 전년대비 20.1% 상승한 10.24 TEU(twenty-foot equivalent unit)로 현재까지 최고 수치를 기록함 

 

□ 지역별 물동량 처리 동향

 

 o 물동량 증가 및 처리는 지역 및 항구별로 다르게 나타나는데, 가장 큰 물동량을 처리하는 하이퐁市 및 호치민市는 전체 물동량의 97%를 취급하는 것으로 추산됨

 

 o Dinh Vu港, Hai An港, Greenport港 등 하이퐁市 항구들은 하이퐁市를 통한 수입·수출 물동량 증가로 14.6%의 연평균 성장률을 기록하며 큰 폭으로 성장함

  - ‘14년 하이퐁市 컨테이너 처리량은 전년대비 20.3% 증가하여 336만TEU를 처리

 

 o 반면, 전면 가동되어진 Cat Lai港을 제외한 Cai Mep-Thi Vai 항만단지, Sai Gon港, Hiep Phuoc港 등 남부지방의 나머지 항들은 항구 수용량의 50% 이하를 처리하고 있는 정도로 여유가 있는 편임

  - ‘14년 호치민市 컨테이너 처리량은 전년대비 14.8% 증가한 498만 TEU임

  - Cai Mep-Thi Vai 항만단지는 잠재력 높은 심해항이지만, 지역 운송 연결이 취약하여 현재 수용량의 단지 30%만 처리 중이며, ’14년 화물 처리량은 5,930만톤*(컨테이너 115만 TEU)으로 전년대비 20% 증가

 

□ 항만(Sea Port) 경쟁력

 

 o WEF(World Economic Forum) 세계 경제 경쟁력 보고서에 따르면, 베트남 항만 시스템은 144개국 중 88위를 차지함

 

 o ‘14년 9월 베트남에는 44개의 항구가 있음. 이들은 수용력과 중요도에 따라 3단계(level I, II, III)로 분류됨. 이 중 14개항은 level I 혹은 1A(국제적인 수준)이며, 17개항은 level II, 13개항은 level III 수준임

 

□ 항만(Sea Port) 그룹 분류

 

 o 베트남 항구는 지정학적 위치에 따라 6그룹으로 분류됨

 

  - (그룹1) 꽝닌省에서 닌빈省에 이르는 북부지방 대부분 항구로 50,000 TEU 이상의 수용력을 보유하고 있는 항

  - (그룹2) 타인호아省에서 하띤省에 이르는 북중부지방 항구로 50,000 TEU 이하로 소규모 혹은 新港

  - (그룹3) 꽝빈省에서 꽝응아이省에 이르는 중부지방은 다낭 항만이 유일한 50,000 TEU 이상 수용력을 갖춤

  - (그룹4) 빈딘省에서 빈투언省까지 남중부지방 주요 항구로 Quy Nhon港과 Van Phong港이 있음

  - (그룹5) 남부지방은 ‘14년 총 처리량의 44%를 차지한 가장 중요한 지역으로 대부분 항구가 50,000 TEU 이상의 수용력을 갖춤 (’14년말, 1억 6,200만톤 화물처리, 전년대비 14% 증가)

  - (그룹6) 메콩델타지역. 가장 작은 규모임

 

□ 항만(Sea Port) 개발 계획

 

 o 2030년 실행을 목표로 추진 중인 2020년 항만산업전략 개발계획에 따르면, 베트남은 100,000톤 이상 (혹은 컨테이너 8,000 TEU 이상) 선박 수용력을 갖춘 level 1A의 대규모 항구를 개발코자 노력 중임

  - 예를 들어, 이러한 지역들은 하이퐁市, 바리어붕따우省 및 중요 핵심 경제 구역을 말함

  - 카인호아省의 Van Phong港은 국제환적항으로 중점 육성할 계획임

 

 o 항만 시스템의 향후 목표 처리량
 
  - (‘15년~) 연간 4억-4억1,000만톤. 그 중 컨테이너는 연간 2억7,500만-2억8,000만톤
  - (‘20년~) 연간 6억4,000만-6억8,000만톤. 그 중 컨테이너는 연간 3억7,500만-4억톤

  - (‘30년~) 연간 10억4,000만-11억6,000만톤. 그 중 컨테이너는 연간 6억3,000만-7억1,500만톤

 

□ 항만(Sea Port) 개발 투자규모 및 재원

 

 o 항만 개발에 소요되는 재원은 총 40-50억달러에 이를 전망이며, 이중 약 20-25억달러는 사회기반시설에 투자될 될 것으로 전망

  - 투자 재원은 정부 예산부터 민간 투자에 이르는 다양한 방식이 활용될 예정이며, 특히 민관파트너십(PPP: Private-Public Partnership)을 통한 투자가 촉진될 계획인바 우리기업 등 민간투자자의 관심이 필요함

  - 현재, 많은 베트남 대기업 및 해외 투자자로부터 항만을 구매하기 위한 투자 움직임이 포착되고 있으며, ‘15년은 항만 분야 M&A의 해가 될 것으로 전망됨

  - ‘14년 말, Nha Trang港은 한 부동산기업이 국영기업 Vinalines社로부터 830억동(390만달러)에 카인호아省으로 이전 받은 것으로 확인됨

  - ‘15년 초, T&T그룹은 Quang Ning港을 5,000억동(2,380만달러)에 구매할 계획을 가지고 있음

  - ‘15년 6월, Vingroup, VP 은행 및 Vietin 은행은 Sai Gon港 상장(IPO: Initial Public Offering)에서 전략적 주주(Strategic shareholder)로 입찰에 참여하였는데, 지분율은 16.51%에 달함

  - 해외투자의 경우, ‘15년 5월 싱가폴의 Freight Links Capital Pte. Ltd社는 하띤省의 Vung Ang港에 Formosa 철강단지에 자재 공급을 위해 50,000DWT (Dead Weight Ton) 항구 건설에 1억1,400만달러 규모 투자 의사를 밝힘 

 

 

images (28).jpg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
522 베트남제품인허가 file kimswed 180 2016.06.08
521 베/재외국민등록 file kimswed 118 2016.06.01
» 베/항만산업 file kimswed 122 2016.05.31
519 베/무역절차 file kimswed 128 2016.05.27
518 발전기판매A/S센타개장 file kimswed 4269 2008.05.01
517 베/유통및부동산 file kimswed 112 2016.05.01
516 베/KOTRA file kimswed 103 2016.05.01
515 베/경제성장 file kimswed 104 2016.05.01
514 베/비엣젯항공 file kimswed 219 2016.05.01
513 베/외국인전문가 file kimswed 125 2016.05.01
512 베/식당창업 file kimswed 322 2016.04.01
511 베/4G file kimswed 221 2016.04.01
510 베/대출금리 file kimswed 129 2016.04.01
509 베/삼성 file kimswed 158 2016.04.01
508 베/TPP file kimswed 109 2016.04.01
507 캄/법인설립 kimswed 136 2016.03.04
506 코이카캄보디아 kimswed 120 2016.03.02
505 재외동포신문 kimswed 125 2016.03.01
504 베/취업비자 file kimswed 165 2016.03.01
503 베/부동산거품 file kimswed 147 2016.03.01
502 베/국제면허증 file kimswed 194 2016.03.01
501 베/농업분야 file kimswed 149 2016.02.01
500 베/섬유산업 file kimswed 157 2016.02.01
499 캄/달러화 file kimswed 178 2016.02.01
498 베/한국50조원투자 file kimswed 158 2016.02.01
497 베트남환율 file kimswed 616 2016.02.01
496 2016재외동포정책 kimswed 156 2016.01.20
495 호치민가짜택시 file kimswed 207 2016.01.02
494 베/투자뉴스 file kimswed 158 2016.01.02
493 베/개정법률 file kimswed 162 2016.01.02